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두루미겨울철에는 낙곡을 주로 먹는다. [현황] 두루미는 두루미과 두루미속의 조류로,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보내는 두루미과 두루미속에는 두루미·재두루미·검은목두루미·흑두루미 4종이 있다. 번식지는 냉대·온대 기후의 광활한 내륙 습지인데, 대륙 번식 집단과 일본 홋카이도 번식 집단으로 나뉜다. 대륙 집단은 중국...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순천만습지 갈대와 갯벌이 만든 생명의 보고갯벌이 대표적인 연안습지다. 연안습지는 다양한 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나는 곳이기 때문에 자연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곳이다. 순천만에는 매해 겨울이면 흑두루미,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검은머리물떼새 등의 철새가 찾아온다. 순천만이 조류가 살 수 있는 천혜의 환경 조건을 갖췄다는 증거다. 철새 외에도 각종 게류...
- 위치 :
-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만길 513-25
-
-
연안 습지에서 생활하는 바닷새참갯지렁이를 먹거나 잠을 자고 휴식을 취하기 때문에 넓은 의미에서 바닷새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멸종 위기에 처한 재두루미, 두루미, 흑두루미 그리고 검은목두루미 등이 찾아온다. 이들은 겨울철 농경지에 떨어진 벼 낱알이나 율무 등을 주워 먹는데, 매년 이들의 먹이가 부족해 사람들이 따로 모이를 주어...
-
-
-
천연기념물 天然記念物제주 흑돼지 등이 있다. 조류는 크낙새, 따오기, 황새, 먹황새, 두루미, 재두루미, 팔색조, 저어새(저어새 및 노랑부리저어새), 느시(들칠면조), 흑비둘기, 흑두루미, 까막딱따구리, 수리류(독수리 · 검독수리 · 참수리 · 흰꼬리수리), 매류(참매 · 붉은배새매 · 새매 · 개구리매 · 황조롱이매), 올빼미...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식물
-
철원 철새도래지 (철원평야)있다. 겨울철에는 독수리와 같은 수리류도 볼 수 있으며, 두루미·재두루미 등의 귀한 새들이 와서 겨울을 지내고 일본에서 겨울을 보내는 재두루미와 흑두루미들도 이곳을 거쳐 북쪽으로 간다. 이외에도 노랑부리백로, 물총새, 물떼새 등 다양한 새들이 서식하고 있어, 이곳을 방문하면 철원평야의 아름다운 풍경 속...
- 위치 :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일부
-
순천만 順天灣갯벌이 계속 퇴적(堆積)되어 성장했다. 이후 갯벌에 염생 식물(鹽生植物)이 정착하고 점차 갈대가 형성되어 연안 습지(沿岸濕地)가 형성되자 천연기념물 흑두루미와 같은 철새들이 찾아오기 시작했다. 순천시의 배수 기능을 하는 이사천과 동천은 유속이 늦고 곡류로 하천의 유속이 지체되면서 범람하는 경우가 많았다...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멸종위기야생생물, 滅種危機 野生動植物잿빛개구리매 · 조롱이 · 참매 · 큰고니 · 큰기러기 · 큰덤불해오라기 · 큰말똥가리 · 팔색조 · 항라머리검독수리 · 호사비오리 · 흑기러기 · 흑두루미 · 흑비둘기 · 흰목물떼새 · 흰이마기러기 · 흰죽지수리가 있다. 양서류 · 파충류는 5종으로 구렁이 · 금개구리 · 남생이 · 맹꽁이 · 표범장지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동물
-
금야겨울새살이터하류로 삼각주를 이루는데 겨울 철새들의 월동지이다. 산봉우리와 산줄기에는 소나무와 참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10월 중순부터 이듬해 3월까지 두루미·흑두루미·고니·느시가 날아온다. 12월부터 2월까지는 흰꼬리수리와 참수리가 날아들며 드물게는 독수리도 관찰된다. 10월 하순부터 이듬해 3월까지는 바다...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275호
- 성격 :
- 서식지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함경남도 금야군 해중리, 함경남도 금야군 광덕리, 함경남도 금야군 독구미리, 함경남도 금야군 원령리
- 분야 :
- 과학/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