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향곡 41번 (모차르트) Symphony No. 41 (Mozart), 交響曲第41番 ..교향곡 41번 다장조 ‘주피터’(Symphony No. 40 in C major, K. 551)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1788년 교향곡 40번 사단조(KV. 550)에 이어서 단 몇 주 만에 작곡한 곡이다. 이 곡의 웅장함을 상징하는 ‘주피터(Jupiter)’라는 별칭은 모차르트가 직접 붙인 것은 아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 곡은 모차르트...도서 위키백과
-
Jupiter-C 주피터-C, ジュピターCThe Jupiter-C was an American sounding rocket used for three sub-orbital spaceflights in 1956 and 1957 to test re-entry nosecones that were later to be deployed on the more advanced PGM-19 Jupiter mobile missile. A member of the Redstone rocket family, Jupiter-C was designed by the U.S. Army...출처 영어 위키백과
-
세멜레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 Semele HWV58왕 카드무스는 자신의 딸 세멜레와 보에오티아의 왕자 아타마스를 결혼시킬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주피터와 사랑에 빠져 있던 세멜레는 망설이며 주피터에게 도움을 청한다. 세멜레의 간청을 들은 주피터는 천둥을 쳐서 세멜레의 결혼을 방해하고, 모두가 공포에 질려 도망간다. 한편 아타마스를 사랑하고 있던...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성악음악 > 오라토리오
- 제작시기 :
- 1743년 6월 3일 ~ 1743년 7월 4일
- 작곡가 :
-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 초연 :
- 1744년 2월 10일 런던 코벤트 가든의 왕립 극장
- 등장인물 :
- • 카드무스(테베의 왕, 베이스) • 세멜레(카드무스의 딸, 주피터와 사랑하는 사이인 테베의 공주, 소프라노) • 아타마스(세멜레를 사랑하며 그녀와 결혼하기로 한 보에오티아의 왕자, 알토) • 이노(아타마스를 사랑하는 세멜레의 언니, 메조소프라노) • 솜누스(베이스) • 아폴로(테너) • 주노(메조소프라노) • 아이리스(소프라노) • 고위 성직자(베이스)
- 대본(리브레토) :
- 윌리엄 콩그리브(William Congreve)
- 구성 :
- 3막
-
플라테 장 필립 라모, Platée도착한다. 3장에서는 뒤늦게 등장한 아무르가 자신의 참여를 요구하여, 테스피스와 탈리, 모무스, 아무르는 ‘새로운 오락’을 만들기로 한다. 그 주제는 주피터가 주농의 질투심을 고치기 위한 책략에 관한 것이다. 제1막은 ‘계획’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시테롱 왕이 극심하게 부는 바람을 멈추어 달라고 간청하자...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오페라
- 제작시기 :
- 1745년
- 작곡가 :
- 장 필립 라모(Jean-Philippe Rameau, 1683~1764)
- 초연 :
- 1745년 3월 31일, 베르사유
- 출판 :
- 1749년
- 등장인물 :
- 〈프롤로그의 배역〉 • 테스피스(고대 그리스 비극 시인, 테너) • 사튀르(반인반수로 디오니소스를 섬김, 바리톤) • 메나드(디오니소스를 섬기는 여사제들, 합창) • 탈리(탈리아 혹은 탈레이아 • 희극과 전원시의 여신, 소프라노) • 모무스(조롱과 비판의 신, 바리톤) • 아무르(사랑의 신, 소프라노) 〈본 막의 배역〉 • 플라테(개구리 님프, 테너) • 주피터(제우스, 신들의 왕, 바리톤) • 주농(헤라, 주피터의 아내, 메조소프라노) • 머큐르(헤르메스, 전령의 신, 테너) • 시테롱(키타이론, 고대 그리스 플라타이아 지방의 왕, 바리톤) • 모무스(조롱과 비판의 신, 바리톤) • 클라린(플라테의 동료, 소프라노) • 라 폴리(광기, 소프라노)
- 배경 :
- 그리스 신화
- 대본(리브레토) :
- (초판) 아드리앙 조셉 르 발루아 도르비유, (개정판) 발로 드 소보
- 구성 :
- 3막 희극 오페라
-
지옥의 오르페 자크 오펜바흐, Orphée aux Enfers(Orpheus in the Underworld)등의 모습과, 에우리디체의 죽음 이후 주위 사람의 강요로 그녀를 찾아가는 것으로 바꿔버린다. 여기에 등장하는 신들 역시도 여흥과 술에만 관심을 보이며, 주피터, 플루토, 존 스틱스 등의 남성을 모두 탐욕적이고 호색한 인물로 그려낸다. 이렇게 호프만은 원작의 비극을 풍자와 익살로 바꾸었는데 이를 통해 당시 제...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오페라
- 제작시기 :
- 1858년, 1874년(개정)
- 작곡가 :
- 자크 오펜바흐(Jacques Offenbach, 1819~1881)
- 원작 :
