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체이스커피
    우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곳의 대표 메뉴는 브루잉 커피와 체이스넛 라테다. 그 외 아인슈페너, 콜드브루, 밀크티, 과일 에이드 등 다양한 음료 메뉴가 있다. 카페 인근에는 백운산, 백련산, 씨사이드파크, 레일바이크, 캠핑장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즐길 수 있다. 참고문헌 http://www.instagram.com/chase_coffee_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로7번길 49 1층
  • 닭곰탱이 본점
    등이 제공된다. 그 외에 간장의 한 수(간장찜닭), 숙주의 반전(닭볶음탕), 종로는 가라(닭 한 마리), 닭개장칼국수, 녹두전, 진굴개장, 굴개장칼국수 등 다양한 메뉴가 있다. 식당 인근에는 백련산, 세계평화의 숲, 유수지공원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참고문헌 https://www.닭곰탱이.kr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화랑목로 50-10 101호,102호,103호
  • 요세 안빈(安貧), 了世
    이곳에서 천태종 중흥에 힘을 기울였다. 1221년 대방(帶方: 전북특별자치도 남원) 태수(太守)인 복장한(卜章漢)이 관내로 올 것을 요청하여, 대방관 내의 백련산(白蓮山)으로 옮겨 몇 년을 지내고, 1223년 최표 등의 요청으로 만덕사로 돌아왔다. 69세 되던 1232년 처음으로 만덕사에서 보현도량(普賢道場)을 결성하고...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봉희설렁탕 본점
    대추를 넣어 끓인 꼬리곰탕과 수육도 있다. 밑반찬은 겉절이, 백김치, 깍두기가 제공된다. 이곳은 만 65세 이상 손님에게는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곳은 오전 6시 아침 식사 시간에 맞춰 문을 연다. 식당의 인근에는 백련산과 호텔, 불광천 가로수길, 미술관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가능하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413 동현빌딩
  • 홍제천 성산천, 弘濟川
    삼각산 서쪽 기슭과 북악산 북서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홍지동과 홍은동을 지나 백련산 동쪽을 감싸 돌면서 남가좌동에 이르고 불광천을 합류하여 난지도를 끼고 한강에 유입되는 한강 제1지류이다. 홍제천 길이는 13.92㎞이고 평균 하폭은 50m이다. 홍제천 위로 내부순환로가 가설되어 한강 이북지역의 교통 소통에 일조...
    유형 :
    자연물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응암제4동 鷹岩第4洞
    응암제4동 동명은 응암동이 분동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응암동 동명은 마을 뒤 백련산 기슭에 매가 앉은 모양의 바위가 있어 ‘매바위골’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1979년 10월 1일 대통령령 제9630호에 의해 서대문구에서 은평구가 분구되어 대응암은 은평구 관할이 되었다. 1988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은평구조례...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응암동 鷹岩洞
    응암동 동명은 마을 뒷산 백련산 자락에 있는 커다란 바위의 형상이 마치 매가 앉아 있는 모습을 닮아 ‘매바윗골’이라고 이름 하였던 데서 유래되었다. 응암동은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성외)에 속하였다. 고종 4년(1867)에 편찬된 ≪육전조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성외) 말흘산계라 하였다. 갑오개혁으로 행정...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응암제1동 鷹岩第1洞
    응암제1동 동명은 응암동이 분동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응암동 동명은 마을 뒤 백련산 기슭에 매가 앉은 모양의 바위가 있어 ‘매바위골’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에 의해 행정동제가 실시될 때 녹신동이 설치되어 당시 서대문구에 속하였던 녹번동・응암동・역촌동・신사동...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응암제3동 鷹岩第3洞
    응암제3동 동명은 응암동이 분동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응암동 동명은 마을 뒤 백련산 기슭에 매가 앉은 모양의 바위가 있어 ‘매바위골’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1970년 5월 5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에 의해 관할 법정동과 행정동명을 일치시키면서 서대문구 녹신제1동과 녹신제2동이 폐지되고 응암제1동과...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응암제2동 鷹岩第2洞
    응암제2동 동명은 응암동이 분동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응암동 동명은 마을 뒤 백련산 기슭에 매가 앉은 모양의 바위가 있어 ‘매바위골’이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에 의해 행정동제가 실시될 때 녹신동이 설치되어 당시 서대문구에 속하였던 녹번동・응암동・역촌동・신사동...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백련교 白蓮橋
    서대문구 연희동 170번지와 홍제동 426번지 사이 홍제천에 있는 다리이다. 다리 이름은 인근의 백련산에서 유래되었다. 폭 26m, 길이 37.5m로 흥원종합건설에 의해 2005년 12월 31일 준공되었다.
    유형 :
    시설명
  • 말흘산계 末屹山契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 성 밖의 연은방에 있던 계로서, 백련산 서쪽에 있던 마을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그 산 이름을 마을산으로 부르던 것을 한자명으로 末屹山이라고 한 데서 계 이름이 유래되었다. 계 안에는 와산동・응암동・골반동・녹현동이 있었으며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녹번동・응암동・구기동 각 일부에...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