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昌德宮 摛文院 測雨臺▽
    지정되었다. 15세기 초 세종 때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만든 측우대는 그 뒤 여러 번 만들어 전국에 보급하였지만, 조선시대의 것으로 지금 남아 있는 것은 측우기가 하나, 측우대가 넷뿐이다. 이 측우대는 그 가운데 하나로 특히 측우기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긴 명문이 대리석 4면에 남아 있는 측우대로 기상학사 연구에...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昌德宮 摛文院 測雨臺
    유물설명 측우기는 강우량을 측정하는 기구이다. 측우기의 받침대인 측우대의 표면에는 제작과 설치에 관한 내용이 새겨져 있다. 1782년(정조 6) 정조가 가뭄이 극심하자 비를 기원하는 뜻에서 세종 때의 측우기를 원형으로 삼아 측우기의 제작 규정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측우기를 서운관(書雲觀)과 전국의...
    분류 :
    유물 > 과학기기
    크기 :
    가로 45.5cmcm, 세로 45.5cmcm, 높이 31cmcm
    재질 :
    석제
  •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大邱 慶尙監營 測雨臺
    개설 202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 측우대는 1770(영조 46) 청동제 측우기와 함께 제작된 것으로서, 본래는 대구감영(大邱監營) 선화당(宣化堂)에 있었다. 대석의 앞면과 뒷면의 중앙부분에는 ‘측우대(測雨臺)’, 뒷면의 왼쪽에 ‘乾隆庚寅五月造(건륭경인오월조)’라고 뚜렷이 음각되어 있다. 내용 『영조실록』 권...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과학/과학기술
  • 대구 선화당 측우대 보물 제842호, 大邱宣化堂測雨臺
    보물 842호. 높이 46㎝, 너비 37㎝, 지름 16㎝, 길이 4.3㎝. 기상청 소장. 조선초 세종대에 측우기를 만들어 세계에서 처음으로 강우량을 과학적으로 측정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18세기 이전의 측우기와 측우대는 지금 남아 있지 않다. 19세기초의 측우기가 단 1개 남아 있고, 측우기를 받쳐 놓았던 측우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기상 氣象, weather
    하지만 그 자료가 너무나 방대하여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이들 자료에 대한 정리와 분석 그리고 보존과 활용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또한 측우기, 수표, 풍기가 발명되어 활용되었다. 1. 세종 이전 시대 조선의 새 왕조가 수립됨에 따라 관제가 새로 제정되었으나, 기상관계의 업무는 변함없이 고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장영실 蔣英實
    알려주는 해시계인 앙부일구, 밤낮으로 시간을 잴 수 있도록 만든 일성정시의, 해 그림자에 따라 절기를 알 수 있게 만든 규표 등이 대표적이다. 갑인자, 측우기, 수표 우리나라의 금속활자 개발은 고려 고종 때인 1234년에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인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 인쇄 이후 답보상태에 빠졌다. 조선...
  • 측우를 각 지방으로 확대 실시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을 연중 실행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으므로 고심한 끝에 발명된 것이 측우기였다. 측우기에 대한 기록을 『세종실록』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세종 23년 8월 임오일에 호조에서 아뢰었다. “각도 감사가 우량을 전보(傳報)하도록 이미...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과학시리즈(두번째묶음) 측우기
    86년도 과학시리즈는 천문학을 주제로 하여 천체와 우주에 관한 조상의 지혜를 표현하고자 첨성대와 관천대를 소재로 하였는데 비해 87년도에는 과학기술처 창립 및 과학의 날 행사 20주년을 맞이하여 기상학에 대한 조상의 얼을 찾아보고자 기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고안 사용된 풍기대와 측우기를 소재로 선정했다. 일...
    발행일 :
    1987.4.21
    발행량 :
    15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80원
    디자인 :
    측우기
    우표번호 :
    1490
    인면 :
    22×50
    천공 :
    13
    전지구성 :
    4×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2도색
    디자이너 :
    김영기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과학시리즈(두번째묶음) 풍기대
    87년도에는 과학기술처 창립 및 과학의 날 행사 20주년을 맞이하여 기상학에 대한 조상의 얼을 찾아보고자 기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고안 사용된 풍기대와 측우기를 소재로 선정했다. 일반적으로 우표가 많은 색채를 사용한 디자인을 선호하여 왔기 때문에 금번에는 우표수집가들의 다양한 변화욕구를 만족시켜주기...
    발행일 :
    1987.4.21
    발행량 :
    15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80원
    디자인 :
    풍기대
    우표번호 :
    1489
    인면 :
    22×50
    천공 :
    13
    전지구성 :
    4×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2도색
    디자이너 :
    김영기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관상감측우대 보물 제843호, 觀象監測雨臺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보물 제843호. 높이 87.6cm, 세로 59.7cm, 가로 59.7cm. 원래 측우기가 올려 놓아졌던 것이지만 측우기는 없어진 채 측우대만 서울 종로구 매동초등학교에서 발견되어 뒤에 국립중앙기상대로 옮겨졌다. 이 측우대는 원래 관상감에 있던 것을 매동초등학교가 이사하면서 가지고 갔던 것으로 보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기상청 氣象廳,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등이 증설되었고, 1968년 12월 30일에 관악산레이더관측소가 설립되어, 최초로 기상레이더가 운영되었다. 1971년에는 공주 감영이었던 금영에서 사용한 측우기를 일본 기상청장 다카하시로부터 반환받았으며, 이 측우기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는 측우기(보물, 1971년 지정)이다. 1978년에 기상연구소가...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여의대방로 16길 61
    설립 :
    1904년
    성격 :
    중앙행정기관, 기상업무기관
    유형 :
    단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장영실과학관 조선시대의 에디슨을 만나러 가요
    관람자의 팔에 압력을 가하는 장치로 수압과 부력을 느껴볼 수 있다. '바람' 테마관에서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관측하는 '풍기대'와 비의 양을 측정하는 '측우기' 등의 원리를 공부한다. 자격루와 마찬가지로 디지털화된 계기로 옛 발명품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뿐만 아니라 바람이 가지는 특징을 따로...
    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실옥로 220 환경과학공원 내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3건

측우기
측우기
측우기
측우기
측우기
금영 측우기
관상감 측우대
금영 측우기
금영 측우기
금영 측우기
측우기 구조
금영측우기
▲ {측우기(기상청 소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