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함양군의 유물·유적·관광
    시대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지역은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였고, 조선시대에는 유교가 발달했던 곳으로 문화재가 많다. 불교문화재로는 함양읍 교산리의 함양석조여래좌상(咸陽石造如來坐像, 보물 제376호), 수동면 우명리의 승안사지3층석탑(昇安寺址三層石塔, 보물 제294호)·승안사지석조여래좌상(昇安寺址石造如來...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함양울산고속도로 고속 국도 제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 咸陽蔚山高速道路
    건립 경위 함양울산고속도로는 영남권과 호남권을 잇는 동서 간선망을 보완하고 경상남도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 간 지역 교류 활성화와 경상남도 내륙 지역의 관광 자원 및 산업 자원 개발을 목적으로 신규 건설 중인 고속도로로 2026년 개통할 계획이다. 본 고속도로는 경남 서북부 함양에서 울산까지 동서를 연결하는...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시설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지리산 두류산(頭流山), 智異山
    산지 정상부는 둥근 모양을 나타내는 험준한 산세를 나타낸다. 산지의 주변에는 동쪽에 산청, 남쪽에 하동 · 광양, 서쪽에 구례, 북쪽에 남원 · 함양 등의 도시와 계곡에 마을이 발달하고 있어 원상(圓狀)을 이룬다. 산 일대에서는 산악성 기후의 특성이 나타난다. 남동쪽 지역에는 빈번한 저기압의 통과와 여름철의...
    유형 :
    지명/자연지명
    소재지 :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함양군, 경상남도 하동군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함양 서운암 신중도 서운암 신중탱, 咸陽 瑞雲庵 神衆圖
    의식에서 19세기 전반부터 신중도에 새로이 등장한 예적금강의 역할과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케 한다. 의의와 평가 서운암 신중도는 남해 용문사에서 조성되어 함양 벽송암에 이안된 불화로 채색 및 구도 등에서 자연미가 떨어지는 등 19세기 말의 전형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특히 이 시기 새로이 등장하는 명왕부...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함양 거연정 咸陽 居然亭
    출입은 배면쪽 자연암반에 2단의 시멘트 계단을 덧붙여 시행하고 있다. 마루에는 장마루가 깔려 있는데, 이것은 원래 우물마루였으나 후에 변형된 것으로 함양군에서 원형복구를 추진 중에 있다. 천연의 암반 위에 조성하였으므로 굴곡이 심한 암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주초를 쓴 기둥도 있고, 쓰지 않은 기둥도...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함양군의 산업과 교통
    15개소)·비금속광물(15개소) 등이 있다(2013). 상업활동은 상설시장 2개소, 정기시장 4개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상설시장으로는 함양읍에 중앙시장과 함양시장이 있고, 정기시장으로는 함양읍의 함양장(2·7), 마천면의 마천장(5·10), 안의면의 안의장(5·10), 서상면의 서상장(4·9)이 있다. 주요 거래물품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산업 , 교통
  • 지리산 지리산국립공원, 智異山
    경상남도 하동군·함양군·산청군, 전라남도 구례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915.4m, 동서길이 50㎞, 남북길이 32㎞, 둘레 약 320㎞. 방장산(方丈山)·두류산(頭流山)이라고도 하며, 지리산(智異山)이라고도 한다. 남한에서 2번째로 높은 산이다.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구례군, 전북특별자치도...
  • 함양 백천리 고분군 咸陽 白川里 古墳群
    지방의 여러 고분에서도 이와 비슷한 토기들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연대는 대개 5세기 후반∼6세기 초반으로 추정된다. 이 백천리고분을 통해 함양·진주를 비롯한 서부 경상남도지역과 고령 등지의 가야문화가 동일문화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가까운 함양읍내와 생초면 등에도 고분이 산재해 있고...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함양 심진동 용추폭포 咸陽尋眞洞龍湫瀑布
    크다. 용추계곡에는 용소·꺽지소 등의 소를 비롯하여 매바위·상사바위·상사폭포 등 물과 암반이 만들어 놓은 지형들이 많다. 현황 용추폭포는 함양을 대표하는 함양팔경 가운데 하나이다. 화가 난 용이 몸부림치듯 강하게 떨어지는 물줄기가 사방으로 물방울을 튕겨내며 아름다운 경치를 보여준다. 주변의 울창한...
    시대 :
    현대
    문화재 지정 :
    명승 제85호
    성격 :
    명승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20,271㎡
    소재지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산16-4 등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함양 평촌리 신고당 신도비 및 부부 묘표 咸陽 坪村里 信古堂 神道碑 및 夫婦..
    개설 함양 평촌리 신고당 신도비 및 부부 묘표는 조선 선조 때 이조판서를 역임한 옥계(玉溪) 노진(盧禛, 1518∼1578)의 아버지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 1471~1523)의 신도비와 그 부부의 묘표로 201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아들인 노진이 이조판서를 역임함으로 해서 증직되어...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서예
  • 함양 용추사 지장시왕상 咸陽 龍湫寺 地藏十王像
    개설 용추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 지장시왕상으로, 2002년 10월 2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좌측에 도명존자상(道明尊者像), 우측에 무독귀왕상(無毒鬼王像)으로 구성된 삼존과 그 좌우에 시왕상이 각 5구씩 배치되어 모두 13구의 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함양 도천리 하륜 부조묘 소장 삼공신회맹록 등 고문서 일괄 咸陽 道川里 河崙..
    되었으며, 태종의 총애를 받아 영의정에까지 이르렀다. 봉사손 입안은 태종 때의 공신인 하륜의 후사가 증손 하후(河厚)에 이르러 끊어지자, 영조 때 진주와 함양의 방손들이 의논하여 그의 제사를 받들 인물로 하륜의 종현손 목사 하우치(河禹治)의 9세손 하한통(河漢通)으로 정하고, 문중의 대표자들이 이를 관아...
    시대 :
    조선 전기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57건

함양 함양향교 전경
함양 함양향교 중 태극루
함양 함양향교 중 대성전
함양 함양향교 중 내삼문
함양 함양향교 중 명륜당
함양 함양향교 중 동무
함양 함양향교 중 서무
함양 함양향교 중 대성전 좌측면
함양 함양향교 중 문서고 우측면
함양 함양향교 중 대성전 일곽
함양 함양향교 중 동재 우측면
함양 함양향교 중 서재 좌측면
함양 함양향교 중 제기고 좌측면
함양 남계서원
함양 벽송사
함양 학사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