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생명 공학(BT) 생명 공학(BT), 生命工學
    유전자의 조합이나 세포 융합 등의 기술을 통해 생명체의 특성을 이용하는 생명공학은 유전물질의 변화를 유도하는 유전공학의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든 물질로 사람의 인터페론(천연 항바이러스 물질), 인슐린, 성장호르몬 등이 있으며,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억제되어 있거나 결함이...
    도서 다음백과
  • 유전 양극법 流電陽極法, reactive anode method
    이종 금속간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방식전류를 얻는 방법을 말한다.
  • 유전가열, 고주파가열 dielectric heating
    교번전계에서의 내부유전손실에 의해 공칭전기적절연물질을 가열하는 것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韓國生命工學硏究院, Korea Research Instit..
    기술의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 생명과학분야의 기초 원천을 연구하며, 연구 인프라를 구축·관리하려는 목적으로 1985년 2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유전공학센터로 출범했다. 연혁 및 변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1985년 2월 유전공학센터로 출범한 뒤, 1990년 7월 대덕연구단지 내 신축청사로 이전했다. 1995년 3월...
    설립 :
    1985년 2월
    소재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11번지
    사이트 :
    https://www.kribb.re.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Biotech 2000, 生命工學育成基本計劃
    이용 기술), 보건의료 기술(③ 의용생체공학 기술, ④ 생체기능의 분자생물학적 연구, ⑤ 게놈분석 및 이용 기술), 농림수산업 및 식품 기술(⑥ 생물자원의 유전공학적 육종 및 기내증식 기술, ⑦ 식품 생명공학 기술), 환경·안전관리 및 생물자원보전 이용 기술(⑧ 생물다양성 및 환경보전 기술, ⑨ 환경 및 안정성...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세균과 바이러스에서의 유전연구
    재료로 한 유전연구를 통해 진핵생물에서 나타나는 유전현상이 분자수준에서 이해되기에 이르렀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유전공학분야를 파생시켰으며 유전자계획 등의 대대적인 유전연구를 가져오게 한 점도 특기할 만하다. 이들을 재료로 하여 유전자와 그 산물인 단백질을 대응시키고 각각의...
  • 유전과 인류
    영국왕실의 가계도에서 다루어지던 인류의 유전문제가 일반인의 수준에서도 논의되는 것은 유전학의 발달과 보급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유전공학의 발달로 초자연적인 힘으로 유전형질이 변형된다는 고대의 믿음이 인공적으로 가능하게 되었고, 이제는 유전에 대한 연구가 보다 직접적으로 인류의 복지나 생존을 위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석유공학 石油工學, petroleum engineering
    일반적으로 석유공학자는 새 유전을 탐사하는 데는 관여하지 않지만, 지질학자·지구물리학자·공학자들과 함께 그러한 분야에 대한 노력을 기울인다. 석유...후 이것을 개발하는 일과 석유생산에 관여한다. 학문으로서의 석유공학은 1859년 펜실베이니아 주의 타이터스빌에서의 첫번째 유정의 시추(試錐)작업과 함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발생공학 發生工學, developmental engineering
    있다. 그리고 넓은 범위로는 배우자를 다루는 정자·난자 보존, 과배란, 체외수정, 일란성 쌍둥이 생산, 어류의 3배체 생산 등도 발생공학에 포함된다. 조작 기술은 대부분이 유전 메커니즘의 인위적인 변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고, 이 점에서 발생공학은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유전자공학)이라고 말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자원공학 資源工學
    공학, 탄화수소유체를 함유한 고온고압 상태의 다공질내 유체 거동 특성 파악 및 저류층시스템을 분석, 평가하여 유체유동 메카니즘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유전평가 및 저류층공학, 회수단계에서 고려되는 생산시스템과 압력해석 및 저류층의 반응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생산시설과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회수의...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생명공학 生命工學
    개설 생명공학(biotechnology)은 생명(bio)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서 생명을 다루는 기술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생물의 유전, 생존, 성장, 자기제어, 물질대사, 정보인식 · 처리 등을 연구하고 공학적으로 응용하여 인간의 삶에 필요한 대상을 만드는 것이다. 전통적으로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김치와 치즈의...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프랜시스 골턴 Sir Francis Galton
    열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다. 우생학이라는 말을 만든 것도 프랜시스 골턴이었는데 이 말은 배우자를 가려내어 짝을 짓는 방법으로 평균 이상의 유전자질을 지닌 인간의 비율을 높이려는 과학적인 노력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프랜시스 골턴은 〈유전하는 천재 Hereditary Genius〉(1869)라는 책에서 천재성을 '극히...
    출생 :
    1822. 2. 16
    사망 :
    1911. 1. 17, 서레이 헤이절메어 그레이샷 하우스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유전공학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화학공정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검정사업
유전공학센터 인터페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