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세션 하이재킹 Session hijacking, セッションハイジャック
    세션 하이재킹은 시스템에 접근할 적법한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모를 경우 공격 대상이 이미 시스템에 접속되어 세션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가로채기 하는 공격으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몰라도 시스템에 접근하여 자원이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공격이다. tcp하이재킹은 tcp세션을 훔쳐서 서버에게 새로운...
    도서 위키백과
  • DNS 하이재킹 DNS 하이재킹, DNS hijacking
    DNS 하이재킹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의 쿼리 결정을 뒤엎는 해킹 방법 중의 하나이다. 컴퓨터 TCP/IP 구성을 무효화시켜서 공격자의 영향권 아래 있는 악의적인 DNS 서버를 가리키도록 하거나 신뢰를 받는 DNS 서버의 행위를 수정하여 인터넷 표준을 준수하지 않게 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DNS...
    도서 위키백과
  • 하이재킹: 비상착륙 Last Flight (film), 绝命航班
    영화 정보 《하이재킹: 비상착륙》(绝命航班, Last Flight)은 중국에서 제작된 빈센트 저우 감독의 스릴러 영화이다. 에드 웨스트윅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에드 웨스트윅 주주 캐리 알렉산더 프로듀서: 빈센트 저우
    도서 위키백과
  • 펠햄 123 The Taking of Pelham 123 (2009 film), サブウェ..
    《펠햄 123》(The Taking Of Pelham 123)은 미국의 토니 스콧 감독이 제작한 영화이다. 지하철에서 일어난 납치 사건을 소재로 다루었다. 뉴욕 도심 펠햄역에서 오후 1시 23분에 출발하는 열차가 납치당한다. 지하철 배차원 가버는 선로에 갑자기 멈춰선 펠햄 123호와의 접촉을 시도하지만 테러 조직의 우두머리 라이더...
    도서 위키백과
  • 지하의 하이젝킹 The Taking of Pelham One Two Three (1974..
    영화 정보 지하의 하이젝킹(The Taking Of Pelham One Two Three)은 미국에서 제작된 조세프 서전트 감독의 1974년 범죄, 스릴러 영화이다. 월터 매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가브리엘 카츠카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월터 매튜 로버트 쇼 마틴 발삼 헥터 엘리존도 얼 힌드먼 제임스 브로데릭 원작자: 존 고디 의상...
    도서 위키백과
  • 핵티비즘 hacktivism
    서버를 무력화시키는 공격을 한다. 더불어 핵티비즘은 최근 단순한 접속 방해를 넘어 내부망에 침투해 기밀문서를 가져오거나 내부망을 파괴하는 ‘사이버 하이재킹(cyber hijacking)’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기업이나 국가시설의 보안 취약점을 노려 장기간 잠복공격을 하고 이후 해킹한 자신의 정체를 알리며 해킹 사실...
  • 항공법 航空法, air law
    발생했는가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항공기가 등록된 국가의 법률이 종종 적용된다. 또한 항공법은 법률상 항공기 납치범죄라고 알려진 하이재킹(hijacking)뿐만 아니라, 승무원에 의한 해적행위나 폭력행위의 뜻을 정확히 규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 법은 공중납치된 항공기가 어떤 국가의 영토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안전장치의 발달
    폭넓어진 인식, 핵 연구와 우주 개발과 같이 확대되었거나 새로운 정부 계획들의 보안에 대한 필요성, 많은 나라에서 요구되어진 과격한 시위, 폭격, 하이재킹에 대항하기 위한 안보의 필요성 들을 들 수 있다. 보안체계는 점점 자동화되고 있는데 특히 위험과 취약성의 감지와 전달에 있어서, 그리고 그보다는 작지만...
    도서 다음백과
  • 악성 소프트웨어 Malware, 惡性-
    유무에 따라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 스파이웨어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의 악성 소프트웨어는 첨부파일을 열어 보거나,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설치하는 종래의 통념을 벗어나 단지 검색 페이지의 링크나 이미지를 클릭하기만 해도 원치 않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거나, 시스템이 하이재킹 당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 타이포스쿼팅 typosquatting
    네티즌들이 사이트에 접속할 때 주소를 잘못 입력하거나 철자를 빠뜨리는 실수를 이용하기 위해 이와 유사한 유명 도메인을 미리 등록하는 일. URL 하이재킹(hijacking)이라고도 한다. 유명 사이트들의 도메인을 입력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온갖 도메인 이름을 미리 선점해 놓고 이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광고 사이트로...
  • 페이지 탈취 -奪取, pagejacking
    심어져 있어 이용자가 뒤로 버튼을 누르는 순간 이동 프로그램이 심어진 페이지로 가게 되고, 그 순간 원하지 않던 곳으로 이동하는 것. 웹 페이지(Web page)와 하이재킹(hijacking)의 합성어로, 비행기 납치처럼 홈페이지를 마비시키고 마음대로 조종한다는 의미이자. 페이지 탈취가 일어나면 브라우저를 닫거나 시스템...
  • 브라우저 탈취 -奪取, browser hijacking
    페이지 주소가 변경되게 만드는 악성 소프트웨어. 개인용 컴퓨터(PC) 사용자가 방문을 원하지 않는 유해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고, 방문자 수에 의해 수익을 창출하는 검색 엔진으로 사이트에 검색하도록 한다. 브라우저 홈페이지 주소나 보안성이 낮은 메뉴 및 홈페이지를 변경하기도 한다. →홈페이지 하이재킹.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