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타프시르 tafsir
    ta'wíl)을 달았다. 수피(이슬람 신비주의자)들과 비교적인 시아파들도 주석을 달았는데 이는 순전히 외적인 분석과는 성질이 아주 다르다. 역사학자 앗 타바리(838/839~923)가 편찬한 기념비적인 주석은 그때까지 만들어졌던 전통적인 학문을 최초로 모은 것이다. 후에 나온 중요한 주석으로는 앗 자마흐샤리(1075~114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진주 의곡사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진주 의곡사 장수경, 晋州 義谷寺 佛說長壽滅罪護諸..
    저자 및 편자 북인도 계빈국 출신 사문 불타바리(佛陀波利)가 한역(漢譯)하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중국에서 찬술된 위경으로 보인다. 서지사항 이 책은 1권 1책이며, 전체 3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장(線裝)은 철사를 꿰매는 눈인 침안을 다섯 구멍으로 뚫은 오침안(五針眼)이다. 책장을 접는 곳인 판구(版口)는 사주...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이븐 이스하크 Ibn Ishaq
    포교의 시작과 〈코란〉의 계시의 시작, 메디나로의 이주, 정복전쟁 등을 다루고 있으며 그의 죽음으로 끝을 맺는다. 〈시라〉에서 인용한 인용문들이 앗 타바리와 같은 아랍 역사가들의 작품에도 보인다. 이븐 이스하크는 신학자이며 법학자인 말리크 이븐 아나스와 같은 일부 이슬람교도 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븐...
    출생 :
    704경, 아라비아 메디나
    사망 :
    767, 바그다드
    국적 :
    아라비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바르시사 Barsisa
    를 인용하며 오히려 그를 조롱했다. 이 수도자는 이름 없는 유대교 수도자나 그리스도교의 수도승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그에 관한 전설은 10세기 타바리의 〈코란〉 주석에 처음 나온다. 즉 985년에 한 저자가 은둔자를 '수도복을 입은 사람'이라는 뜻의 아랍 이름인 바르시사로 불렀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 이야기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나르세스 1세 Narseh, ナルセ1世
    본거지 아르메니아를 잃은 나르세스 1세는 생전에 왕위를 호르미즈드 2세에게 넘기고 은퇴하였다. 나르세스가 정통 조로아스터의 신도는 아니었다는 것을 타바리의 《예언자들과 제왕들의 서(Ta'rīkh Rusul wa al-Mulūk)》로부터 추측할 수 있다. 타바리에 의하면, 나르세스는 불을 신성시 여기는 사원을 방문한 적이...
    도서 위키백과
  • 르네 고시니 René Goscinny, ルネ・ゴシニ
    롱바르 베르크 움파파 1958-1962 땡땡 알베르 우데르조 아스테릭스 1959-1977 필로트 알베르 우데르조 방랑자 발렌탕(Valentin le vagabond) 1960 필로트 장 타바리(Jean Tabary) 트롱블롱과 보타클로(Tromblon et Bottaclou) 1962-1963 필로트 고다르(Godard) 이즈노굿(Iznogoud) 1962-1977 리코드(Record), 필로트 장...
    도서 위키백과
  • 헤레티 Kingdom of Hereti
    타르가모스의 아들인 전설적인 족장 헤로에스에서 기원되었다고 한다. 아랍 점유자들에 대항한 투쟁에서 공헌에 대한 보상으로, 카르틀리의 통치자(에리스타바리) 아르칠은 740년대~750년대에 헤레티를 바그라티오니 귀족 가문에게 주었다. 마지막 에리스타바리들인 존과 주안셰르가 죽은 후에, 헤레티의 군주들은 그들...
    도서 위키백과
  • 『범어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 梵魚寺 佛說大報父母恩重經
    등의 내용이 생략되고, 본문 내용이 바로 이어지고 있다. 13장 등에 그림이 있으며, 마지막 장의 다음 장부터는 인도 계빈국(罽賓國)[카피시]의 승려 불타바리(拂陁波利·佛陁波利)가 한역한 『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이 이어진다. 『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의 권미제 다음에는 ‘가정사십일년임술 유월 일...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 살로메 (오페라) Salome (opera), サロメ (オペラ)
    혹은 테너 왕실의 초대객 (이집트인과 로마인들), 측근자들, 하인들, 병사들 (모두 묵음) 때: 기원전 30년경, 달밝은 밤 장소: 유대, 갈릴리 대호수의 타바리야에 위치한 헤로드의 궁전 거대 테라스 7개의 베일의 춤 목관악기: 피콜로, 플루트3, 오보에2, 잉글리시 호른, 헤켈폰, E♭클라리넷, 클라리넷4(B♭2, A2...
    도서 위키백과
  • 사만 토후국 Samanid Empire, サーマーン朝
    문학을 부활시켰다. 이 시기에 유명한 시인 피르다우시가 활동했으며, 10세기경에 이슬람 세계의 뛰어난 역사가로 이름을 날린 무함마드 이븐 자리르 알타바리가 쓴 역사서가 페르시아어로 요약되는 등 페르시아 학문이 눈에 띄게 발전했다. 사만왕조는 인근에서 성장한 투르크계 카라한 칸국과 계속해서 전쟁을...
    도서 위키백과
  • 자마습 Jamasp, ジャーマースプ
    1세와 화해하였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그 이유를 상상하기 어렵지만, 자마습은 카바드 1세의 궁정에서 좋은 대우를 받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후대의 타바리나 디나와리와 같은 역사가들은, 자마습을 가난한 자들이나 농부들의 부담을 덜어 주려고 세금을 감쇄한 훌륭한 군주로 기록하였다. 또한 그는 마즈딘(Mazdean...
    도서 위키백과
  • 아자르미도흐트 Azarmidokht, アーザルミードゥフト
    대한 것은 확실치 않다. 또한 사산 왕조에선 여성이 황제로서 집권하는 것은 예측할 수 없는 것이었으며, 섭정으로 통치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있다. 타바리에 의하면 아자르미도흐트는 630년에 몇 달 동안 재임한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것은 631년에 아직 푸란도흐트가 죽지 않고 재임하고 있던 것과 모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