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개성부 開城府
    업무에 대한 기능을 강화했는데, 조선건국 후 한성부는 이 기능을 수용했다. 1405년(태종 5) 개성을 유후사(留後司)로 하여 유후·부유후·경력(經歷)·도사(都事) 각 1명을 두었고, 개성 현령은 폐지하여 소관지역을 독립시켰다. 그러나 개성부는 외관(外官)이 아닌 경관직(京官職)으로 대우했다. 이때 영역은 동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김왕 여정(汝定), 金迬
    사마시에 합격하고, 1639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학유(學諭)와 전적을 거쳐 직강(直講)을 지냈다. 외직으로는 김천·무장·연안·양산과 충청도의 도사(都事)를 두루 역임하였다. 그 뒤 함평현감을 지내고 통정대부에 올랐다. 오위장(五衛將)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출사하지 않았다. 저서로는 『불구당집(不求...
    시대 :
    조선
    출생 :
    1606년(선조 39)
    사망 :
    1681년(숙종 7)
    경력 :
    함평현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불구당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의성(義城)
  • 경력 經歷
    공문서의 처리)의 책임을 맡게 하였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충훈부·의빈부·의금부의 경력은 폐지되었으나 오위도총부에는 4인이 증원되었고, 강화부와 광주부에는 잠시 설치되었다가 판관으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경력은 도사(都事)와 함께 부급(府級)의 주요관아에서 실무를 장악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개성부 開城府
    천도한 이후 개성의 관제는 크게 변화되어 개성유후사(開城留後司)가 설치되었고 유후, 부유후와 행정실무자들인 단사관(斷事官) · 경력(經歷) · 도사(都事) 각 1인씩을 두어 통치하였다. 그러다가 1438년(세종 20) 개성부로 개편하고 종2품 유수 2인을 두어 1인은 경기관찰사가 겸임하게 하였다. 그 뒤 1485년(성종...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성진선 즉행(則行), 成晉善
    참의 성수익(成壽益)이며, 어머니는 최세신(崔世臣)의 딸이다. 목사 성호선(成好善)의 동생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천거에 의하여 관직에 나아가 도사(都事)로 재직하던 중 1594년(선조 27) 정시 문과에 응시, 동생 성계선(成啓善)과 함께 나란히 병과로 급제하였다. 1597년 전라도도사로 있을 때, 형장(刑杖)을...
    시대 :
    조선
    출생 :
    1557년(명종 12)
    사망 :
    미상
    경력 :
    대사간, 홍문관부제학, 승정원우승지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창녕(昌寧)
  • 수령관 首領官
    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복위하여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의 속관으로 경력(經歷) 1인과 도사(都事) 2인을 둔 적이 있으나, 곧 폐지되었다. 그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 다시 설치되었는데, 이 때에는 각 도(道)의 경력·도사와 중앙 관청에 두어진 5·6...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오부 五部
    영(令) 1인, 녹사 2인이 각 부마다 있었으며, 뒤에 개정되어 주부 1인, 참봉 2인이 있었는데, 뒤에 참봉 1인을 없앴다. 1742년(영조 18) 주부를 도사(都事)로 고치고, 봉사(奉事)를 새로 설치하고 참봉을 혁파하였다. 1792년(정조 16) 오부가 각각 영 1인을 두고 봉사를 도사로 고쳤다. 이속으로는 서원(書員)이 각각...
    시대 :
    조선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극규 李克圭
    지는 폐해)를 가져오므로 불가함을 주장하였고, 사촌인 이극균(李克均)이 병조판서가 되자 피혐하기도 하였다. 일찍이 전라·황해도의 도사(都事)를 역임하고 다시 영안도도사(永安道都事)에 제수되자, 이를 회피하는 사사로운 청으로 탄핵당하기도 하였다. 1491년 보덕(輔德)이 되어 『시경(詩經)』의 장구를 잘못 해석...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병조판서, 호조참의, 병조참의, 대사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무오사화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광주(廣州)
  • 춘추경좌씨전구해 권60~70 春秋經左氏傳句解 卷六十~七十
    내용 11권(권60∼70) 1책. 영본(零本). 목판본. 199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431년(세종 13)에 경상도관찰출척사(慶尙道觀察黜陟使) 조치(曺致)와 도사(都事) 안질(安質)의 주선으로 참의(參議) 박분(朴賁) 가장(家藏)의 선본(善本)을 구해서, 청도지군사(淸道知郡事) 주소(朱邵)의 책임하에 청도에서 출간한 것이다...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출판
  • 관찰사 觀察使
    구전관(口傳官)의 형식으로 발령하던 것을 제수(除授)라는 정식 임명절차를 밟도록 개혁하였다. 1390년에는 사무 기구로 경력사(經歷司)를 설치해 경력과 도사(都事)라는 수령관을 두어 조선시대 관찰사제의 기본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조선 태종대에 이르기까지 관찰사제는 확고히 정착되지 못하였다. 즉, 양계(兩界...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폐지일 :
    1910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충익위 忠翊衛
    忠翊司)가 설치된 바 있다. 이 관부는 공해전(公廨田)을 받아 수세(收稅)해 운영되었다. 1466년에 충익부(忠翊府)라 개칭되어 종2품 아문으로 승격하고 도사(都事) 2인을 두어 운영하였다. 그러나 이 충익부가 관장하는 일이 없다고 하여 1555년(명종 10) 공신을 위한 충훈부(忠勳府)에 합속(合屬)되고 무반(武班) 계열...
    시대 :
    조선
    성격 :
    군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1456년(세조 2)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시와유고 是窩遺稿
    연행잡영(燕行雜詠」·「발요동 發遼東」 등이 있어 저자가 연경(燕京)에 다녀온 일을 알려 주고 있다. 소에는 사직소가 대부분이다. 「의상소(擬上疏)」는 도사(都事)를 사양하면서 연분(年分: 농사의 풍흉에 따라 토지의 등급을 매기는 것)과 고강(考講: 강시(講試)의 성적을 평가하는 것)에 대해 건의한 것이다. 연분...
    시대 :
    조선
    저작자 :
    한태동(韓泰東)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8권 3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단국대학교 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