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독에 광부 파견정부가 서독으로 파견하는 광부 1진이 서울을 출발했다. 이날을 시작으로 1977년까지 7968명의 광부가 서독으로 떠났다. 광부들은 한국 정부와 서독 정부가 맺은 협정에 따라 파견됐다. 한국은 외화가 필요했고, 서독은 자국 노동자보다 임금은 적게 받으면서 일은 잘하는 사람들을 원했다. 대졸자도 많이 지원하는 등...
- 시대 :
- 1963년 12월 21일
- 국가/대륙 :
- 한국
-
개화정책 開化政策이르러 구식 군대와의 차별 대우로 한때 문제가 되기도 했으나, 군대의 근대화는 초기 개화정책의 기본적 내용의 하나가 되었다. 개화기 과학기술 유학생의 파견 개항에 뒤따른 무비자강(武備自强)의 일환으로 김윤식 · 어윤중 등 개화파들이 중심이 되어 유학생을 파견해서, 중국에 들어와 있는 서양의 과학 기술 및...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근대사
-
장보고, 일본에 회역사 파견청해진대사 장보고가 일본과 교역을 하기 위해 보낸 회역사 양원이 일본을 방문했다. 장보고의 사신은 신라의 공식 사절이 아니기 때문에 일본은 처음에는 거부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회역사를 통해 들어가는 신라와 당나라의 서적, 비단, 도자기 등이 일본 귀족들에게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결국 청해진...
- 시대 :
- 841년
- 국가/대륙 :
- 한국
-
청나라에 영선사 파견9월 26일, 영선사 김윤식과 유학생 등을 비롯한 83명이 서구 과학 기술과 무기 관련 기술을 배우기 위해 청나라로 떠났다. 유학생들은 1882년 1월 톈진(天津)기기국에 배속돼 군사 지식과 자연과학 등을 배웠다. 그러나 유학생 중 19명이 질병 등의 문제로 중도 귀국하고 임오군란으로 대원군이 재집권하면서 재정 지원...
- 시대 :
- 1881년 9월 26일
- 국가/대륙 :
- 한국
-
장보고, 당나라에 견당매물사 파견청해진대사 장보고가 당나라와 교역을 하기 위해 보낸 견당매물사(遣唐買物使) 최병마사가 교관선을 타고 당나라의 산동반도 적산포에 도착했다. 적산포에는 장보고가 당나라에 있을 때 세운 절 적산법화원이 있었다. 이 절에 머물고 있던 일본 승려 엔닌은 자신의 저서인 『입당구법 순례행기』에 장보고의 교관선이...
- 시대 :
- 839년
- 국가/대륙 :
- 한국
-
헤이그밀사사건기사 원문 의사가 자결 전 평리원검사 이준 씨가 지금 만국평화회의에 한국 파견원으로 갔던 일은 세상 사람이 다 알거니와 작일에 보내온 동경 전보에 의하면 그가 충분한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이에 자결하여 만국 사신 앞에 피를 뿌려서 만국을 경동케 하였다더라. 기사 원문 해아 국제협회에 대한 청년 위태롭고...
- 간행/발행 :
- 대한매일신보 호외(1907년 07월 18일)대한매일신보(1907년 07월 21일)
-
취약계층 관련 노무상담, 위장도급이 무엇인가요하청)이 되어 겉으로는 '도급계약'을 체결하고 수급인 소속 근로자들이 도급인 회사에서 일하지만, 실질적으로 두 사업주와 근로자와의 삼자 관계가 '근로자 파견' 관계에 해당할 때 이것을 '위장도급'이라고 합니다. 위장도급에 해당하면 파견업 허가를 받지 않거나 금지 업종에 파견하는 등 파견근로자 보호법을 위반...
-
개로왕, 곤지를 왜에 파견백제의 개로왕이 왕족인 곤지를 왜에 보냈다. 고구려의 남진을 막기 위해 왜와 맺은 동맹 관계를 더 굳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곤지는 왜에서 백제의 외교를 총괄하며 두 나라의 결속력을 높였다. 또한 10년 넘게 왜에 머물며 세력을 구축하고 부를 쌓았다. 이렇게 왜에서 다진 기반은 이후에 곤지의 아들이 백제의...
- 시대 :
- 461년
- 국가/대륙 :
- 한국
-
-
신라, 처음으로 중국에 사신 파견내물왕이 고구려의 도움을 받아 전진에 사신을 파견했다. 중국에 사신을 보낸 것은 신라 건국 이래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는 신라가 한반도 동남쪽에 치우쳐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고구려와 백제보다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속도가 늦었기 때문이다. 고구려와 백제는 신라보다 훨씬 앞서 중국 왕조들과 사신을 주고...
- 시대 :
- 377년
- 국가/대륙 :
- 한국
-
인력파견관리자수행직무 사용주의 요청이 있을 시 면접을 통해 신규 파견자를 선발하거나 기존 직원의 파견 여부를 검토한다. 조건에 적합한 직원에 대하여 사용주와의 면접을 주선하고 임금 등의 계약 조건을 협상한다. 선발된 합격자들에게 계약 조건에 따라 설명하고 근로계약서, 파견통지서와 같은 서류를 작성하고 관리한다. 파견...
- 교육수준 :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2년 초과 ~ 4년 이하
- 작업강도 :
- 아주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수집
- 직무기능(사람) :
- 협의
- 직무기능(사물) :
- 관련없음
- 유사명칭 :
- 인력공급부서관리자, 인재파견부서관리자
- 고용직업분류 :
- [0139]부동산·조사·인력알선 및 기타 전문서비스 관리자
- 표준직업분류 :
- [1390]기타 전문 서비스 관리자
- 자격/면허 :
- 직업상담사(1급, 2급)
- 표준산업분류 :
- [N751]고용알선 및 인력공급업
- 조사연도 :
-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