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울릉 사동 비둘기 서식지
    울릉 사동 비둘기 서식지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사동에 있는, 비둘기가 사는 곳이다.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37호로 지정되어 있다. 울릉 도사동의 비둘기 서식지 - 문화재청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에 있는 사진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경관이 아름답다. 문섬에는 땅에서 자라는 식물 118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그 중에는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보리밥나무와 큰보리장나무의 군락이 있으며, 비둘기의 서식처인 후박나무도 자라고 있다. 범섬에는 총 142종의 식물들이 자라고 있는데, 이 중에 거문도와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물푸레나무과의 박달목서가...
    도서 위키백과
  • 비둘기
    살고 있다. 낭비둘기는 한탄강 자유의 다리 교각 같은 곳에 정착하기도 하지만 해안의 바위 절벽 또는 내륙의 바위 산, 바위 굴 등 산간지역에서도 산다. 비둘기는 천연기념물 제21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울릉도·소흑산도·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의 사수도 등지에 서식하는 희귀한 도서종이다. 염주비둘기는...
    분류 :
    비둘기과
    성격 :
    동물, 조류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동물
  • 아내를 내쫓는 비둘기
    이름 중에 맹시사(孟施舍)나 유공(庾公) 등이 있는 것과 같다. 자허두(紫虛頭): 머리부터 목과 가슴까지 자주색이다. 등에서부터 날개와 꼬리까지는 희다. 허두(黑虛頭): 머리부터 가슴까지 검은색이다. 등부터 날개와 꼬리까지는 희다. 중국의 현대 화가 구서우산(谷守山)이 그린 비둘기 떼 그림에는 위 글에서 소개...
    도서 새 문화사전 | 태그 고전문학
  • 비둘기 Columba (genus), カワラバト属
    C. torringtoniae) 창백비둘기 (C. punicea) 은빛비둘기 (C. argentina) - 절멸로 알려졌으나 2008년 재발견 안다만숲비둘기 (C. palumboides) 비둘기 (C. janthina) 오가사와라 비둘기 (C. janthina nitens) - 1980년대 절멸 보닌숲비둘기 (C. versicolor) - 1890년경 절멸 류큐숲비둘기 (C. jouyi) - 1930년대말...
    도서 위키백과
  • 비둘기 Columbiformes, ハト目
    가슴근육이 튼튼하여 잘 날 수 있다. 모이주머니가 분화되어 있으며, 모이주머니의 벽에서 나오는 분비액으로 새끼를 기른다. 산비둘기·초록비둘기·염주비둘기·비둘기·양비둘기·묏비둘기를 비롯하여 50개 속에 344종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 15종은 멸종되었다.웹 인용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분류군 식별자위키...
    도서 위키백과
  • 조류 시리즈(제3집) 검은머리물떼새
    체신부에서는 조류시리즈 우표 3집으로 비둘기와 검은머리물떼새를 도안하여 발행한다. 1. 비둘기 비둘기는 햇빛 아래 근거리에서는 녹색과 장미색의 광택이 있는 흑색비둘기로서 몸의 길이는 38-44센티 가량이다. 이 새는 국지적(局地的)인 텃새로서 해안 앞 바다섬의 마을 근처에서 서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발행일 :
    1976.7.20
    발행량 :
    40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20원
    디자인 :
    검은머리물떼새
    우표번호 :
    1027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4×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4도색
    디자이너 :
    김성실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조류 시리즈(제3집) 흑비둘기
    체신부에서는 조류시리즈 우표 3집으로 비둘기와 검은머리물떼새를 도안하여 발행한다. 1. 비둘기 비둘기는 햇빛 아래 근거리에서는 녹색과 장미색의 광택이 있는 흑색비둘기로서 몸의 길이는 38-44센티 가량이다. 이 새는 국지적(局地的)인 텃새로서 해안 앞 바다섬의 마을 근처에서 서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울...
    발행일 :
    1976.7.20
    발행량 :
    40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20원
    디자인 :
    흑비둘기
    우표번호 :
    1026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4×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4도색
    디자이너 :
    김성실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천연기념물 天然記念物, natural monument
    한란'과 경상남도 '함안 법주면의 늪지식물'이 있다. 동물 동물을 주체로 지정한 것은 61건이다. 특정동물의 서식지로는 광릉(크낙새), 울릉도 사동(비둘기), 천지연폭포(무태장어), 강원도의 정암사(열목어), 경상북도 봉화 석포면(열목어), 전라북도 무주 설천면(반딧불) 등 6곳, 조류의 번식지로는 여주 신접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천연기념물
  • 천연기념물 天然記念物
    남양주시의 광릉 크낙새 서식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의 천지연 무태장어 서식지, 경상북도 봉화군의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경상북도 울릉군의 사동리 비둘기 서식지 등이 있다. 번식지로서는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가 경기도 여주시 신접리, 전라남도 무안군 용월리,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포매리, 경상남도...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식물
  • 서양낭비둘기 wood pigeon
    수 있다. 이 대형의 비둘기는 군집을 이루어 땅바닥에서 씨앗·곡식낟알·장과를 주워먹으며, 모이주머니에 60개 이상의 도토리를 저장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낭비둘기속에 속하는 종류에는 알락나무비둘기·비둘기·붉은나무비둘기·잿빛나무비둘기 등이 있으며, 모두 동남아시아와 태평양의 섬에 널리 분포한다...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비둘기목 > 비둘기과
    원산지 :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먹이 :
    상수리나무
    크기 :
    약 38cm ~ 43cm
    무게 :
    약 450g
    학명 :
    Columba palumbus
    식성 :
    초식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초식동물
  • 한라산의 동물상
    무당개구리 등은 멸종위기에 있다. 새는 21목 41과 198종류가 서식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은 황새·백조·두루미·재두루미·팔색조·너새(느시)·비둘기·두루미이며, 제주참새·밀화부리·장빅새·종다리·붉은배등고비·박새·진박새·개개비시촌·제주고목눈이·제주큰오색딱따구리·제주굴뚝새 등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제주도 ,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4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