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흥 과역리 민등 지석묘군 高興 過驛里 珉燈 支石墓群개석식(뚜껑식)이 혼재되어 있고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가장 큰 것은 덮개돌의 규모가 520×267×109㎝에 달한다. 고흥군이 위치한 고흥반도에는 128개군 2055기에 달하는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어 고인돌의 밀집도가 매우 높은 편인데 과역리 민등 지석묘군은 고흥군에서도 대표적인 고인돌군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시대 :
- 선사/청동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구례 봉서리 지석묘군 거북바위, 求禮 鳳西里 支石墓群거북등 모양의 음각선이 새겨져 있어 현지에서는 ‘거북바위’라고 불리고 있다. 구례군에는 44개군 342기의 지석묘가 분포하고 있어 2만 여기에 달하는 지석묘가 산재되어 있는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지석묘의 밀집도가 매우 낮은 편이지만 봉서리지석묘군은 구례군에서는 대표적인 지석묘군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시대 :
- 선사/청동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종유석 鍾乳石연하굴(蓮下窟)은 총길이가 200미터로 짧지만 천정은 화려한 짚종유석으로 단장되어 있다. 미공개 석회동굴인 연하굴은 우리나라에서 종유석의 단위면적당 밀집도가 가장 높은 동굴로 알려졌다. 단양의 천동굴(泉洞窟)에도 동굴의 규모에 비해 전형적인 짚종유석이 밀도있게 형성되어 있다. 삼척 환선굴(幻仙窟)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선찰 은진송씨 제월당 송규렴가 『선찰』 소재 언간, 先札18세기 초반의 언어를 반영하는 국어사 자료로서 좋은 자료가 된다. 124건이라는 많은 양에도 불구하고,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축적된 자료라는 점에서 밀집도가 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글씨체는 한글과 한문 서체의 발달을 연구하는 서예사의 자료로, 편지의 사연 속에 담긴 내용은 문학사·생활사·여성사·문화사...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송규렴, 안동김씨
- 창작/발표시기 :
- 1684~1709년
- 성격 :
- 서간집, 한문편지, 한글편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9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소장/전승 :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
-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발자국 화석산지 晉州虎灘洞翼龍─恐龍─化石産地獸脚類: 두 다리로 걷고 비교적 지능이 높은 육식 혹은 잡식성 공룡, Theropoda) 발자국이 67개, 새발자국이 642개 이상 발견되었다. 그 중 익룡발자국은 수량·밀집도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최대 수준이다. 또한 산출 밀도가 높고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해서 발톱과 마디가 선명하게 관찰된다. 이처럼 단일...
- 시대 :
- 현대
- 문화재 지정 :
- 천연기념물 제534호
- 성격 :
- 천연기념물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6,170㎡
- 소재지 :
- 경상남도 진주시 호탄동 산21 등
- 분야 :
- 과학/동물
-
-
화순 고인돌 장동응회암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화순고인돌유적지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인 남방식 고인돌이 분포하는 곳으로 많은 유물이 발견된 곳이다. 이 유적지는 고인돌의 크기와 밀집도가 세계적인 유적지로서 사적 제41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600여 기에 이르는 고인돌 축조에 사용된 바위는 이 지역...
- 위치 :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고인돌1로 180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
분청사기인화문장군 粉靑沙器印花文장군단독인화기법(單獨印花技法)에서 한 개의 도장에 동일한 문양을 여러 개를 새긴 집단연권인화기법(集團連圈印花技法)으로의 변화이다. 그 결과 분청사기는 밀집도가 높은 치밀한 인화문으로 정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릇의 표면 색상은 전체적으로 흰빛을 띠게 되었다. 2004년 보물로 지정된 분청사기인화문...
- 시대 :
- 조선전기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423호
- 성격 :
- 분청사기
- 유형 :
- 유물
- 크기 :
- 높이17.2cm, 구경4.3cm, 저경10.3×9.0cm
- 재질 :
- 도자기
- 제작시기 :
- 15세기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
나노포토닉스 Nano Photonics반도체와 달리 광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광반도체의 핵심 기술. 기존 반도체는 회로 선폭이 좁아질수록 저항의 증가로 신호 처리 속도가 늦어지고 부품의 밀집도가 높아져 열 발생이 크지만 광반도체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어원] 나노 (Nano) 나노(Nano)는 난쟁이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 어...
-
준산업단지도시 또는 도시주변의 특정지역에 입지하는 개별공장들의 밀집도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아 포괄적 계획에 따라 계획적 관리가 필요하여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지정 ・ 고시된 일단(一團)의 토지 및 시설물을 말한다. 준산업단지는 개별공장 난립지역의 체계적인 정비를 위하여 도입하였으며...
- 유형 :
- 지역 ・ 지구 등
- 관련법령 :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8조의3,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0조의3,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
-
전기장 電氣場, electric field발생한 전기장은 안쪽을 향한다. 전기장(electric field) 내에 단위 양(+)전하를 놓으면 전기력을 받아 이동하는데 이때 이동 경로를 그린 선을 전기력선이라고 한다. 전기력선으로 나타내면 전기장은 양(+)전하에서 출발해서 음(-)전하에서 끝난다. 전기장의 세기는 전기력선이 촘촘한 정도, 즉 밀집도에 비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