항목
-
영덕 화강섬록암 해안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해안에는 동해 바닷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깎여 생긴 다양한 침식지형이 발달해 있다. 바닷가의 낭떠러지인 해식애, 바닷물에 의해 평평하게 깎인 땅인 파식대지, 그리고 서로 부딪혀서 둥글게 된 돌들이 모인 몽돌해변과 같은 경관은 이곳의 암석이 땅 위에 드러난 이후부터 오랜 시간 동안 파도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 위치 :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
-
구룡소 돌개구멍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땅 위로 뿜어지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는 구룡소 전설 속의 용트림을 연상케 한다. 또한 구룡소에서는 파도에 의해 육지가 깎여 평평하게 만들어진 파식대지와 타포니를 볼 수 있다. 집괴암에 박혀있던 돌조각들이 빠져나가고 남은 구멍에 소금알갱이가 들어오면 주변 암석을 깎아 더 큰 구멍을 만들게 되는데...
- 위치 :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대동배리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부산 오륙도 釜山 五六島연결되어 있었으나, 오랜 세월에 걸쳐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산 능선이 여러 덩어리로 분리되었고, 3회의 융기 운동으로 돌계단, 즉 파식 대지로 된 돌섬들로 분리되었다. 수직적 파식 작용으로 곳곳에 많은 해식동이 형성되고, 수평적 파식 작용으로 파식 암석 대지[해안 단구]가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이 수없이...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남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두도 頭島초식 공룡의 싸움터 유적, 새 화석, 겉씨식물, 양치식물 잎 등 동식물 화석이 대량으로 쏟아져 나왔다. 또한 조유석 해식 동굴, 해식애, 해안 단구, 파식 대지, 풍화혈 구조, 해안 자갈과 모래 등 지형 자연사 유적이 즐비하여 국가적 보물로 평가되고 있다. 두도 바로 북쪽으로는 천마산[234m]에서 남쪽으로 뻗은...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