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까치발 녹각초(鹿角草)
    양성화이다. 꽃차례받침은 통 모양이고 5~6개인 꽃턱잎 조각은 선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양쪽에 털이 있다. 열매 9~10월에 좁은 선형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까끄라기처럼 생긴 긴 갓털이 밑을 향해 나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달라붙는다. 특징 및 사용 방법 가는도깨비바늘·두가래도깨비바늘 ·잔잎가막사리라고도 한다...
    학명 :
    Bidens parviflor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과 들
    번식 :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동화채(桐花菜)
    키 :
    60cm 정도
    과 :
    국화과
    생활사 :
    한해살이풀
    채취기간 :
    여름~가을, 8월(개화기)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10~20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지만 오래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수수
    밀생한다. 암꽃은 화경(花莖:꽃대)이 없고 길이 5㎜ 정도로서 넓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밑부분에 속모(束毛)가 있다. 내영(內穎:이삭)은 길이 6㎜ 정도의 긴 까끄라기가 있으며 각 마디에 대가 있는 수꽃이 1, 2개씩 달린다. 원산지는 열대 아프리카이며 인도와 유럽에서 재배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서기전 6∼4세기...
    분류 :
    벼과
    원산지 :
    열대 아프리카
    성격 :
    식물, 작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2m
    학명 :
    Sorghum bicolor MOENCH
    분야 :
    과학/식물
  • 대새풀 朝阳隐子草
    작은 꽃자루는 짧으며 작은이삭이 빽빽이 달리고 작은이삭은 피침형으로 2~4개의 작은꽃으로 되며 녹색 바탕에 적자색이 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3mm이고 둘째 포영은 2~4mm이며 호영은 길이 4~5mm로 갈라진 끝 사이에 까끄라기가 있다. 까끄라기의 길이가 10mm 정도로 긴 것을 수염대새풀이라 한다. 깨진 링크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쇠풀 裂稃草
    꽃차례의 길이는 1~2cm이다. 작은이삭은 각 마디에 2개씩 달리는데 그중 1개는 자루가 있으나 1개는 자루가 없다. 자루가 있는 작은이삭은 길이 3mm의 까끄라기로 되고, 자루가 없는 작은이삭은 길이 3mm 정도의 피침형으로서 자줏빛이 도는 적색이다. 포영에는 잔점이 있고 중륵(中肋)에 털과 3맥이 있다. 내영은 끝이...
    도서 위키백과
  • 망종 Mangzhong, 芒種
    등 수염이 있는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에 좋은 때라는 뜻이다. 태양 황경이 75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6월 6일 전후다. 망종(芒種)의 망(芒)은 벼처럼 까끄라기가 있는 곡물을, 종(種)은 씨앗을 말한다. 까끄라기 곡식을 뿌리기 적당한 계절이란 뜻이다. 예로부터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도서 위키백과
  • 좁쌀풀 가는좁쌀풀
    가까운 식물들 • 앉은좁쌀풀 : 키는 20~40㎝이며, 꽃이 노란색으로 핀다. • 깔끔좁쌀풀 : 좁쌀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더 깊게 갈라지고 톱니 끝이 까끄라기처럼 길다. 키는 5~10㎝로 아주 작으며, 한라산에 분포한다. • 애기좁쌀풀 : 높은 산의 풀밭에서 자라며, 키는 10~15㎝이다. 6~8월에 흰색 또는 붉은빛을 띤...
    분류 :
    앵초과
    서식지 :
    양지 혹은 반그늘인 풀숲의 가장자리
    꽃색 :
    노란색
    크기 :
    키는 약 40~80㎝ 정도
    학명 :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Ledeb.) R. Kunth
    용도 :
    관상용, 어린순은 식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생활사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6~8월
    결실기 :
    9~10월경
  • 참좁쌀풀 참좁쌀까치수염
    키는 60~80㎝이다. • 선좁쌀풀 : 키는 20~40㎝이며, 꽃이 노란색이다. • 깔끔좁쌀풀 : 좁쌀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더 깊게 갈라지고 톱니 끝이 까끄라기처럼 길다. 키는 5~10㎝로 아주 작으며, 한라산에 분포한다. • 애기좁쌀풀 : 높은 산의 풀밭에서 자라며, 키는 10~15㎝이다. 6~8월에 흰색 또는 붉은빛을 띤 자주색...
