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심상소학 신정심상소학, 尋常小學
    3권 3책. 인본. 국한문 혼용체로 1896년 학부에서 편찬했다. 서문에 의하면 아동들에게 국문 사용의 필요성 및 각국의 형세를 깨우치게 하는 데 간행목적이 있었다. 이솝 우화 등 서구적인 우화와 비유를 통해서 근면·정직·청결·효도 등의 생활규범을 강조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지구의 자전 및 자연현상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교육 , 대한제국
  • 소운전 소학사전(蘇學士傳), 蘇雲傳
    서지사항 및 이본 1책. 국문 필사본(筆寫本). 일명 「소운전」, 「소학사전(蘇學士傳)」이라고도 한다. 「월봉산기(月峰山記)」, 「월봉기(月峰記)」 등의 작품과도 같은 계열이며, 신소설기에 출간된 「봉황금(鳳凰琴)」도 같은 작품이다. 필사본에는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윤전...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여자소학수신서
    내용 1권 1책. 순국문체. 양지 한장본.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발행하고 우문관(右文館)에서 인쇄하였다. 교열자는 이화학당장(梨花學堂長) 프라이(富羅伊, Frey), 진명여학교(進明女學校) 학감 여몌례황(余袂禮黃), 양원학교(養遠學校) 윤고라(尹高羅) 등이다. 구성은 53과로 되어 있으며, 순국문체에 간간이 한자를...
    시대 :
    근대
    저작자 :
    노병희(盧炳喜)
    창작/발표시기 :
    1909년, 1977년(영인)
    성격 :
    교과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 :
    박문서관, 아세아문화사
    분야 :
    교육/교육
  • 소학수신서 小學修身書
    내용 1권 1책. 양지한장본. 국한문혼용체. 휘문관(徽文館)에서 인쇄, 발행하였다. 초판은 1907년 8월에, 재판은 1908년 6월에 각각 출간되었다. 차례 10면, 본문 92면으로 되어 있으며, 책명 앞에 작은 글씨로 ‘고등(高等)’이라 되어 있다. 목차를 보면 총설격의 24개과(課)와 학교에 대한 본무(本務) 10과, 사람에...
    시대 :
    근대/개항기
    저작자 :
    휘문의숙 편집부
    창작/발표시기 :
    1907년 8월(초판), 1908년 6월(재판), 1977년(영인)
    성격 :
    교과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 :
    휘문관, 한국학문헌연구소(영인본)
    분야 :
    교육/교육
  • 동흥중학교 동흥소학 중학강습반, 東興中學校
    반일운동에 종사하던 천도교 신자 최익룡 등은 각지에 산재하는 천도교 조직의 지원 아래, 천도교종리원(天道敎宗理院)의 명의로 용정에 동흥소학을 설립하고 동흥소학 내에 중학강습반을 병설하였다. 같은 해 10월 1일 중학강습반을 동흥중학으로 승격하였는데, 동흥소학은 동흥중학의 부속소학으로 전환되었다. 변천...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학교
    분야 :
    교육/학교교육
  • 고등소학대한지지 대한지지교과서(大韓地志敎科書), 高等小學大韓地誌
    내용 겉표지에는 ‘大韓地志敎科書(대한지지교과서)’로 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편집대의(編輯大意) 3면, 목차 9면, 본문 69면으로 되어 있다. 제1장은 세계대세(世界大勢), 제2장은 본국대세를 위치와 경계·연해·동해안·서해안·남해안·도서·지세, 북한의 지세, 남한의 지세 등으로 구성하고, 제3장 산맥, 제4장...
    시대 :
    근대
    저작자 :
    대동서관
    창작/발표시기 :
    1908년
    성격 :
    교과서, 지리교과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대동서관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소학문답 小學問答
    내용 2권 1책. 고활자본. 1802년(순조 2) 간행되었다. 박준원이 순조의 외할아버지로서 순조가 동궁에 있을 때 소학의 의문점에 대하여 서로 문답한 것을 편차(編次)한 일종의 주석서이다. 소학의 각 장에 대한 문답에 따라 상편과 하편으로 나누고, 상편에서는 입교제1(立敎第一)에서 「열녀전왈(列女傳曰)」 등 7...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준원
    창작/발표시기 :
    1802년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 효경소학초해 孝經小學抄解
    것으로 추정된다. 책의 내용은, 『효경』에서는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受之父母)’, ‘재상불교 고이불위(在上不驕高而不危)’ 등 3종의 글을, 『소학』에서는 ‘침불측 좌불변 입불필(寢不側坐不邊立不蹕)’ 등 30여 종의 글을 뽑아 싣고 있다. 원문인 한자는 대자(大字)로 쓰고, 언해는 1자씩 낮추어 썼으며...
    시대 :
    조선 후기
    저작자 :
    미상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분야 :
    교육/교육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어제소학지남 御製小學指南
    책의 앞에 김화진(金華鎭)이 임금의 명을 받아 글씨를 쓴 어제서(御製序)와 임준(任㻐)이 봉교하여 글씨를 쓴 어제소지(御製小識)가 있다. 여기에서 영조는 『소학』을 배운 지 61년 만에 세번째 『소학』을 강론하고 그 내용을 엮어 간행하게 한 경위와 목적을 밝히고 있다. 곧 그는 “73세의 나이로 주자가 제사(題辭...
    시대 :
    조선 후기
    저작자 :
    영조
    창작/발표시기 :
    1766년(영조 42)
    성격 :
    어제(御製), 주석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
    분야 :
    교육/교육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 고등소학독본 高等小學讀本
    서지적 사항 2권 2책. 양지 한장본. 휘문관(徽文館)에서 발행하였다. 내용 1권은 1906년 11월, 2권은 1907년 1월 각각 발간되었으며, 1908년 4월에 재판되었다. 본문은 1권이 76면 45개과, 2권이 86면 45개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국한문 혼용체이나, 현토한문체(懸吐漢文體)와 별차이가 없을 정도로 한문직역체의...
    시대 :
    근대
    저작자 :
    휘문의숙 편집부
    창작/발표시기 :
    1906년 11월, 1907년 1월, 1908년 4월
    성격 :
    교과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2책
    간행/발행 :
    휘문관
    분야 :
    교육/교육
  • 소학대문구결 소학대문토(小學大文吐), 小學大文口訣
    내용 『소학대문토(小學大文吐)』라고도 한다. 이인영(李仁榮)이 소장하였던 권3 1책이 『청분실서목(淸芬室書目)』에 소개되어 비로소 알려졌으나, 그 책은 현재 행방을 알 수 없다. 소개에 의하면, 경자자로 세종 때 간행된 활자본을 복각한 책인데, 광곽의 크기가 세로 13㎝, 가로 10.7㎝이며, 판식이 4주 쌍변에...
    시대 :
    조선 전기
    저작자 :
    미상
    성격 :
    구결서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해동속소학 판목 海東續小學 板木
    내용 1985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박재형은 실학파 인물로, 재래의 우리나라 자녀교육에 『자양소학(紫陽小學)』이 중심이 되고 있는 점을 비판하고 자주적 입장에서 우리 나라 명유(名儒) 등의 가언(嘉言) · 선행(善行) 등의 예를 들어 편찬하였다. 이것은 단순한 유교적 도덕원리...
    유형 :
    유물
    분야 :
    언론·출판/출판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5건

소학언해
소학제가집주
소학제가집주
소학규범
소학언해
해동소학
번역소학
초등소학
소학독본
소학질서
번역소학
소학독본
번역소학
소학언해
소학독본
해동소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