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충주시 교육과 문화지내는 '오룡굿'이 지금도 1년에 1∼2회씩 거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민속놀이로는 매년 2월에 동편과 서편으로 나누어 행하는 줄다리기와 단옷날 그네뛰기, 자치기가 있다. 전해지는 설화로는 〈충주성전설〉·〈탄금대전설〉·〈달천전설〉·〈자린고비전설〉·〈암소바위전설〉·〈명마재전설〉 등이 있으며, 민요로는...
-
김종진 시야(是也), 金宗鎭받았다. 1927년 신민부(新民府)가 군정파와 민정파로 분화될 때 김좌진(金佐鎭)과 함께 군정파에 속해 보안 제5대대장을 맡았다. 1929년 7월 재만동포의 자치기구인 한족총연합회(韓族總聯合會)를 조직하여 조직 선전 농무부 위원장을 맡았다. 1930년 북경에서 개최된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대회에 북만주대표로 참가...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1년(고종 38)
- 사망 :
- 1931년
- 경력 :
- 한족총연합회 조직부장, 농무부장, 군무부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안동(安東)
-
강상국 백휴(伯休), 姜祥國1828년에 다시 별천(別薦)되었으며, 1840년 안릉참봉(安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강상국이 부령향교(富寧鄕校) 장의(掌議: 성균관 유생들의 자치기구인 재회(齋會)의 임원 중 우두머리)로 있으면서 유림들과 함께 김제겸(金濟謙)의 사우(祠宇)를 청암(靑巖) 도곡(陶谷)에 창건할 것을 결정하였고, 또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78년(정조 2)
- 사망 :
- 1849년(헌종 15)
- 경력 :
- 부령향교 장의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대표작 :
- 능호집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진주(晉州)
-
내취도가 내취도가대청(內吹都家大廳), 內吹都家개설 내취도가는 영문의 감독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자치기구이다. 선전관청과 일군색이 내취의 공적 활동과 관련된다면, 도가는 사적 영역 활동을 위한 기구로서 기능하였다. 도가는 조선 시대 시전(市廛)의 사무 회의 및 공사 처리를 위한 사무소, 또는 전계(廛契)의 공동 창고를 말하는데, 내취는 이러한...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이관직 치용(穉用), 李觀稙李東寧)·장유순(張裕淳) 등과 함께 백지(白紙) 장사를 가장해 독립운동기지의 선정을 위해 노력하였다. 1912년 봄 봉천성(奉天省) 통화현(通化縣)에 재만한인의 자치기구인 경학사(耕學社)가 조직되자 이에 참여해 경학사 소속 무관양성기관인 신흥학교(新興學校) 개교 때 교두(敎頭)로 군사학을 담당하였다. 1912...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82년(고종 19)
- 사망 :
- 1972년
- 경력 :
- 육군 보병참위(參尉), 건국훈장 독립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한산(韓山)
-
재회 齋會내용 성균관의 유생들은 기숙사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에서 생활하였는데, 자치기구인 재회를 통하여 자체의 내부적인 여러 문제를 해결하였다. 재회에는 장의(掌議)·색장(色掌)·조사(曹司)·당장(堂長) 등의 임원이 있었다. 회장 격인 장의는 동재·서재에서 1인씩 선출하여 회의 및 제반 업무를 주재시켰으며...
- 시대 :
- 조선
- 성격 :
- 단체, 자치기구
- 유형 :
- 제도
- 시행처 :
- 성균관
- 분야 :
- 교육/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