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문사 석실 普門寺 石室
    내용 가로 11.3m, 세로 8m, 높이 4m. 1995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석모도(席毛島)의 주봉 낙가산(洛迦山) 중턱에 있다. 석실은 원래 자연동굴로 약900㎡의 자연 암반 밑에 90㎡쯤 의 규모이다. 일명 신통굴(神通窟) 또는 나한전(羅漢殿)이라고도 하는데, 석실 한가운데에는 석가...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덕봉서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호, 德峰書院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호. 1695년(숙종 21)에 창건되었으며, 오두인(吳斗寅)의 위패를 모셨다. 1697년에 사액을 받아 사액서원으로 승격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남아 있었으며, 1979년에 사우를, 1984년에 동재와 서재를 중건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군위 불로리 마애보살입상
    군위 불로리 마애보살입상은 지면에서 약 7㎞높이의 암벽에 조각된 높이 2.4㎞의 입상으로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형으로 봐서 조성 당시에는 나지막한 야산의 중턱에 있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현재는 도로 개설과 확장으로 인해 암반이 많이 절개되어 불상이 있는 곳은 가파른 절벽이...
    위치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불로리 산1번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강원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강원특별자치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101호 평창향교(平昌鄕校) 강원 평창군 평창읍 하리 204 향교재단 1985년 1월 17일 지정 102호 삼척향교(三陟鄕校) 강원 삼척시 교동 566 향교재단 1985년 1월 17일...
    도서 위키백과
  • 충주 청룡사 위전비
    사원 경제 분야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비석으로, 당시의 사찰 경영을 위한 경제상을 알 수 있는 귀중한 금석문이다. 근처에 여러 가지 불교 문화재가 남아있으며 새로 지은 청룡사가 불사를 이어가고 있다. 참고문헌 https://encykorea.aks.ac.kr/ 참고문헌 https://www.chungju.go.kr/tour/ 참고문헌 http://www...
    위치 :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길 147
    문화재 지정 :
    [충주 청룡사 위전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2호(2004.09.27 지정)
  • 제천 백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제천 백련사에서 봉안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아미타여래 좌상이다. 조선 영조 2년(1736)에 조성된 불상으로써 단양군 조계사의 삼존불 중 주불이었으나 후대에 백련사로 이전하여 봉안되었다. 높이 75㎝, 무릎 폭 48㎝의 비교적 작은 나무 불상으로 얼굴이 작은 데 비해 귀가 크고 반듯한 이목구비를 하고 있다. 머리는...
    위치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명암로5길 414
    문화재 지정 :
    [제천 백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17호(2002.12.06 지정)
  • 완도향교
    완도향교는 광무 1년(1897)에 향토 유사 김광선이 향교 건립을 추진하여 지었다. 1896년에 완도가 설군 되고, 그해 5월 15일에 군민대회가 열려 향교의 설립과 양사재의 설치가 결의되었다. 군 초창기에는 재정의 곤란으로 착수할 수 없었으나 당시 탁지부와 제도의 도움으로 건설하게 되었다. 1903년에는 유생의 강학을...
    위치 :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죽청길 94-73
    문화재 지정 :
    [완도향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7호(1984.02.29 지정)
  • 충렬서원
    충렬서원은 고려말 문신인 포은 정몽주(1337~1392)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건립된 서원이다. 1576년(선조 9년)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정몽주와 조광조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충렬사(忠烈祠)에서 시작되었는데, 1609년(광해군 1년)에 충렬(忠烈)이라 사액 되었다. 그 뒤 정몽주의 손자인 정보(鄭保)와 병자호란 때의...
    위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충렬로 9-19
    문화재 지정 :
    [충렬서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호(1972.05.04 지정)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는 시도유형문화재 중에서 경상북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단체) 지정일 참조 1호 (미상) 2호 (미상) 3호 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릉운탑비(鳴鳳僿境淸禪院慈寂禪師凌雲塔碑) 경북 예천군 상리면 명봉리 산1-1 명봉사 1972년 12월 29일 지정, 2010년 2월 24일...
    도서 위키백과
  • 청련암(대구)
    청련암은 우록리 최정산(最頂山) 있는 남지장사의 부속 암자로 지장보살을 모시는 도량이다. 신라 신문왕 4년(684) 양개조사가 왕명으로 남지장사를 창건하면서 함께 지었다고 전한다. 임진왜란 때 유정의 지휘 아래에 있던 승병들이 훈련장으로 사용하였으나 전쟁 때 화재로 소실되었고, 1808년에 재건한 것이다...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남지장사길 127
  • 개심사 목조여래좌상과 목조관음보살좌상
    개심사에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나무로 된 여래좌상과 관음보살좌상이 모셔져 있다. 원래 칠성면 두천리의 도덕암에 있던 것을 암자가 폐사되면서 옮겨온 것이다. 괴산읍 서부리에 살던 김경림이 1935년경 현재의 개심사를 신축하면서 옮겨왔다고 전한다. 2구의 각부 조각과 단아한 양식수법은 조선후기의 불상으로...
    위치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역말길 22
    문화재 지정 :
    [괴산 개심사 목조여래좌상 및 목조관음보살좌상] 충북유형문화재 제173호(1993.11.05 지정)
  • 충주 추평리 삼층석탑
    왕조실록에 기록된 엄정사일 가능성이 크며, 절터는 3층 석탑이 있는 주변과 인근 민가 일대까지 포함되는 약 3,000평 규모로 추정된다. 삼층석탑은 가종 문화재 자료에 단층 기단의 삼층 석탑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지금은 기단 갑석 아랫부분이 시멘트로 고정되어 있어 확인할 수 없으며 남아있는 탑신의 비례도 균형을...
    위치 :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추평리 576-6
    문화재 지정 :
    [충주 추평리 삼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5호(2003.06.13 지정)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1건

월영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신흥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한풍루(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9호)
광풍루(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2호)
현절사(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호)
조양루(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호)
애한정(충북유형문화재 제50호)
해암정(강원유형문화재 제63호)
수표교(서울유형문화재 제18호)
신광사 대웅전(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
문백면 구곡리 농다리(지방유형문화재 28호)
고부면 군자정(전북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동화사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
Q.침괘정(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호)
보은동헌(충북유형문화재 제115호)
청량당(경기유형문화재 제3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