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기 將棋각 다섯 짝으로, 한쪽은 16짝이며, 양쪽을 합하여 32짝을 가로 10줄, 세로 9줄로 그려진 네모꼴의 장기판에 포진시켜 적의 장(왕)을 진퇴불능의 상태로 만들어 승패를 결정하는, 추리와 연상(聯想)과 적수(敵手)의 심리를 이용하는 지능적 오락이다. 나무토막에 글씨를 쓰고 그것을 조각한 알[棋]로 적의 장(왕)을...
- 성격 :
- 민속놀이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보싸움 보 무너뜨리기, 洑─보가 무너졌거나 그대로 있거나 간에 한번 보를 쌓은 패는 자리를 바꾸어, 이번에는 물을 막게 되며 마지막에 이르러 상대방의 보를 무너뜨린 횟수를 셈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보를 막는 재료는 물의 양이나 물살의 힘, 어린이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물이 적을 때에는 흙으로만 쌓지만 물살이 세고 사람수가 많을 때...
- 성격 :
- 어린이놀이
- 유형 :
- 놀이
- 놀이시기 :
- 여름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손자병법 시계편, 주숙유도 장숙유능 主孰有道 將孰有能어느 나라 병사들이 훈련이 더 잘 되어 있는가? 어느 나라 상벌이 분명하게 시행되고 있는가? 나는 이 일곱 가지로써 이기고 질 것을 알 수 있다. 해설 승패를 가늠하는 일곱 가지 비교 기준 오사(五事)가 상대와 나를 비교하는 기본 원칙이라면, 손무는 다시 일곱 가지 기준에서 상대와 나를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우열...
-
팔씨름상대의 팔꿈치를 받치는 것이 일반적이며, 팔씨름을 하는 중에 팔꿈치가 바닥에서 떨어지면 무효가 된다. 이 겨루기는 손을 잡고 손목에 힘을 쓰는 순간에 승패가 결정되는 일이빈번하다. 따라서, 이때를 노리고 손을 쥐자마자 상대의 팔목을 틀어 꺾으려 하거나 상대의 손은 잔뜩 쥐는 대신 자기 손은 빼내려는 따위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
영산 쇠머리대기 나무쇠싸움, 靈山 쇠머리대기지정되었다. 원래 정월 대보름날에 벌여온 놀이였는데, 오늘날은 양력 3월 1일에 행한다. 양편이 패를 갈라 나무로 엮어 소를 어깨에 메고 서로 맞부딪쳐서 승패를 가르는 남성집단놀이이다. ‘나무쇠싸움’ · ‘쇠머리댄다’ · ‘목우붙이기’, 또는 ‘목우전(木牛戰)’이라고도 한다. 이 가운데 ‘나무쇠싸움...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창의가 신의관창의가, 倡義歌읊고, 12월 18일에 특사로 나왔다고 한 것으로 보아 1913년일 가능성도 배제헐 수 없다. 내용 및 평가 「창의가」는 작자가 의병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승패의 과정을 거치면서 겪은 사실을 자서전적으로 노래한 것으로 내용을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서사부분이다. 인의예지를 숭상하던 우리나라에 왜적...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신태식
- 창작/발표시기 :
- 미상, 1913년, 1919년 이후
- 성격 :
- 의병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마작 마장(馬將), 麻雀들어가는 것을 입국(入局)이라 하며, 먼저 좌석을 정하고 선(先)을 결정한다. 선이 결정되면 패를 배열하고 분배한 뒤 짝지어진 패를 가지고 점수를 헤아려 승패를 결정짓는다. 마작은 패가 화투나 트럼프에 비해 독특한 분위기를 지녔고, 규칙이나 방법이 매우 복잡하며, 놀이의 승패가 우연과 기술의 적절한 조화에...
- 성격 :
- 성인남녀놀이, 승부놀이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사인(야구) 그라운드의 소리 없는 전쟁않은 야구팬들과 일반인은 어렵게 느껴진다. 그래서일까. 프로 선수들도 가끔은 사인을 놓친다. 야구는 실수를 줄이는 팀이 승리하고 단 한 개의 실수가 승패의 향방을 가르기도 하는데, 프로 경기 중에도 사인 미스로 결정적 실수가 나오며 승패가 갈리는 경우가 있다. 가장 사인 미스가 많이 나오는 상황은 홀로...
-
-
병가요람 兵家要覽天時門)·지리문(地理門) 등 예시문 9편, 권3은 신추경(神樞經)과 벽옥경(璧玉經) 등 2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중국의 모든 방법이 그러하듯 전쟁에 대한 승패와 길흉까지도 중국 전래의 학문인 음양과 오행의 변화에 적용시키려고 노력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음양오행을 방위(方位)·장신(將神)·귀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군서, 병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3책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