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미타경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阿彌陀經
    개설 『무량수경(無量壽經)』 ·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과 함께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이라고 하며, 일반 불교신도들 사이에 가장 많이 유포되어 독송되던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이 경은 아미타불과 극락정토(極樂淨土)의 장엄을 설하고, 그러한 정토에 왕생하는 길이 아미타불을 칭명염불(稱名念佛)하는 데...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극락 極樂
    畜生) · 사신(死神)이라는 명칭이 없고, 깨달음을 얻은 아라한(阿羅漢)이 수없이 많으며, 다음 생에 부처가 될 사람도 한량이 없다. 극락을 일반적으로 서방정토라고 하는 것은 인도 사람들이 방위와 시간을 일치시키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인도 사람들은 동쪽으로 서서 앞쪽을 과거, 뒤쪽을 미래라 한다. 따라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정토총요간 淨土總料簡
    서지적 사항 『정토총요간(淨土總料簡)』은 의천(義天)이 중국 및 우리나라의 불교관계 저술을 수집하여 엮은 목록집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 보인다. 태현의 『정토총요간』 1권은 『무량수경고적기(無量壽經古迹記)』 3권, 『아미타경고적기(阿彌陀經古迹記)』 1권, 『칭찬정토경고적기(稱讚淨土...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태현(太賢)
    성격 :
    교리서, 불교교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칭찬정토경고적기 稱讚淨土經古迹記
    서지적 사항 의천(義天, 1055∼1101)의 불교관계 목록집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제1권과 일본의 흥륭(興隆)이 편찬한 『불전소초목록(佛典疏鈔目錄)』에는 1권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일실되어 전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태현(太賢)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정토의범 淨土儀範
    내용 필사본. 1권 1책. 모두 15장이며 2행씩 붙여 쓰였으며 무곽이다. 내용은 아미타불께 권공하는 의식절차를 수록하였다. 고려대학교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저작자 :
    자운
    성격 :
    의례서, 불교의례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
  • 정토진종 대곡파 본원사 부산별원[동본원사] 淨土眞宗 大谷派 本願寺 釜山別院[..
    [설립 목적] 개항과 함께 일본 정부는 거류민과 조선인을 대상으로 일본 불교를 포교하기 위해 개항장을 중심으로 사찰을 세웠는데, 이에 정토진종 대곡파 본원사 부산별원[동본원사]을 설립하게 되었다. [변천] 개항 이후 일본 정부는 정토진종 대곡파(大谷派)에 조선 개교(朝鮮開敎)를 요구하였다. 이에 정토진종 대곡...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정토진종 본원사파 본원사 부산별원[서본원사] 淨土眞宗 本願寺派 本願寺 釜山別..
    1898년(고종 35)[명치 31년] 8월에 처음으로 포교사를 파견하고 부산항 남빈(南濱) 3번지[현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3가]에 포교장을 설립하였다. [변천] 정토진종(淨土眞宗) 본원사(本願寺)는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시대에 동서로 분리되어 두 개의 본원사로 나뉘었다. 1873년(고종 10)에 동본원사(東本願寺)는...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불교경전 요약, 관무량수경 관무량수불경, 觀無量壽經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은 《무량수경(無量壽經)》 · 《아미타경》과 함께 ‘정토3부경(淨土三部經)’이라 한다. 마가다 국의 태자 아사세(阿闍世)가 왕위를 빼앗기 위해 아버지 빔비사라 왕을 옥에 가두었다. 이에 왕비 위제희가 세존에게 근심과 번뇌가 없는 청정한 세계를 보여 달라고 하자, 세존이 시방세계의...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신라정토계획 新羅征討計画, 新羅征討計劃
    신라정토계획(新羅征討計劃)은 753년 경덕왕 12년에 일본에서 사신이 파견되었다가 무례함을 이유로 추방당하자, 일본의 권력자 후지와라노 나카마로가 신라를 대대적으로 침공하기 위한 계획이다. 신라의 삼국통일 시기인 663년 일본은 백제 부흥운동을 지원할 목적으로 42,000명의 군대와 800척 이상의 함대를 파견...
    도서 위키백과
  • 담란 曇鸞, Tan Luan
    북인도에서 온 승려 보리류지를 만나 〈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 1부를 얻고, 이것이 생사해탈하는 선방이라고 기뻐했다. 담란은 이때부터 전향하여 오로지 정토에 이르기 위한 수도에 힘썼다. 동위의 효정제는 그를 존경하여 '신란'이라 칭하고 병주의 대사에 머물도록 했다. 만년에는 분주의 현중사로 옮겨 머물렀다...
    출생 :
    산시 성[山西省] 안문(雁門:지금의 다이셴[代縣]), 476
    사망 :
    542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정토삼부경 Pure Land sutras, 浄土三部経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은 정토교의 근본 성전인 《대무량수경(大無量壽經)》 2권, 《관무량수경(觀無量t壽經)》 1권, 《아미타경(阿彌陀經)》 1권으로 된 3종의 대승경전(經典)의 총칭이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정토삼부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약칭하여, 《대무량수경》은...
    도서 위키백과
  • 국조정토
    국조정토록(國朝征討錄)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활자본 책이다. 2007년 4월 2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11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07-25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6488호, 98면, 2007-04-20 이 책은 조선 세종에서 중종...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국조정토록
정토의범
정토의범
정토의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