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판소리 강산제 판소리 岡山制살았던 정재근(鄭在根)에게 전함으로 말미암아 정응민(鄭應珉)과 정권진(鄭權鎭)으로 이어지는 서편제의 한 갈래를 강산제라 부른다. 강산제는 특히 계면조 창법에 있어서 남자가 흐느껴 우는 처절하고 숙연한 ‘그늘진 목소리’로 소리 마디 마디에 심력을 다하여 판소리 주인공들의 갖가지 한을 표현함으로써 시달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박동실 朴東實예술단을 이끌고 중국을 순회하면서 창극 「춘향전」, 「심청전」을 공연하였다. 1956년 평양음악대학 교원으로 임명되었으며, 김일성의 교시에 따라 판소리의 쐑소리(수리성)를 버리고 맑은 목을 쓰는 주체창법으로 전환하였다. 1958년에 공훈배우, 1961년에 인민배우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1967년에는 개성 관음사에서...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7년
- 사망 :
- 1968년
- 경력 :
- 평양음악대학 교원, 인민배우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창극운동, 월북
- 직업 :
- 명창
- 대표작 :
- 창극 춘향전, 녀성영웅 조옥희, 김장군을 따르자 등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본관 :
- 밀양
-
내포제 內浦制구별하여 내포제라 이른다. 내포제란 용어는 시조에서 주로 사용하여 충청도 지역의 시조를 내포제시조라 하고, 판소리에서는 경기․충청 지역의 판소리를 중고제라고 하되, 충청남도 지역의 판소리를 내포제라 이르기도 한다. 민요 역시 내포 지역의 민요는 타 지역 민요와 구별되는 특성을 보인다. 연원 및 변천 내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선증애소리유사하다. 내용 선증애소리는 여느 육자배기토리권 무가와 달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의 판소리장단(패기장단)으로 반주되고, 노래 창법도 무가의 어정성음이 아니라 판소리의 패기성음(평조, 계면조)에 가깝다. 공연방식도 선증애꾼 한사람이 서서 발림을 섞어가며 아니리와 소리로 공연하여 판소리와 흡사하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염계달 廉季疸10여년간 판소리를 수련하고 나와서 세상에 이름을 떨쳤다. 헌종 때 어전(御前)에서 판소리를 하여 동지(同知)벼슬을 받았다. 김성옥(金成玉)과 더불어 중고제...있는 그는 「장끼타령」과 「흥보가」를 잘하였고 권삼득(權三得)의 창법을 많이 본받았다. 경기도 향토가요조 판소리를 응용하여 여러 대목의 소리를 짜서...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명창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