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기화학 電氣化學개설 전기화학(electrochemistry)은 전지, 전기분해, 계면 전기현상, 전기열화학, 기체 내 방전, 고체 · 액체 · 기체의 구조, 물체 내의 도전현상, 이온화 상태 등 전기적 현상이 수반되는 화학 현상을 연구한다. 전기화학을 응용한 기술로는 도금, 양극 산화, 전착 도장, 전지, 전기 영동(泳動), 전해 제련, 전해...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전기 한 잔 주세요~이런 리튬이온전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새로운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는 전지는 바로 연료전지다. 연료전지는 물을 전기 분해하면 수소와 산소를 얻을 수 있듯이 이러한 반응을 역으로 이용해 수소와 산소가 반응해서 물이 만들어질 때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한다. 산화환원 반응을...
-
-
어떻게 ‘전기 원자’가 발견되었을까?전기 분해 분야뿐만 아니라 기체 분야의 연구에도 큰 발전이 있었다. 1700년대와 1800년대 초반 물리학자들은 전기가 유리관을 통과해 지나갈 수 있도록 전극을 설치한 유리관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 게리케(Otto von Guericke, 1602~1686)가 1690년에 발명한 진공 펌프를 사용했다. 1838년에 패러데이는 관을 통해 전류...
-
에너지와 전력장치, 연료 전지와 전기모터적어도 20년은 걸릴 것이다. 연료 전지는 어떻게 작용할까? 전류가 물을 통해 양극과 음극 사이로 흐르면 물 입자가 수소와 산소로 분리된다. 이것이 물의 전기분해이다. 연료 전지는 이와 반대로 수소와 산소를 결합해 물을 만들고 전기를 생산한다. 음극과 양극은 PEM(proton exchange membrane, 양자교환막)에 의해...
-
에디슨이 전기의자를 발명한 까닭은?현대 문명사회는 생각조차 하기 어렵다. 그런데 전기의 흐름, 즉 전류에는 직류와 교류라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는 것은 다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특히 전기분해용 전원이나 각종 전자회로, 전지의 충전 등에는 반드시 직류 전원을 써야 하므로 정류기 등을 통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해야 한다. 반면 전열기구나 전등...
-
화학 산업의 경계와 분류제조 공정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전기화학 산업은 일반적인 화학 반응과 달리 전기 현상과 이에 따른 화학 변화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산업으로, 전기 분해를 비롯한 전기적 처리 방식을 거치는 공정을 포함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석유화학 산업의 생산 제품인 합성수지 혹은 합성 고무 등을 가공하는...
-
전기 식각 電氣蝕刻, electrograving전기 분해로 절연 피막을 용해 제거하는 조작. 적당한 금속판의 표면에 바니시, 인쇄 잉크 등의 절연성 피막이 되는 것으로 서화(書畵)나 어떤 모양 등을 써넣어 건조시킨 후, 이 판을 양극으로 하여 전기 분해하면 노출된 부분은 용해되고 써넣은 부분은 용해되지 않고 원래대로 남는다. 감광성 절연 피막은 감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