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토끼 Rabbit
    개요 토끼목에 속하는 포유동물. 귀가 길고, 꼬리가 짧으며 뒷다리가 길어 깡총깡총 뛰는 특징이 있다. 굴토끼류와 멧토끼류로 나뉜다. 야생 토끼는 역사적으로 좋은 사냥감이었으며, 굴토끼를 개량한 사육토끼는 고기와 털을 위해 오랫동안 개량되어 왔다. 형태 귀가 길고 꼬리가 짧으며 뒷다리가 길다. 대부분 등쪽이...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토끼목 > 토끼과
    원산지 :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서식지 :
    숲, 초원
    학명 :
    Oryctolagus cuniculus
    식성 :
    초식
    천적 :
    여우, 스라소니, 올빼미
    임신기간 :
    약 30일
  • 유태반 포유동물 placental mammal
    특징은 태반의 존재로서, 태반을 통해 태아의 피와 모체의 피 사이에 양분과 노폐물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학자에 따라서는 유대류도 유태반 포유동물이라고 생각하나, 유대류에게는 임신기간을 제한하는 덜 발달되고 덜 효율적인 형태의 태반이 있을 뿐이다. 유태반 포유동물의 태반은 자궁의 보호하에 보다 긴 발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포유류
  • 트라이아스기에 존재했던 다른 생물
    육지로 옮겨 살았던 네 발을 가진 동물을 가리키는 말이다. 최초의 사지동물은 양서류였고 공룡 역시 테트라포드였다. 사실 현대의 모든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동물은 모두 테트라포드에 해당된다.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테트라포드들은 판게아의 어느 곳에 살았을까? 판게아가 하나의 거대한 대륙이었음에도 불구...
  • 배설 排泄, excretion
    낼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양의 바닷물을 삼켜 아가미의 특수한 세포를 통해 염분을 제거함으로써 몸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인간의 배설계 또는 비뇨계는 모든 포유동물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것으로 여과·분비·재흡수에 의해 오줌이 생성되는 2개의 신장, 오줌을 운반하는 관인 수뇨관(輸尿管), 오줌을 저장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하마 물뚱뚱이, 河馬
    개요 소목 하마과 하마속에 속하는 포유동물. 하마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몸체가 가장 크고 되새김을 하지 않는 우제류(偶蹄類)이다. 전에는 아프리카 전역의 호수나 강에서 살았으나 현재는 서식지가 감소해 나일 강 상류에서 남부 아프리카까지만 분포하고 있다. 형태 하마는 몸이 통 모양이고 다리가 짧다. 몸길이가...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소목 > 하마과 > 하마속
    원산지 :
    아프리카
    크기 :
    약 3.7m ~ 4.6m
    무게 :
    약 3000kg ~ 4500kg
    학명 :
    Hippopotamus amphibius
    식성 :
    초식
    천적 :
    나일악어
    임신기간 :
    약 227~240일
    멸종위기등급 :
    높은위기
  • 공룡의 후손, 공룡 멸종 이후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백악기 말에 멸종한 동물에게는 뭔가 특별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포유동물은 공룡의 살아남은 친척일까? 그렇지 않다. 포유동물은 공룡의 살아남은 친척이 아니다. 최초의 포유동물이 특정한 파충류의 후손이기는 하지만 공룡과는 계보가 다르다. 백악기 말에 살고 있었던 포유동물은...
  • 부리고래 beaked whale
    개요 포유강 이빨고래아목 부리고래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크기는 약 3.5~12.8m, 무게는 약 1,000~11,000kg이다. 전세계에 분포하며, 대표종으로는 큰이빨고래와 뉴질랜드이빨고래, 기름고래가 있다. 형태 크기는 약 3.5~12.8m, 무게는 약 1,000~11,000kg이다. 삐죽 나온 부리 모양의 주둥이와 작고 둥근 지느러미발...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이빨고래아목 > 부리고래과
    먹이 :
    오징어
    크기 :
    약 3.5m ~ 12.8m
    무게 :
    약 1000kg ~ 11000kg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510일
  • 발생 發生, development
    알을 낳는 하등 척추동물들의 알은 난황이 적고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부화되며, 부화한 후에는 주위 환경에서 직접 영양분을 얻는다. 대부분의 포유동물의 경우 아주 작은 수정란이 어미의 자궁에 부착하여 어미로부터 영양분이 전달되는 경로인 태반을 발달시킨다. 곤충이나 다른 무척추동물들은 성체로 변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수궁류 獸弓類, therapsid
    포유동물의 원종(原種)이었다. 일찍이 석탄기(2억 8,000만~3억 4,500만 년 전) 초기부터 특징적인 진화적 계보가 나타났는데, 고대 포유동물 조상에서 시작하여 반룡목(Pelycosauria)과 포유동물까지 연결된다. 수궁류는 반룡과에서 생겨났다. 원시 수궁류는 소련의 중기 페름기 퇴적층에서 화석으로 나타난다. 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포유류 , 지구
  • 한국의 포유동물 List of mammals of Korea
    한국의 포유동물 또는 한국의 포유류는 총 7목 102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 전체가 반도이므로 대륙의 대형포유동물과 해양의 대형 고래들이 서식한다. 포유동물의 다양성은 일본과 비교하면 종수에서는 적지만 호랑이, 표범 등 대형동물이 일본에서는 서식하지 않는 것과 대조된다. 현재 한반도에서는 멸종위기에...
    도서 위키백과
  • 유제류 有蹄類, ungulate
    오늘날 공식적인 분류 용어로 사용되지는 않으나, 아직도 발굽이 있고 초식성이며 네다리를 가진 다양한 무리의 유태반포유류에 널리 통용되고 있다. 이들을 한데 묶는 특징인 발굽은 뿔 같은 피부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람의 손·발가락의 끝부분을 덮고 있는 손·발톱과 비교될 수 있다. 현대의 유제류는 소목...
  • 백악기에 살았던 다른 동물
    15m였던 거대한 육지 악어인 데이노수쿠스(Deinosuchus)를 비롯해 많은 악어들의 크기가 커졌다. 도마뱀 : 진정한 도마뱀이 계속해서 진화하고 다양해졌다. 포유동물 삼돌기치목 : 트라이아스기 후기에서 백악기 후기까지 살았던 포유동물. 가장 오래된 포유동물 화석 중 하나이다. 똑바른 치열에 3개의 치관 돌기가...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포유동물
범고래(killer whale)
포유동물의 등장
포유동물의 뇌 사진
포유동물의 대뇌기저핵 비교
인간 전전두엽과 포유동물의 전전두엽 진화
포유동물의 대뇌 신피질과 변연피질의 변화
포유동물의 대뇌피질에서 감각영역, 운동영역, 연합영역의 변화
포유동물 머리 근육을 조절하는 등쪽과 배쪽의 뇌신경
포유동물 머리 근육을 조절하는 등쪽과 배쪽의 뇌신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