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한회토기 三韓會土記
    한 것으로, 『도선밀기(道詵密記)』와 같은 맥락을 지닌 것이다. 여기에 들어 있는 고려삼경(高麗三京)의 설에 따라, 성종 때 고증을 하여 경주에 동경(東京)을 복치(復置)하고 유수(留守)를 두었다. 1106년(예종 1) 조정에서는 당시 유행하던 도참서를 산정(刪定)하여 『해동비록(海東秘錄)』을 편찬할 때 이 책도 포함...
    시대 :
    고려
    저작자 :
    미상
    성격 :
    도참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도교
  • 직장 直長
    다시 설치되었다. 1369년에는 사농시에 다시 설치되고 사복시와 사온서에서는 폐지되었다. 또한, 1372년에는 1362년의 경우와 같이 사농시에서 폐지되고 사복시와 사온서에 복치되었다. 이러한 변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다른 관부들은 개칭을 반복하였지만, 관속의 구성에는 변함이 없었으므로 그대로 존속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시대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감리 監理
    폐지되고 그 업무는 그 지역의 지방장관에게 이관되었다. 그러나 격증하는 대외관계업무로 인하여 1896년 1월 지사서(知事署)가 설치되고, 이어 8월 감리서가 복치되어 감리의 권한은 전보다 확대되었다. 처음에 인천·동래·덕원·경흥, 이듬해 삼화항·무안, 1900년 옥구·창원·성진·평양, 1905년 용천·의주 등에...
    시대 :
    근대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3년
    폐지일 :
    1906년
    분야 :
    역사/근대사
  • 참리 參理
    중서문하성의 참지정사(參知政事)가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요구에 따른 관제격하 때 개칭된 것이다. 1298년 충선왕의 관제개혁에서 혁파되었다가 곧 복치되었으며, 1308년 평리(評理)로 개칭되었다가 1330년(충숙왕 17) 다시 참리로 복원되었다. 그러나 1356년(공민왕 5) 문종 관제가 복구되면서 참지정사로 환원된...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275년(1차), 1298년(2차), 1330년(3차)
    폐지일 :
    1298년(1차), 1308년(2차), 1356년(3차)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상식국 尙食局
    1인은 겸관으로 하고, 정7품의 직장 3인과 정8품의 부직장 3인을 두었다. 1331년(충혜왕 1) 제점과 부직장을 혁파하고 영을 정6품으로 낮추고 정9품의 식의를 복치하였다. 1356년(공민왕15) 6월 상식국으로, 1372년 3월 사선서로 개편을 되풀이하였다. 이속(吏屬)으로는 문종 때 서사령(書史令) 4인, 기관(記官) 2...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시대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제공 提控
    않는다. 그 뒤 1369년(공민왕 18)에 순군만호부가 폐지되고 대신 사평순위부(司平巡衛府)가 설치되면서 두어지지 않았으며, 우왕 때 다시 순군만호부가 복치되었지만 그 직제로 부활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한편, 1313년(충선왕 5)에는 신설된 연경궁제거사의 관직으로 두어졌는데, 이 때 품계는 정7품으로 정원은...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300년∼1307년
    폐지일 :
    1369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춘관정 春官正
    충렬왕 34) 사천감과 태사국(太史局)이 서운관(書雲觀)으로 통합되면서 없어졌다가, 1356년(공민왕 5) 사천감과 태사국이 복구되면서 사천감 소속의 종5품 관직으로 나타났다. 그 뒤 1362년의 관제개혁 때 없어졌고, 1369년 잠시 복치되었으나, 1372년 사천감과 태사국이 다시 서운관으로 개편되면서 혁파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047년 이전(1차), 1356년(2차), 1369년(3차)
    폐지일 :
    1308년(1차), 1362년(2차), 1372년(3차)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중승 어사중승(御史中丞), 中丞
    남아 있다가 1308년에 다시 사헌부가 들어서면서 정3품, 정원 2인의 집의(執義)로 개칭되었다. 그 뒤 1356년(공민왕 5) 문종관제가 복구되면서 어사대가 복치됨과 동시에 종3품, 정원 1인의 관직으로 다시 두어졌으나, 1362년 어사대가 감찰사로 개편되면서 중승은 다시 집의로 개칭되었다. 조선시대에도 건국 직후인...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995년(1차), 1023년(2차), 1298년(3차), 1356년(4차)
    폐지일 :
    1014년(1차), 1275년(2차), 1308년(3차), 1362년(4차)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전교시 典校寺
    부령(副令, 종4품)·승(丞, 종5품)·낭(郎, 정7품)·주부(注簿, 정8품)·교감(校勘, 종9품)·정자(正字, 종9품) 등이 있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비서감으로 고쳐지면서 폐지되었다가, 1362년 다시 설치되었다. 1369년에도 비서감으로 개편되었지만, 1372년에 곧 복치되어 고려말까지 이르렀다. → 비서성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308년 이후(1차), 1362년(2차), 1372년(3차)
    폐지일 :
    1356년(1차), 1369년(2차)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추관정 秋官正
    局)이 서운관으로 통합됨과 동시에 없어졌다가 1356년(공민왕 5) 사천감과 태사국이 이전대로 복구되면서 사천감 소속의 종5품직으로 다시 나타났다. 그러나 1362년의 관제개혁으로 다시 없어졌고, 1369년에 잠시 복치되었으나, 1372년에 이르러 사천감과 태사국이 다시 서운관으로 개편되면서 함께 혁파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047년 이전(1차), 1356년(2차), 1369년(3차)
    폐지일 :
    1308년(1차), 1362년(2차), 1372년(3차)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하관정 夏官正
    太史局)이 서운관으로 통합됨과 동시에 없어졌다가, 1356년(공민왕 5) 사천감과 태사국이 이전대로 복구되면서 사천감 소속의 종5품직으로 다시 나타났다. 그러나 1362년의 관제개혁으로 다시 없어졌고, 1369년에 잠시 복치되었으나, 1372년에 이르러 사천감과 태사국이 다시 서운관으로 개편되면서 혁파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047년 이전(1차), 1356년(2차), 1369년(3차)
    폐지일 :
    1308년(1차), 1362년(2차), 1372년(3차)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지사 知事
    주사 4인(그 중 1인은 번역관)이 지사를 보좌하며 그들의 진퇴에 관하여는 외부대신의 지시를 받아 결정하였다. 1896년 8월에 지사서가 폐지되고 감리서가 복치됨에 따라 사무는 감리에게 이관되었다. 이것은 상급자인 관찰사의 행정권한 내지 지방행정조직상 야기되는 여러 문제를 군수겸임 지사의 권한으로 해소할 수...
    시대 :
    근대/개항기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6년 1월
    폐지일 :
    1896년 8월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물개복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