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합 메모리 구조 UMA, 統合-構造UMA는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 프로세서와 그래픽스 제어기 양방으로부터 접근이 있기 때문에 충돌 문제가 일어날 수 있고, 따라서 UMA로 하지 않았을때 보다 약 10/15% 정도의 성능이 떨어진다. 하지만 동기식 동적 램(SDRAM) 등 고속의 동적 램(DRAM)을 사용함으로써 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동기식 동적 램, 동적 램
-
-
-
-
-
나노 전자 소자 -電子素子, Nanoelectronic device회사(NEC)의 이지마 스미오는 직경 2~20nm인 원통형의 탄소 나노 튜브(CNT : Carbon NanoTube)를 처음 발견하였다. 탄소 나노 튜브 발견 당시에는 16기가의 동적 램(DRAM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 출시되고 있었다. 기존 동적 램의 선폭(도선의 폭)은 500nm 정도로 탄소 나노 튜브가 이루는 선폭보다 약 200...
-
중자제조기조작원수행직무 중자금형의 가열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금형을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가열된 중자금형을 기계램(Ram) 아래에 있는 하부베드 위에 올려놓는다. 스위치를 조작하여 램이 하강하는 동시에 공기밸브의 조절로 상부에 있는 저장통에 있는 모래가 금형 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램을 상승시키고 금형이 연속작업을...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1년 초과 ~ 2년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수집
- 직무기능(사람) :
- 관련없음
- 직무기능(사물) :
- 제어조작
- 유사명칭 :
- 코어제조기조작원
- 고용직업분류 :
- [8233]주조원
- 표준직업분류 :
- [7412]주조원
- 자격/면허 :
- 주조기능사, 주조산업기사, 주조기능장
- 표준산업분류 :
- [C243]금속 주조업
- 조사연도 :
- 2015년
-
램버스 rambus마이크로프로세서와 동적 램(DRAM) 사이에 초당 500/600MB의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정식 명칭은 램버스 채널(rambus channel)이다. 미국 램버스사가 1992년에 개발하였는데, 대규모 집적 회로(LSI) 사이에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과 이 인터페이스에 준거한 동적 램 기술...
-
SyncLink DRAM SLDRAM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킨 고속 동적 램(DRAM)의 일종. 고속 DRAM은 1997년에 200M/300MBps의 동기식 동적 램이 보급되었으나, 그후 1.5GBps의 고속 DRAM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 칩의 표준화 조직인 동기 링크 콘소시엄이 최종 규격을 확정하였다. 규격의 특징은 ㉠통신과 같이 약속 사항을 결정하는 데이터를...
-
낸드 플래시 메모리 Nand Flash Memory각종 정보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1987년 일본 도시바[東芝]에서 개발했다.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자료가 사라지는 D램이나 S램과 달리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데이터가 계속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이다. 값이 싸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많은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칩을 연결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