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고구려, 당나라에 사신 파견『당회요(唐會要)』에 따르면 이해에 ‘고려국’이 당에 사신을 보내고 악공(樂工)을 바쳤다. 이 기록에 나오는 고려(고구려)를 이미 멸망한 고구려와 구별하기 위해 소고구려라고 부른다. 소고구려의 주민은 고구려 유민이 중심이고, 백제 유민과 말갈족도 일부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발해 선왕에 의해 정복당한다. 참조
- 시대 :
- 818년
- 국가/대륙 :
- 한국
-
일본에 조사시찰단 파견4월 10일, 박정양 ・ 어윤중을 비롯한 조사 12명과 수행원 등 62명으로 이뤄진 조사시찰단이 동래에서 일본으로 떠났다. 시찰단은 일본 정부의 부처별 현황을 조사하고 세관, 포병공창, 박물관 등을 돌아봤다. 이들은 귀국 후 통리기무아문의 요직에 임명돼 개화를 추진하는 주축 세력으로 활동했다. 참조
- 시대 :
- 1881년 4월 10일
- 국가/대륙 :
- 한국
-
맹호부대 猛虎部隊내용 1965년 2월 비둘기부대의 베트남 파병 이후, 월남공화국 정부로부터 2차례에 걸친 전투부대 파병요청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동년 8월 15일 제52회 임시국회 제11차 본회의에 전투부대 파병안을 상정하여 동의를 얻었으며, 수도사단을 제1진으로 선정하여, 동년 10월 12일 여의도에서 결단 및 환송식을 거행함...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베트남전쟁 파견 부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65년 9월 25일
- 폐지일 :
- 1973년 3월 23일
- 시행처 :
- 주월한국군사령부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
일본에 제1차 수신사 파견4월, 예조참의 김기수를 필두로 한 제1차 수신사 일행 76명이 일본으로 떠났다. 이들은 군사 시설, 공장 등을 돌아본 후 일본의 새로운 문물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수신사는 마지막 조선통신사(1811년) 이래 65년 만에 일본을 방문한 정부 공식 사절단이다. 참조
- 시대 :
- 1876년 4월
- 국가/대륙 :
- 한국
-
파견 관제 派遣官制, Dispatch Control보안 관제 서비스 중 하나로 보안 관제 센터에 자체 또는 외부 보안 전문 인력을 상주시켜 보안 관제하는 서비스. 외부에 있는 보안 관제 서비스 기관에서 원격으로 수행하는 원격 관제와 대조되는 서비스로, 원격 관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보 유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흔히 이용되는 서비스이지만, 보안 전문...
-
-
-
한일합병 경술국치, 韓日合倂식민지화 방침을 확정짓는 ‘대한방침(對韓方針)’을 결의하였다. 이러한 방침 아래 일제는 먼저 러일전쟁을 도발함과 동시에 1904년 2월, 한국에 군대를 파견함으로써 침략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이러한 군사력을 등에 업고 한국 정부를 위협하여 체결한 것이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이다. 이로써 한국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