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규갑 원서(元瑞), 李奎甲충청도의원, 청원법률심사위원회 위원, 대한적십자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대 중국 흑룡강성의 삼일학교(三一學校)의 교사로 근무하며 애국청년혈성단(愛國靑年血誠團)을 조직하였고,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미국남감리회 소속 목회자로 선교활동과 교육사업에 종사하였다. 1927년 가족과 함께 귀국하여 1929년...
- 시대 :
- 근대, 현대
- 출생 :
- 1887년(고종 25)
- 사망 :
- 1970년
- 경력 :
- 상해임시정부 의정원 의원, 국회의원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3·1운동, 한성정부 수립, 신간회 운동
- 직업 :
- 독립운동가, 목사, 정치인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덕수(德水)
-
무장독립운동비사 武裝獨立運動秘史島國民會)·대한정의군정사(大韓正義軍政司)·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광복단(光復團)·광정단(光正團)·의민단(義民團)·야단(野團)·대한신민회(大韓新民會)·혈성단(血誠團). 제5장 일군(日軍)의 한교(韓僑) 학살 사건과 독립군 : 혼춘 사건(琿春事件)과 청산리 전투, 이를 전후한 일본군의 한국인 학살에 대한...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채근식
- 창작/발표시기 :
- 1949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대한민국 공보처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이장녕 백우(白于), 李章寧勳)과 함께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1920년 청산리전투를 치른 뒤 북로군정서·대한독립군·간도대한국민회·대한신민회·도독부(都督府)·의군부(義軍府)·혈성단(血誠團)·야단(野團)·대한정의군정사(大韓正義軍政司) 등 여러 단체의 지도자들이 밀산(密山)에 모였다. 이곳에서 그들은 모든 단체를 통합하여 군대를...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81년(고종 18)
- 사망 :
- 1932년
- 경력 :
- 대한제국 육군참위, 신흥학교 교관, 대한독립군단 참모총장, 신민부 참의원, 건국훈장 독립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고창근 高昌根1861년경 함경남도 홍원군(洪原郡)에서 태어났다. 혈성단(血誠團) 소속으로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였다. 혈성단은 1920년 11월 북만주 헤이룽장성(黑龍江省) 우윈시엔(鳥雲縣) 베이다툰(倍達屯)에 근거를 두고 조직된 항일 무장단체로 김국초(金國礎) 등 청년층이 주도하였다. 결성 후 다른 독립군 부대와 함께 연해주...
- 출생 :
- 1861년, 함경남도 홍원(洪原)
- 사망 :
- 미상
- 주요활동 :
- 1922년 혈성단 재무국장으로 군자금 모집
- 포상훈격 :
- 2011년 대통령표창
- 관련 인물/단체 :
- 혈성단
-
박그레고리 박기석푼(Суифун ・ 秋風) 구역 그로데코보(родеково)에 도착하였으나 그로데코보 일대를 배회하다 최영호가 희생당하고, 부대는 강국모(姜國模)의 혈성단에 흡수되었다. 2차와 3차로 떠난 부대는 연해주로 가던 도중 에호역에서 에호한인부대에 편입되었다가, 에호한인부대가 해체된 후 1920년 봄 윤세호가...
- 출생 :
- 1896년, 러시아
- 사망 :
- 1929년
- 관련 사건 :
- 자유시사변, 연해주해방전쟁
- 주요활동 :
- 1919년 연해주 만세운동 참여, 1921년 서간도 독립단 부대를 인솔 자유시로 이동
- 포상훈격 :
- 2008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독립단, 대한의용군
-
김태준 金泰俊礎) ・ 김춘일(金春日) ・ 정태룡(鄭泰龍) 등이 주도하여 헤이룽장성(黑龍江省) 우윈현(烏雲縣) 배달둔(倍達屯)에서 각지의 청년들을 규합하여 조직된 대한애국청년혈성단(大韓愛國靑年血誠團)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청산리전투 이후에는 북만주 밀산(密山)으로 이동하여 북로군정서 ・ 대한국민회 ・ 대한신민회...
- 출생 :
- 1873년, 미상
- 사망 :
- 미상
- 주요활동 :
- 지린성 안투현에서 무장 독립운동 전개
- 포상훈격 :
- 2009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혈성단(血誠團), 대한독립군단
-
김윤배 金潤培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23일~24일경 용유면 남북리에 거주하는 조명원(趙明元), 조종서(趙鍾瑞), 최봉학(崔奉學), 문무현(文武鉉) 등 4명은 혈성단(血誠團)을 조직하고 3월 28일에 만세시위를 일으키기로 결정하였다. 조명원이 문안을 기초하고 4명이 글씨로 ‘조선독립운동을 거사할 것이니 28일 관청리...
- 출생 :
- 1888년 5월 8일, 경기도 부천(富川)
- 사망 :
- 미상
- 관련 사건 :
- 부천군 용유면 만세시위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28일 경기도 부천군 용유면 만세시위 참여
- 포상훈격 :
- 2007년 대통령표창
-
김영순 金英順3월 중순경 오현주(吳玄洲) ・ 이정숙(李貞淑) 등이 주도하여 정신여학교 동창생을 중심으로 투옥된 애국지사들의 옥바라지와 그 가족들을 후원할 목적으로 혈성단 애국부인회(血誠團, 愛國婦人會)를 조직하였다. 이에 그 취지를 찬동하고 회비를 납부하였다. 혈성단 애국부인회는 같은 해 6월 대한민국청년외교단(大韓...
- 출생 :
- 1892년 12월 17일, 서울
- 사망 :
- 1986년 3월 17일
- 관련 사건 :
- 대한민국애국부인회 사건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혈성단애국부인회 가입, 6월 대한민국애국부인회 가입, 10월 재조직된 대한민국애국인회 서기, 1923년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YWCA) 연합회 창립 임원 및 위원, 1924년 4월 근우회 창립준비위원회 참가, 5월 근우회 집행위원, 교양부 담당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문무현 문무년, 文武鉉조종서(趙鍾瑞) ・ 최봉학(崔奉學) 등과 함께 독립운동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들은 조명원의 집에 모여 운동 방법에 대해 협의한 끝에 비밀결사로 혈성단(血誠團)을 조직하고 3월 28일에 거사를 일으키기로 결정하였다. 무명천을 사들여 대형 태극기를 만들고 대형 태극기에 ‘혈성단 주모자 조명원 ・ 조종서...
- 출생 :
- 1899년 4월 17일, 경기 부천(富川)
- 사망 :
- 1970년 12월 22일
- 관련 사건 :
- 부천군 용유면 만세시위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28일 경기도 부천군 용유면 관청리 만세시위 주도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혈성단(血誠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