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노동당출판사
    조선노동당출판사는 1945년 10월 23일 문화인 간부 양성 및 언론·출판물의 사상수준 제고 등을 목표로 창설되었다. 주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고전, 고 김일성 주석 및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한 도서, 조선노동당의 정책 해설·혁명전통 교양에 관한 도서와 당원들을 위한 교양 자료·해당 잡지, 기타 공산국가들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북한
  •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朝鮮勞動黨中央軍事委員會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 정당인 조선노동당의 최고 군사 기관이다. 조선노동당 규약 제27조 규약에 당의 군사노선과 정책을 관철하기 위한 대책을 토의결정하며 인민군대를 비롯한 전체 무장력을 강화하고 군수생산을 발전시키기 위한 사업을 조직지도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북한
  • 노동당 39호실 조선로동당 39호실
    북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재정경리부 소속 부서이다. 외화획득을 위한 기관으로 1970년대 설립되었으며 당 운영자금과 김일성과 김정일의 비자금을 전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당 39호실이라는 말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3호 청사 9호실에서 유래된 것이다. 금을 포함한 귀금속과 외화 관리가 노동당 39...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시사용어 , 북한
  • 근로자 勤勞者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기관지이다. 1946년 11월 25일에 창간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초기에는 노동신문사에서 발행했으나, 1950년대 이후 조선노동당 출판사 안에 있는 근로자사에서 펴내고 있다. 창간 초기인 1946~47년 부정기적으로 10호까지 발행되다 1948년부터 월간으로 바뀌었다. 그 뒤 반월간으로 다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북한
  • 당창건기념탑
    1994년 9월 30일 착공해1995년 10월 9일 완공했다. 평양시 대동강구역 문수거리에 있다. 높이 20m의 원형기단과 조선노동당 창건 50주년을 상징하는 높이 50m의 탑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탑신의 낫과 망치·붓은 각각 농민·노동자·지식인을 상징한다. 지름 70m의 기단 주위에는 '위대한 전통', '일심단결', '자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노동당대회 勞動黨大會
    노동당대회는 북한 최고 권력기관인 조선노동당의 전당대회로 당 사업과 당 노선에 관한 기본 문제 결정 등의 권한을 가진다. 당 규약상 당대회는 4~5년에 한 번씩 개최되어야 하나, 1946년 8월 1차 대회 이후에는 불규칙하게 개최됐다. 김일성 유일 지배 체제가 구축된 뒤로는 단 두 번의 대회(1970년 ・ 1980년)만...
  • 방학세 方學世
    기관 및 소련 내무부에서 근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1945년 10월 평양에 귀환했을 때는 소련군 대위로서 군사파견단 대표자격을 가졌다. 1948년 3월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제2차 당대회), 같은 해 8월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 1949년 내무성 정치보위국장을 지냈으며, 6·25전쟁중인 1951년 사회안전상에...
    출생 :
    1912
    사망 :
    1992. 7. 18, 평양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은 북한 조선노동당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이다. 당의 모든 사업을 결정하고 지도하는 사실상의 최고 핵심부서이다. 1946년 8월 조선노동당 창립대회 직후 개최된 제1기 제1차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정치위원회로 처음 조직되었으며,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으로 개칭했다...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북한
  • 8월종파 종파, 분파, 당내경쟁
    종파, 파벌, 분파 ‘당(黨, party)’, ‘섹트(sect)’, ‘파벌(派閥, faction, фракция)’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언어학적 파생물이 아닌 역사적 또는 정치적 구성물이다. ‘당’은 ‘나누다, 분할하다’라는 라틴어 ‘partire’로부터 유래한다. ‘섹트’라는 용어도 ‘자르다, 분할하다’라는 라틴어의 ‘secare...
  • 황장엽 조선노동당 비서가 남한에 망명할 뜻을 밝히다
    시대 :
    1997년 2월 12일
    참고 :
    황장엽은 북한의 통치 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을 체계화한 인물로 김일성 ・ 김정일의 측근 중 하나였다. 남한에 들어온 후 김정일 체제를 비판하는 일에 매진한다.
    국가/대륙 :
    한국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
    검열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당대회가 열리지 않는 기간 동안 조선로동당 최고 지도기관의 역할을 대행하며 모든 당 사업을 주관한다. 가장 최근의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2019년 4월 10일, 14기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 전날 개최되었다. 기수 의장 의장 직함 임기 비고 1기 김두봉 중앙위원회 위원장 1946년 8월 28일...
    도서 위키백과
  • 조선로동당 총비서 General Secretary of the Workers..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로동당이 지도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명실상부의 최고 지도자이자 국가원수로 볼 수 있다. 과거 직책이 총비서였던 때에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총서기(總書記)로 불렀으며, 그렇기 때문에 일본 등의 언론에서도 총서기로 칭하기도 했다. 김정일 사망...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조선노동당
평양 당창건기념탑
조선노동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