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고구려, 당나라에 사신 파견
    『당회요(唐會要)』에 따르면 이해에 ‘고려국’이 당에 사신을 보내고 악공(樂工)을 바쳤다. 이 기록에 나오는 고려(고구려)를 이미 멸망한 고구려와 구별하기 위해 소고구려라고 부른다. 소고구려의 주민은 고구려 유민이 중심이고, 백제 유민과 말갈족도 일부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발해 선왕에 의해 정복당한다. 참조
    시대 :
    818년
    국가/대륙 :
    한국
  • 근로자파견
    정식 명칭은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이다. 근로자 파견 사업의 적정한 운용을 꾀하고, 파견 근로자의 근로조건 등에 관한 기준을 확립함으로써 파견 근로자의 고용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함은 물론, 인력 수급도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1998년 2월 20일 법률 제5512호로 제정되었고 1998년 7월 1일부터 시행...
  • 일본에 조사시찰단 파견
    4월 10일, 박정양 ・ 어윤중을 비롯한 조사 12명과 수행원 등 62명으로 이뤄진 조사시찰단이 동래에서 일본으로 떠났다. 시찰단은 일본 정부의 부처별 현황을 조사하고 세관, 포병공창, 박물관 등을 돌아봤다. 이들은 귀국 후 통리기무아문의 요직에 임명돼 개화를 추진하는 주축 세력으로 활동했다. 참조
    시대 :
    1881년 4월 10일
    국가/대륙 :
    한국
  • 맹호부대 猛虎部隊
    내용 1965년 2월 비둘기부대의 베트남 파병 이후, 월남공화국 정부로부터 2차례에 걸친 전투부대 파병요청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동년 8월 15일 제52회 임시국회 제11차 본회의에 전투부대 파병안을 상정하여 동의를 얻었으며, 수도사단을 제1진으로 선정하여, 동년 10월 12일 여의도에서 결단 및 환송식을 거행함...
    시대 :
    현대
    성격 :
    베트남전쟁 파견 부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5년 9월 25일
    폐지일 :
    1973년 3월 23일
    시행처 :
    주월한국군사령부
    분야 :
    정치·법제/국방
  • 파견근로제
    파견사업주가 근로자를 고용한 후 그 고용관계를 유지하면서 근로자파견계약의 내용에 따라 사용사업주의 지휘 ・ 명령을 받아 사용사업주를 위한 근로에 종사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수전문직으로서 많은 보수를 주면서 상시 고용하기에는 경영상 어려운 경우, 특정기간이 소요되는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그 일이...
  • 통신사 通信使
    1603년(선조 36)에 성립된 도쿠가와 바쿠후[德川幕府]체제 하에서 12회에 걸쳐 파견되었다. 조선왕조 개국 이후부터 임진왜란이 발생한 1592년까지 62회에 걸쳐 일본에 사절을 파견했으며, 이때 사절단의 명칭은 통신사 외에 회례사(回禮使)·통신관·경차관(敬差官) 등 다양했다. 반면 입국왜사(入國倭使)의 횟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일본에 제1차 수신사 파견
    4월, 예조참의 김기수를 필두로 한 제1차 수신사 일행 76명이 일본으로 떠났다. 이들은 군사 시설, 공장 등을 돌아본 후 일본의 새로운 문물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수신사는 마지막 조선통신사(1811년) 이래 65년 만에 일본을 방문한 정부 공식 사절단이다. 참조
    시대 :
    1876년 4월
    국가/대륙 :
    한국
  • 근로자파견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정식 명칭은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이다. 근로자 파견 사업의 적정한 운용을 꾀하고, 파견 근로자의 근로조건 등에 관한 기준을 확립함으로써 파견 근로자의 고용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함은 물론, 인력 수급도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1998년 2월 20일 법률 제5512호로 제정되었고 1998년 7월 1일부터 시행...
  • 파견 관제 派遣官制, Dispatch Control
    보안 관제 서비스 중 하나로 보안 관제 센터에 자체 또는 외부 보안 전문 인력을 상주시켜 보안 관제하는 서비스. 외부에 있는 보안 관제 서비스 기관에서 원격으로 수행하는 원격 관제와 대조되는 서비스로, 원격 관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보 유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흔히 이용되는 서비스이지만, 보안 전문...
  • 헤이그 밀사사건 헤이그특사사건
    대표 225명이 참석하는 것인데, 주로 중재재판·육해전법규 등을 논의하지만 사실상 열강간의 식민지 쟁탈전에 따르는 분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법회의였다. 파견과정 고종은 전(前) 의정부참판 이상설(李相卨), 전 평리원검사 이준(李儁), 전 러시아 공사관 참서관 이위종(李瑋鍾) 등 3명을 평화회의에 파견하여 러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근세/근대
  • 비정규직 非正規職, atypical Job
    정의 시간제 근로자, 파견 근로자 등 정규직이 아닌 형태로 고용된 근로자.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은 없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고용기간이 짧은 유기계약근로자(temporary worker), 시간제근로자(part-time worker) 및 파견근로자(temporary agency worker) 정도를 비정규직 근로자로 파악하고 있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대 , 노동 , 사회
  • 한일합병 경술국치, 韓日合倂
    식민지화 방침을 확정짓는 ‘대한방침(對韓方針)’을 결의하였다. 이러한 방침 아래 일제는 먼저 러일전쟁을 도발함과 동시에 1904년 2월, 한국에 군대를 파견함으로써 침략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이러한 군사력을 등에 업고 한국 정부를 위협하여 체결한 것이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이다. 이로써 한국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61건

걸프전 파견
파견신청서
파견확인증
파견명령서
파견명령서
파견계약서
파견계약서
파견증명서
파견근로제
근로자 파견계약서
근로자 파견계약서
파견근로자계약서
파견근로자계약서
파견근로계약서
파견근로계약서
근로자파견사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