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맹산군농민사 조선농민사 맹산군지사, 孟山郡農民社
    이탈하기 시작했다. 1932년 이후 일제의 농촌진흥운동이 본격화하면서 맹산군농민사는 점차 쇠퇴하여 1935년 무렵 해체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능과 역할 맹산군농민사는 야학, 강습회, 독서회 등을 통해 민중을 계몽하였으며, 민중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농민의 경제적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였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28년 3월
    성격 :
    천도교 농민운동 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35년
    설립자 :
    조처항, 방임주, 길응철
    분야 :
    역사/근대사
  • 자작농지설정사업 自作農地設定事業
    수 없게 하였다. 이와 함께 총독부는 1932년 소작 문제를 근원적으로 경감하도록 소작지를 자작지로 돌리는 자작농지설정사업을 시작하였다. 경과 및 결과 자작...8단보의 농지를 자작지화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이 자작농지설정자는 농촌진흥운동에서 양성한 중견 인물과 사실상 겹쳤다. 이보다 사업 실적이 훨씬 더...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사건/사회운동
    분야 :
    경제·산업/경제
  • 협동조합 協同組合, cooperative
    조선총독부가 벌인 농촌진흥운동에 의해 탄압되어 1930년대 중반에는 소멸되고 말았고 8·15광복까지 일제의 관제에 의한 금융조합, 농회 등이 수탈의 도구에 이용되는 등 자발적 조합운동은 긴 동면에 들어갔다. 광복 후에는 정치적 혼미 속에서 좌익과 우익이 각자 협동조합운동을 일으켰으나, 서로 간의 갈등과 대립...
  • 김활란 기득, 金活蘭
    조선총독부 주최 사회교화진흥간담회 참석을 시작으로 교육, 여성계몽 분야에서 친일활동에 앞장섰다. 1937년 황민화정책을 선전하는 조선부인문제연구회 상무이사, 중일전쟁 후 전쟁협력을 위한 기금을 모집하는 애국금차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간사를 맡았다. 1938년에는 일제 전쟁을 내조하는 취지로 이화...
    출생 :
    1899, 경기 인천
    사망 :
    1970. 2. 10, 서울
    국적 :
    한국
  • 동아일보 東亞日報
    일제 총독부의 기관지였던 〈매일신보〉만이 간행되던 시기에 민족자본으로 출발했고, 그후 박영효에 이어 김성수·송진우·이승훈(李昇薰)·백관수(白寬洙) 등...라는 3가지를 밝혔다. 그뒤 〈동아일보〉는 민족주의 진영에서 전개한 민족운동과 깊은 관계를 맺으면서 물산장려운동·민립대학건립운동 등을 주도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일제의 파쇼 통치기
    조선총독부는 그 대책으로 1932년부터 농촌진흥운동을 펴는 한편, 조선소작조정령(朝鮮小作調停令 : 1932)·자작농지설정사업(自作農地設定事業 : 1932)·조선농지령(朝鮮農地令 : 1934) 등을 발표했다. 그러나 어느 경우도 효과를 보지 못한 채 중일전쟁의 도발로 본격적 전시체제로 들어서게 되었다. 전시체제하에서...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심훈 실천적 문학인
    오랫동안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의 기자로 있던 친일파다. 이광수의 단편 「재생」의 모델이기도 한 심우섭은 심천풍이라는 필명으로 『매일신보』에 「형제」와 「산중화」 등 신파 소설을 발표한 적도 있다. 워낙 성품이 강직하던 심훈은 아무리 살붙이라고 할지언정 형의 빗나간 행태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출생 :
    1901년
    사망 :
    1936년
  • 산미증식계획 産米增殖計劃
    조선의 미곡 생산이 대풍작을 보자 총독부는 미곡의 장기 저장을 장려하는 등의 정책을 쓰기도 하였다. 그러나 마침내 다음 해인 1934년, 산미증식계획은 중단되고 말았다. 산미증식계획을 중단한 조선총독부는 허구에 가득찬 농촌진흥운동이라는 것을 추진했으나 이것은 자력갱생이라는 구호 제시에 그쳤을 뿐이다. 4...
    시대 :
    근대
    성격 :
    경제제도, 식민지정책
    유형 :
    제도
    시행일 :
    1921년(1차), 1926년(2차), 1940년(3차)
    시행처 :
    조선총독부
    분야 :
    역사/근대사
  • 새마을 운동 Saemaul Undong, セマウル運動
    위해 시작되어 박정희 정부 주도로 시행된 운동이다. 새마을 운동은 풀뿌리 지역사회개발운동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새마을 운동 계획자는 양찬우 전 경남도지사...공장으로도 확대되었다. 1973년부터 새마을운동을 대대적으로 홍보하여 전국민적 운동으로 확산시켰다. 1973년 1월 16일 대통령령 6458호로 내무부에 새...
    도서 위키백과
  • 조선방송협회 朝鮮放送協會
    바꾸었으며 방송시간도 종래의 1일 9시간에서 16시간으로 늘렸다. 이중방송의 실시와 함께 조선총독부 당국은 이른바 사상개조, 황국신민화운동 침투를 위해 '심전개발·농촌진흥·부녀교육' 등 3대 방침을 표방하며 방송을 통한 회유에 더욱 주력했다. 이렇게 우리말 방송이 시작되자 사람들은 방송에 관심을 나타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방송
  • 배워야 산다 문화, 어디에서 왔나
    상승하기 시작하여 1933년부터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1942년에는 남자취학률이 66.1퍼센트, 여자취학률이 29.1퍼센트나 되었다. 교육이 상층의 소수 엘리트 중심에서 하층 조선인으로 확산되었기 때문이었다. 보통학교의 증설이 이 요구를 따라가지 못해 보통학교 입학경쟁이 만성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1920년대...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