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유교 유술, 儒敎후백제와 고구려계의 지식인들까지도 고려 관료제의 내부로 흡수시키는 방도가 되었고, 지방 호족들의 중앙 관료화를 촉진해, 유교적 문치주의를 확대하는 결과를 낳았다. 백관의 공복을 제정해 중화(中華)의 제도를 좇도록 한 것 또한 특기할만하다. 성종은 유교를 숭상해 공자와 주공의 풍을 일으키고, 당우(唐虞)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검모잠 겸모잠(鉗牟岑), 劍牟岑한다. 또한 궁모성을 서해의 수군 기지로 보고 고려시대에 궁구문(弓口門)이라 불리던 평안북도 의주로 비정하려는 견해도 있으며, 최근에는 고구려 부흥운동을 요동과 한반도를 연계해 파악하여 개모성(蓋牟城)으로 비정하는 견해가 새로이 제기되었다. 검모잠은 한성[漢城 : 지금의 황해도 재령]에 자리를 잡고 서해...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음악 音樂규칙적인 운동의 질서로 규정된 리듬은 타악기 반주에서뿐만 아니라 선율의 진행에서도 나타난다. ‘선율리듬(melodic rhythm)’이라고 하는 이러한 특징은 특히 산조에서 뚜렷이 나타나는 것으로서, 한국음악의 장단이 가지는 특징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양상이다. 그리고 자진모리장단이나 휘모리장단 등에서 보이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학교 學校백제에도 고구려에 상당하는 교육기관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신라 신라는 형식교육에 준하는 화랑도를 제외하고도 국립종합대학인 국학을 설립하여 인재와 관리를 양성하였다. 신라는 대륙문화의 영향을 늦게 받아들였고 형식을 갖춘 학교교육도 삼국통일 이후에 성립하였다. 그러나 신라 고유의 화랑도라고 하는...
- 유형 :
- 제도
- 분야 :
- 교육
-
문무왕 문무(文武), 文武王옛 땅에 대한 지배권을 차지하기 위해 당나라와 새로운 전쟁을 치르지 않을 수 없었다. 문무왕이 옛 백제 땅인 금마저에 안승을 맞아들인 것도, 고구려 부흥 운동과 연결해 당나라 및 당나라와 결탁한 웅진도독 부여 융의 백제군에 대항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다. 한편, 문무왕은 670년 품일(品日) · 문충(文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다식 多式내용 관계는 소형(小兄)이며 외교활동으로 유명하였다. 고구려가 망하자 670년(문무왕 10) 6월 고구려의 유민은 고구려부흥운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이 때 검모잠(劍牟岑)이 고구려유민을 모아 궁모성(窮牟城)으로부터 패하(浿河)를 도강하여, 남방으로 진출하여 당나라의 관리와 승 법안(法安)을 죽였다. 그리고 신라...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안승, 문무왕의 사위가 되다맞아들였다. 안승은 보장왕의 서자 또는 외손자라는 기록이 있는 고구려 왕족으로, 검모잠에 의해 왕으로 추대됐으나 내부 갈등이 생기면서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에 망명했다(고구려 부흥 운동 참조). 신라는 안승과 그의 추종 세력을 금마저(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에 머물게 하고, 안승을 고구려 왕에 봉한 바 있다. 참조
- 시대 :
- 680년
- 국가/대륙 :
-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