    분류 :
    앵초과
    서식지 :
    습기가 많은 반그늘의 토양 비옥도가 높은 곳
    꽃색 :
    노란색
    크기 :
    키는 약 50~100㎝ 정도
    학명 :
    Lysimachia coreana Nakai
    용도 :
    관상용
    분포지역 :
    경상북도, 강원도, 경기도와 지리산 일대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6~7월
    결실기 :
    9~10월경
  • 파리풀 꼬리창풀
    0.6㎝이다. 작은 입술 모양의 꽃이 밑에서부터 위를 향해 달리지만 점차 옆을 향하고, 뒤쪽에 있는 3개의 열편은 가시처럼 되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까끄라기는 길이가 약 0.2㎝ 정도이다. 열매는 10월경에 달린다. 파리풀과에 속하며, 꼬리창풀이라고도 한다. 전초는 약으로 쓰인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분류 :
    파리풀과
    서식지 :
    반그늘 혹은 양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
    꽃색 :
    연한 자주색
    크기 :
    키는 약 70㎝ 정도
    학명 :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 Hara
    용도 :
    전초는 약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히말라야 산맥, 동시베리아 등지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7~9월
    결실기 :
    10월경
  • 깔끔좁쌀풀 깔큼깨풀
    야생화, 특히 온갖 식물이 무성해지는 여름철에 조그만 들꽃을 발견하기란 정말 쉽지 않은 일이다. 좁쌀풀과 비슷하나 잎이 더 깊게 갈라지고 톱니 끝이 까끄라기처럼 길다. 또 꽃받침 조각이 갈라져 약간 뒤로 젖혀진다. 무엇보다 키에서 차이가 나는데, 깔끔좁쌀풀은 5~10㎝로 아주 작은 반면 좁쌀풀은 키가 40~80㎝로...
    분류 :
    현삼과
    서식지 :
    풀숲의 물 빠짐이 좋은 반그늘
    꽃색 :
    적자색
    크기 :
    키는 약 40~80㎝ 정도
    학명 :
    Euphrasia coreana W. Becker
    분포지역 :
    제주도 한라산
    생활사 :
    한해살이풀
    개화기 :
    8월
    결실기 :
    10월경
  • 선좁쌀풀 앉은좁쌀풀
    식물이다. 가까운 식물들 • 좁쌀풀 : 키는 40~80㎝이며, 노란색 꽃이 핀다. • 깔끔좁쌀풀 : 좁쌀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더 깊게 갈라지고 톱니 끝이 까끄라기처럼 길다. 키는 5~10㎝로 아주 작으며, 한라산에 분포한다. • 애기좁쌀풀 : 높은 산의 풀밭에서 자라며, 키는 10~15㎝이다. 꽃은 6~8월에 흰색 또는 붉은빛을...
    분류 :
    현삼과
    서식지 :
    습기가 많은 풀숲
    꽃색 :
    연한 자주색
    크기 :
    키는 약 20~30㎝ 정도
    학명 :
    Euphrasia maximowiczii Wettst.
    용도 :
    관상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생활사 :
    반기생 한해살이풀
    개화기 :
    6~8월
    결실기 :
    8~10월경
  • 에머밀 Emmer, エンマーコムギ
    에머밀 또는 엠머밀(emmer wheat, hulled wheat), 에머(Emmer)는 까끄라기 밀의 일종이다. 에머밀은 4배체(4n = 4x = 28개의 염색체)이다.<“Complex Bread Wheat Genome Cracked”. 엠머밀은 기원전 10,000년부터 재배된 ‘진짜’ 고대밀이다. 엠머밀은 비옥한 초승달 주변에 흩어져 있는 많은 신석기 유적지에서 발견...
    도서 위키백과
  • 솔새 Themeda triandra, 黄背草
    연속적으로 이어져 원추꽃차례가 된다. 작은이삭은 4개의 수꽃이 돌려나고, 그 중앙에 1개의 암꽃이 있으며, 밑부분에 털이 있다. 포영은 백색으로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으며, 앞쪽에 길이 3.5~7cm의 까끄라기가 있다. 줄기는 지붕을 잇는 데, 뿌리는 솔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한국잡초학회 잡초 DB ― 솔새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