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대천연어생태공원
    남대천 연어생태공원은 연어가 회귀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이곳에는 생태환경을 관찰할 수 있는 데크로드와 전망대가 조성되어 있다. 생태 관찰로에는 길이 700m 정도의 데크가 뻗어 있고, 6개의 전망대도 있어 사계절 내내 산책하기 좋다. 이 길에선 갈대와 물억새와 같은 남대천의 생태환경을 관찰할 수도 있다...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조산리 86-7
  • 추가령 구조곡 楸哥嶺 構造谷
    3㎞에 위치한 오리산(454m)을 중심으로 구조선을 따라 용암이 열하분출되어 이른바 철원 · 평강 용암대지를 형성하였으며, 이 용암은 열곡을 따라 북쪽으로는 남대천을 따라 북한의 강원도 고산군 북부일대까지, 남쪽으로는 한탄강과 임진강을 따라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일대까지 흘러내렸다. 이 용암 분출로 인하여...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안변평야 安邊平野
    내용 남대천(南大川)·한천(漢川)·해천(蟹川) 등의 하천이 만든 충적평야이다. 추가령구조곡의 북쪽을 차지하며 북류해 온 남대천이 갈마반도(葛麻半島) 기부(基部)에서 영흥만으로 흘러들어간다. 동서 약 2㎞, 남북 약 6㎞의 평야이다. 북쪽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비교적 온난하고 일조시수가 많은 데다가 일찍부터...
    성격 :
    평야
    유형 :
    지명
    면적 :
    남북 약 2㎞, 동서 약 6㎞
    소재지 :
    함경남도 안변군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이원군의 자연환경
    부전령산맥이 뻗어내려 북부와 서부는 높고 남대천(이원 남대천) 하류와 이원만 연해지역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진다. 군의 북부에 동서방향으로 길게 뻗은 대덕산맥에는 마라산(842m)·쓰리산(1,015m)·추덕산(1,000m)·성령(496m)·작봉(870m) 등이 솟아 있고, 서부와 남부 경계를 따라 영덕산(1,407m)·매봉(932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강원도(북한)의 자연환경
    768m)·아호비령(641m)·추가령(599m) 등의 고개가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을 연결해주고 있다. 하천은 태백산맥을 분수령으로 하여 동해로 유입하는 전탄강·남대천·광교천·남강 등이 있다. 이 하천들은 대체로 하천길이가 짧고 유속이 빠르며, 유량이 적고 하폭의 계절변동이 심하다. 그러나 서해로 흐르는 임진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한
  • 강릉시의 자연환경 江陵市─自然環境
    속한다. 이와 같은 서고동저형 지세로 인하여, 거의 모든 하천들이 서쪽 고산지대에서 발원하여 중산간지대를 거쳐 동해로 유입한다. 주요 하천으로는 남대천이 이 지역의 중앙을 가로질러 동해로 유입하며, 북쪽에는 오대산맥의 연봉인 동대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연곡천이 있다. 연곡천연안의 중산간지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단천습곡대 端川褶曲帶
    동쪽에는 관모봉지괴가 있고, 서쪽에는 낭림지괴(일명 평북지괴)가 있다. 마천령누층군은 하부의 성진통(城津統), 중부의 북대천통(北大川統) 및 상부의 남대천통(南大川統)으로 3분되는데 전체적으로 석회암이 우세하다. 성진통은 편마암·편암·각섬암·결정질석회암으로 구성되며, 두께는 3,000m 내외이다. 북대천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안변군 등주, 安邊郡
    산맥이 합쳐지는 곳에는 남북으로 단층곡인 추가령구조곡(楸哥嶺構造谷)이 발달했으며, 곳곳에 현무암이 분출되어 대지(臺地)를 이룬다. 이곳에서 발원한 남대천(南大川)이 북류하면서 상류에는 삼방(三防) 같은 기승지를 만들고, 중 · 하류에는 비교적 넓은 안변평야를 전개시키며 영흥만(永興灣)으로 들어간다. 또한...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금강모치
    전장 4cm 이하, 2년생은 4~6.5cm, 3년생은 6.5~8cm이다. 8cm 이상은 4년생 이상이다. 압록강, 대동강, 한강, 금강 등에 분포한다. 금강 수계에는 무주 남대천의 상류에만 서식하고 있다. 동해로 유입하는 고성의 남강 상류에는 하천 쟁탈에 의해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사종인 버들치에 대한 기록이 서유구(徐有榘...
    분류 :
    척색동물문, 조기어강, 잉어목, 잉어과
    원산지 :
    한국
    서식지 :
    한강, 금강, 압록강, 대동강
    출산시기 :
    4~5월
    성격 :
    동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길이 6~10㎝
    학명 :
    Rhynchocypris kumgangensis (Kim, 1980)
    분야 :
    과학/동물
  • 길주군 吉州郡
    설령봉(雪嶺峰, 1,836m)·고두산(高頭山, 1,988m)·두류산(頭流山, 2,309m)·만탑산(萬塔山, 2,205m) 등이다. 토양은 도내에서 비옥한 편에 속한다. 특히, 남대천 하류 이북은 길주·명천지구대를 형성하고, 남대천 유역에는 비교적 넓고 비옥한 평야가 전개되어 있다. 서북 산악 지역과 동남 평야 지역의 기온차가...
    시대 :
    근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장연군 長淵郡
    串) 앞바다는 심청(沈淸)이 뛰어들었다는 인당수(印塘水)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장산곶 남쪽의 서해 상에는 크고 작은 섬들이 있다. 불타산에서 발원하는 남대천(南大川)이 서류하여 황해로 흘러 들어가며 유역에 곡저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동남부에서는 광탄천(廣灘川)이 곡류, 대동만으로 들어가는데 하류에 비교적...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허천군의 자연환경
    1,148m)·죽덕산(1,318m)·장평북산(1,295m)·늪재산(1,429m)·대덕산(1,012m)·쇠덕령(1,283m)·아래가마봉(1,160m)·청계산(939m) 등이 있다. 남대천(단천남대천)이 군의 서부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단천시를 지나 동해에 흘러들며, 그 지류인 신평천·금창천·황곡천 등이 흐른다. 군의 남동부 남대천 연안에는 퇴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건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낚시
황해(Yellow Sea)
장연군
삼천군
길주군
참수리 미성숙 개체(2011.1.23. 강원 양양 남대천)
참수리 어린새(2006.1.14. 강원 강릉 남대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