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편제 판소리
    흥덕 등지에서 많이 부른다. 우조(羽調)의 한 계열로 송흥록(宋興祿)의 법제를 표준으로 한 것이다. 특별한 기교를 부리지 않고 '목으로 우기는 소리'로 '막 자치기 소리'라고 한다. 섬세한 기교보다는 곧게 내리지르는 통성을 쓰기 때문에 거칠면서도 호방한 맛이 있다. 따라서 동편제 소리를 제대로 하려면 풍부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동편제 東便制
    구례·순창·흥덕 등지에서 많이 부른다. 우조의 한 계열로 송흥록의 법제를 표준으로 한 것이다. 특별한 기교를 부리지 않고 '목으로 우기는 소리'로 '막 자치기 소리'라고 한다. 섬세한 기교보다는 곧게 내리지르는 통성을 쓰기 때문에 거칠면서도 호방한 맛이 있다. 따라서 동편제 소리를 제대로 하려면 풍부한 성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과들루프의 역사
    1815년 나폴레옹 통치의 프랑스가 마지막으로 패배한 이후 섬은 다시 프랑스에 넘어가게 되었다. 1816~25년에 과들루프의 헌법이 처음 만들어졌다. 1837년에 자치기구들이 세워졌고, 1848년에 노예제도가 폐지되면서 9만 3,000명의 노예가 해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 과들루프는 샤를 드골 장군의 저항운동을 지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충주시 교육과 문화
    지내는 '오룡굿'이 지금도 1년에 1∼2회씩 거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민속놀이로는 매년 2월에 동편과 서편으로 나누어 행하는 줄다리기와 단옷날 그네뛰기, 자치기가 있다. 전해지는 설화로는 〈충주성전설〉·〈탄금대전설〉·〈달천전설〉·〈자린고비전설〉·〈암소바위전설〉·〈명마재전설〉 등이 있으며, 민요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김종진 시야(是也), 金宗鎭
    받았다. 1927년 신민부(新民府)가 군정파와 민정파로 분화될 때 김좌진(金佐鎭)과 함께 군정파에 속해 보안 제5대대장을 맡았다. 1929년 7월 재만동포의 자치기구인 한족총연합회(韓族總聯合會)를 조직하여 조직 선전 농무부 위원장을 맡았다. 1930년 북경에서 개최된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대회에 북만주대표로 참가...
    시대 :
    근대
    출생 :
    1901년(고종 38)
    사망 :
    1931년
    경력 :
    한족총연합회 조직부장, 농무부장, 군무부장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안동(安東)
  • 선언법 宣言法, Declaratory Act
    문제에 관심이 쏠리게 했다. 특히 이 법은 18세기 미국 각 식민지들의 정치적인 성숙도에 대한 영국 정부의 무감각을 그대로 반영했다. 1767년 영국 의회가 뉴욕 의회를 정지시키자 식민지의 경계심은 더욱 높아졌고, 새 규제법이 제정될 때마다 영국 의회가 정착된 식민지 자치기구들을 위협한다는 두려움이 가중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강상국 백휴(伯休), 姜祥國
    1828년에 다시 별천(別薦)되었으며, 1840년 안릉참봉(安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강상국이 부령향교(富寧鄕校) 장의(掌議: 성균관 유생들의 자치기구인 재회(齋會)의 임원 중 우두머리)로 있으면서 유림들과 함께 김제겸(金濟謙)의 사우(祠宇)를 청암(靑巖) 도곡(陶谷)에 창건할 것을 결정하였고, 또한...
    시대 :
    조선
    출생 :
    1778년(정조 2)
    사망 :
    1849년(헌종 15)
    경력 :
    부령향교 장의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능호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진주(晉州)
  • 에벤크어 Evenki language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만주퉁구스어군의 퉁구스어파에 속한다. 주로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 후룬베이얼멍[呼倫貝爾盟]의 에벤크족 자치기, 천바얼후치[陳巴爾虎旗], 어얼구나쭤치아오루구야에벤크족 자치향[額爾古納左旗敖魯古雅鄂溫克族自治鄕], 헤이룽장 성[黑龍江省]의 너허 현[訥河縣] 등지에서 사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아동놀이 children's game
    자리를 굳혔다. 전래 아동놀이로는 연날리기·팽이치기·썰매놀이·바람개비놀이·수박따기·진놀이·숨바꼭질·까막잡기·사람찾기·망차기·비사치기·자치기·대말타기·줄넘기·공기놀이·실뜨기·풀싸움·꽃싸움·다리셈놀이·수박치기·각시놀음 등이 있다. 이들 놀이는 순수하게 아동들만이 즐기는 놀이이지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 내취도가 내취도가대청(內吹都家大廳), 內吹都家
    개설 내취도가는 영문의 감독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자치기구이다. 선전관청과 일군색이 내취의 공적 활동과 관련된다면, 도가는 사적 영역 활동을 위한 기구로서 기능하였다. 도가는 조선 시대 시전(市廛)의 사무 회의 및 공사 처리를 위한 사무소, 또는 전계(廛契)의 공동 창고를 말하는데, 내취는 이러한...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이관직 치용(穉用), 李觀稙
    李東寧)·장유순(張裕淳) 등과 함께 백지(白紙) 장사를 가장해 독립운동기지의 선정을 위해 노력하였다. 1912년 봄 봉천성(奉天省) 통화현(通化縣)에 재만한인의 자치기구인 경학사(耕學社)가 조직되자 이에 참여해 경학사 소속 무관양성기관인 신흥학교(新興學校) 개교 때 교두(敎頭)로 군사학을 담당하였다. 1912...
    시대 :
    근대
    출생 :
    1882년(고종 19)
    사망 :
    1972년
    경력 :
    육군 보병참위(參尉), 건국훈장 독립장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한산(韓山)
  • 재회 齋會
    내용 성균관의 유생들은 기숙사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에서 생활하였는데, 자치기구인 재회를 통하여 자체의 내부적인 여러 문제를 해결하였다. 재회에는 장의(掌議)·색장(色掌)·조사(曹司)·당장(堂長) 등의 임원이 있었다. 회장 격인 장의는 동재·서재에서 1인씩 선출하여 회의 및 제반 업무를 주재시켰으며...
    시대 :
    조선
    성격 :
    단체, 자치기구
    유형 :
    제도
    시행처 :
    성균관
    분야 :
    교육/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