- 카르 크레머 《그리스 신화》 중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스〉
- 초연 :
- 1858년 10월 21일, 파리 부프 파리지앙 극장
- 출판 :
- 1858년
- 등장인물 :
- • 오르페(음악가, 테너) • 에우리디체(오르페의 아내, 소프라노) • 플뤼톤(지옥의 신, 테너) • 주피터(신들의 우두머리, 바리톤) • 쿠피동(사랑의 신, 메조소프라노) • 베뉘스(미의 여신, 소프라노) • 디안(순결의 여신, 소프라노) • 미네르바(지혜의 여신, 소프라노) • 쥐농(주피터의 아내, 소프라노) • 메르퀴르(주피터의 메신저) • 세론(대중의 의견을 대변하는 역할, 메조소프라노) • 존 스틱스(플뤼톤의 하인, 테너) • 바쿠스(술의 신, 대사) • 마루스(전쟁의 신, 바리톤) • 모르페(잠의 신, 바리톤) • 세르베레(지옥을 지키는 머리 세 개 달린 개, 짖는 역)
- 배경 :
- 그리스 신화 시대, 지상(테베 근처의 시골)과 천국(올림포스 산)과 지하(하계)
- 대본(리브레토) :
- 엑토르 크레미, 루도빅 알레비
- 구성 :
- 2막, 오페라 부퐁 (4막, 1874년 개작)
-
필레몽과 보시스 샤를 구노, Philémon et Baucis삼각관계를 추가하여 각색했다. 필레몬과 바우키스(Philemon and Baucis)의 불어식 명칭을 필레몽과 보시스(Philémon et Baucis)로 바꾸고, 오페라에서 주피터(제우스)와 불칸(헤르메스)은 필레몽과 보시스의 환대를 받고 감동을 받아서 이들 노부부에게 젊음을 되찾게 해주는 상을 내린다. 주피터가 그만 젊음을...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오페라
- 제작시기 :
- 1859~1860년(3막 구성), 1876년(2막 구성)
- 작곡가 :
- 샤를 구노(Charles Gounod, 1818~1893)
- 원작 :
- 장 드 라 폰테인의 우화 《필레몽과 보시스》
- 초연 :
- 1860년 2월 18일, 파리 리리크 극장
- 출판 :
- 1860년
- 등장인물 :
- • 필레몽(테너, 아내 보시스만을 사랑하는 노인) • 보시스(소프라노, 남편 필레몽을 사랑하며 잃어버린 젊음을 꿈꾸는 노인) • 주피터(베이스, 젊음을 되찾은 보시스와 사랑에 빠지는 신) • 불칸(베이스, 주피터와 함께 인간세계를 탐험하는 신)
- 대본(리브레토) :
- 쥘 바르비에, 미쉘 카레
- 구성 :
- 3막(1860년 버전), 2막(1876년 버전)
- 편성 :
- 성악 솔로이스트들, 코러스(합창단), 오케스트라
-
-
목성 찾아 삼만리, 주노의 탐험괘씸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그립기도 한 남편에게 도착했습니다. 남편을 찾아 이렇게 긴 시간 동안 먼 거리를 달려온 저가 누구냐고요? 제 남편 이름은 주피터, 사람들은 목성이라고도 부르죠. 저는 그의 정실부인 주노예요. 목성 탐사선이라고도 부르죠. 이제부터 남편의 일거수일투족을 조사하려고요. 그리고 바람...
-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스플리트 최대의 관광 명소, Dioklecijanova palačaSplit(전화: 02-1345-602) 개관 시간 : 월~금 08:00~19:00 / 토 · 일 12:30~18:30 가격 대성당 : 15Kn / 종탑 : 15Kn 통합 티켓1 : 성 돔니우스 대성당+주피터 신전+지하 무덤 25Kn 통합 티켓2 : 성 돔니우스 대성당+주피터 신전+지하 무덤+종탑+보물관 45Kn 위치 : 열주 광장 내에 위치 주피터의 신전(Jupiterov...
- 위치 :
- 버스 터미널에서 도보 5분
- 좌표 :
- 위도: 43.5074745(43° 30′ 26.91″ N) / 경도: 16.4396834(16° 26′ 22.86″ E)
-
에트루리아 시대의 로마 종교변화를 가져왔다. 그때까지는 신상 없이 예배가 이루어졌지만 이제는 제의적 신상이 도입되었고, 에트루리아 양식의 신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가령 주피터 신전). 정교한 장례식도 에트루리아에서 유래한 듯하다. 에트루리아인은 로마인에게 번갯불로 점을 치는 방법뿐 아니라 희생 짐승의 내장으로 점치는 복잡한 방법...
-
파에통 장 밥티스트 륄리, Phaëton그는 야망으로 인해 이집트의 공주 리비아의 손에 이끌려 원래의 연인인 테오나를 배신하고 리비아와 결혼하게 된다. 결혼식 날, 리비아의 옛 연인이자 주피터의 아들인 에파포프가 나타나, 순수한 신의 혈통이 아니라는 이유로 파에통을 조롱한다. 파에통은 그의 혈통을 증명받기 위해 아버지인 태양신을 설득하여...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오페라
- 제작시기 :
- 1683년
- 작곡가 :
- 장 밥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 1632~1687)
- 초연 :
- 1683년 1월 6일
- 출판 :
- 1683년
- 등장인물 :
- • 파에통(태양신과 바다의 님프 클리메네의 아들) • 리비아(이집트의 공주) • 테오나(옛 연인) • 에파포프(리비아의 옛 연인이자 주피터의 아들)
- 대본(리브레토) :
- 필리프 퀴노(Philippe Quinault)
- 구성 :
- 서막과 5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