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본질주의 교육철학 本質主義敎育哲學, Essencialist education
    교육향상을 위한 본질파위원회'(Essentialist committee for the Advancement of American Education)를 결성하면서, 당시 미국 교육계를 주도하고 있었던 진보주의 교육을 비판하는 교육개혁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진보주의 교육이 아동의 흥미와 경험을 위주로 교육을 실시했던 것에 대해서, 본질주의 교육자들은 교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항존주의 恒存主義, perennialism
    20세기 초반에 유행했던 진보주의 교육철학을 부정하고, 1930년대에 진보주의를 비판하면서 나타났던 본질주의 교육철학의 불철저함도 반박한다. 진리는 절대적이고 영원하다고 이해하며, 그러한 진리는 이미 고대와 중세의 고전, 특히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등의 저작에서 확립되었다고 주장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교육
  • 개신교 신학 改新敎 神學
    ① 한국의 전통사상에서 기독교의 수용과 해석의 시기(1784∼1900), ② 선교사 신학에 의해 지배받던 한국 신학의 바빌론 포로기(1901∼1933), ③ 보수와 진보주의 신학의 갈등과 투쟁기(1934∼1959), ④ 한국 토양에서 주체적인 한국 신학을 형성하려는 해산의 고통기(1960∼1972), ⑤ 한국의 문화, 역사 현실에서 한국...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19세기 건축, 독일 신고전주의의 성립과 19세기 독일 건축
    전쟁 행위는 단순한 침략이 아니라 프랑스의 혁명 정신을 전파하고 문화를 수출하는 과정이었다. 혁명 정신에 기초한 자유주의가 들어오면서 독일에도 진보주의가 성립되고 혁명이 일어났다. 이들은 독일 통일을 추진해서 긴 갈등과 혼란 끝에 1871년 마침내 통일을 이루었다. 이들이 대표 양식으로 삼은 것이 프랑스...
  • 레디 Cecil Reddie
    영국에서 진보주의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공헌을 했다. 독일 괴팅겐에서 수학하면서 그곳에서 응용되고 있던 진보주의 교육이론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1883년 영국에서 급진적인 새생활모임에 가입해, 사회주의 원리에 기반을 둔 남학교를 설립하고자 결심했다. 1889년 그가 더비셔에 세운 애보츠홀름이라는...
    출생 :
    1858. 10. 10, 영국 런던
    사망 :
    1932. 5, 잉글랜드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러 폴렛 Robert Marion La Follette
    개요 진보주의 운동의 기수로서 위스콘신주지사(1901~06)와 연방상원의원(1906~25)을 지내는 동안 개혁입법가로 이름을 떨쳤다. 1924년 진보정치연합의 단일후보로서 대통령선거에 임했으나 총투표의 1/6에 해당하는 약 500만표를 획득하고도 낙선하는 불운을 겪었다(미국진보당). 초기생애 비교적 유복한 농촌가정에서...
    출생 :
    1855. 6. 14, 미국 위스콘신 프림로스
    사망 :
    1925. 6. 18, 워싱턴 D. C.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어윈 Elisabeth Antoinette Irwin
    진보주의 교육운동에 앞장선 사람이다. 1903년에 스미스대학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1903~04년에는 뉴욕 시에 있는 공원과, 1904~05년, 1909~10년에는 뉴욕 시의 로어이스트사이드에 있는 인보관에서 일하면서 사회복지사업운동에 참여했다. 1905~09년에는 잡일을 하며, 자유기고가로 활동하면서 뉴욕 시의 빈민가 환경...
    출생 :
    1880. 8. 29, 뉴욕 브루클린
    사망 :
    1942. 10. 16, 뉴욕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스푸트니크 쇼크 스푸트니크 충격, Sputnik shock
    쇼크가 미국에 끼친 영향 가운데 가장 전반적인 것은 교육 분야였다. 이전까지 미국의 교육은 철학자이자 교육학자였던 존 듀이(John Dewey)가 주장한 진보주의(Progressivism)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었다. 진보주의는 자연주의와 프래그머티즘에 기반을 두고, 아동의 성장을 통해 사회가 진보한다고 믿었으며, 교육은...
  • 배글리 William Chandler Bagley
    주도적인 '본질주의자'(Essentialist)로서 진보주의 교육을 실시하는 데 반대했다. 배글리는 1895년 이스트랜싱에 있는 미시간주립농업대학(지금의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시카고대학교와 매디슨에 있는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1900년 뉴욕 주 이타카의 코넬대학교에서...
    출생 :
    1874. 3. 15, 미국 디트로이트
    사망 :
    1946. 7. 1, 뉴욕 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미국교육사절단의 활동내용
    대상으로 교수방법·생활지도·정신위생·교육과정 등을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했으며(부산 2회, 서울 1회), 이런 다양한 분야들의 철학적 배경은 진보주의였다. 사절단은 교육부와의 협의 및 현직교원들에 대한 워크숍을 통해 당시의 교육과정 제정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단원학습·문제해결학습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대 , 교육단체
  • 미국교육사절단 美國敎育使節團
    과 연관성을 띠며, 이후의 피보디 교육사절단과도 연속선 상에서 파악될 수 있다. 3차례의 미국교육사절단은 전반적으로 현직교원의 재교육에 주력했고, 진보주의 교육철학을 배경으로 한 교육과정 제정, 그리고 교육방법 등 기술적 측면을 강조했다. 미국교육사절단의 활동은 이후 한국교육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신교육 新敎育, new education
    아이들을 생산활동에 참여시키고 아동의 생활과 경험에 기초한 교육과정을 운영했다. 그는 이 경험을 1899년에 펴낸 〈학교와 사회〉에서 소개하여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운동이 확대되는 데 기여했고, 지역사회학교 설립운동으로 발전되었다. 이와 유사한 시도는 벨기에의 O. 드크롤리가 창설한 '생활에 의한 생활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