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솔고등학교
    여는 인재육성을 교육목표로 하며 교명은 애국가에 나오는 '바람, 서리에도 흔들리지 않는 소나무'에서 따왔다. 한솔고등학교는 독서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필독·권장도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독서인증제를 실시하며, 독서노트를 활성화하여 그 결과를 성적에 반영하는 등 독서생활화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군서당 군서당서점(群書堂書店), 群書堂
    판종(版種), 책수, 판매 금액 등을 자세히 기록해 놓았다. 이 책은 군서당에서 발행한 『조선고활자판습엽』(1944)과 함께 서지학(書誌學), 고서 연구 시 필독 자료로 통한다. 해방 후, 1946년에 군서당에서 비매품으로 간행한 『여운형 선생에 대한 판결서』는 정치적 색깔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이 책은 조선사상운동...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성리대전절요 性理大全節要
    송유(宋儒)들에 의하여 정립된 이기성명지학(理氣性命之學)과 중국 역대의 인물·역사·제도·문학 등 각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집대성한 대사전류이다. 우리나라 학자들에게도 필독의 서(書)로 인식되었으나 분량이 너무 방대한 것이 흠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이 책의 실용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정국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2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현채 백당(白堂), 玄采
    이토히로부미의 후원으로 조직된 대동학회 평의원에 선출, 1908년 기호흥학회 찬무원, 대한중앙학회 평의원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월남망국사』, 『유년필독』, 『(중등교과)동국사략』 등을 저술했다. 1910년 최남선 등과 조선광문회에 참여했으며, 1911년 문예구락부의 편집장이 되었다. 1918년에는 서화협회...
    시대 :
    근대
    출생 :
    1856년 5월 18일
    사망 :
    1925년 2월 5일
    경력 :
    평강군수, 조선사편찬위원회 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관료, 사학자
    대표작 :
    월남망국사, 유년필독, (중등교과)동국사략
    성별 :
    분야 :
    교육/교육
    본관 :
    천령(川寧)
  • 이식 경숙(敬叔), 李栻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의 입장을 지지하여 『사칠부설(四七附說)』 1권을 저술하였다. 또한, 사학도 깊이 연구하여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를 탐구하여 왕이 필독할 책임을 강조, 찬양하는 서문을 지었다. 숙종 때 학행으로 천거되어 세 고을의 수령을 지냈고, 1722년(경종 2) 세제익위사익위(世弟翊衛司翊衛)에...
    시대 :
    조선
    출생 :
    1659년(효종 10)
    사망 :
    1729년(영조 5)
    경력 :
    세제익위사익위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사칠부설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주자어류 책판 朱子語類 冊板
    주자어류』는 송나라 때 여정덕(黎靖德)이 주자와 그 문인들과의 문답을 집성하여 간행한 것으로 50여책이나 되는 거질이다. 주자 연구는 물론 성리학 연구의 필독 도서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1575년(선조 8)에 처음 간행되었고, 임진왜란 때 타버린 것을 인조 때 영남감영에서 다시 간행했지만 다시 타버렸다. 1770...
    유형 :
    유물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삼육재활학교 삼육아동재활원, 三育再活學校
    목표 아래, 각 과정별로 학생 수준과 능력에 맞게 기본생활습관 지도, 체험중심 학습, 진로별 학습지도와 교육활동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필독도서 독서 지도, 정보화 교육, 사회 적응훈련, 교육활동 인증제 등 다양한 특색교육 활동을 실천하고 있으며, 교수 학습방법 개선과 교원 전문성 향상을...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관악구 보라매로 44(서울특별시 관악구 보라매동 722-19),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경수길 25(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729-6)
    설립 :
    1952년 6월 12일
    성격 :
    교육기관, 특수학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민영재
    분야 :
    교육/교육
  • 정관정요주해 貞觀政要註解
    를 주해하도록 명하였다. 여기에 참여한 학자들은 판병부사(判兵部事) 김연(金緣), 병부상서 한림학사 박경인(朴景仁) 및 보문각(寶文閣)의 학사들이었다. 이로써『정관정요』는 이미 광종도 즐겨 읽었던 책으로 역대 왕들의 정치적 교훈서로 필독되어오던 것이 예종 때에 이르러 주해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저작자 :
    오긍(吳兢)
    창작/발표시기 :
    1116년
    성격 :
    주석서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동양종교에서의 독신
    전통이 있어왔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평생 독신생활을 고수하는 전통은 불교가 들어옴으로써 확립되었다. 신라의 위대한 승려 원효는 출가자라면 누구든지 필독하는 글인 〈발심수행장 發心修行章〉에서 "수행자의 마음이 깨끗하면 모든 하늘이 칭찬하고 도인이 여색을 생각하면 선신들이 떠나가네"라고 하여 수행자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종교
  • 금강경삼가해 권1, 5 金剛經三家解卷一,五
    고서박물관(권3,4의 2책) 등에 소장되어 있어 전 5권 5책 모두를 확인할 수 있다. 내용 『금강경』은 조계종, 태고종, 총화종에서 근본경전으로 채택하는 필독의 경전이다. 이 경에 대한 한역 주석만 하더라도 중국 122종, 한국 14종, 일본 61종이 있다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 기화의 저술인 설의는 조선 때부터 불교...
    시대 :
    조선
    저작자 :
    구마라집(한역), 종밀·종경·기화(주해)
    문화재 지정 :
    보물 제772-1호
    창작/발표시기 :
    1482년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2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6(청량리동) 세종대왕기념관
  • 우순소리 笑話
    의의가 있다. 따라서 우화를 통하여 계몽적인 내용을 전하고자 한 것과 일부 우화의 끝에 저자의 촌평을 덧붙여 교육적 효과를 높이려 한 것도 중요한 발상이다. 또한 『월남망국사』와 『유년필독』 등 8종의 교과용도서와 함께 금서 조치되었는데, 이러한 수난의 내력은 이 책이 지닌 역사적 의의를 증거한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윤치호, 尹致昊
    창작/발표시기 :
    1908년 7월 30일
    성격 :
    계몽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대한서림, 大韓書林
    분야 :
    교육/교육
  • 각운 覺雲
    활동사항 자세한 전기는 미상이나, 혜심(慧諶)의 제자로서 스승이 지은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30권에 대해서 중요한 어구를 뽑아 다시 설화를 붙인 주소(注疏) 『선문염송설화』를 지었다. 이 저술은 고려시대에 널리 유통되어 선문(禪門)에서는 필독의 서적이 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대표작 :
    선문염송설화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규방필독
유년필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