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의현 李宜顯
    竹冊:세자빈의 책봉문을 새긴 簡冊) 제진(製進)의 공으로 승문원제조와 비변사유사당상을 겸했다. 예조판서·양관대제학을 거쳐 1727년 우의정이 되었으나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 다음해 무신란(戊申亂)이 일어나자 판중추부사로 기용되어 관련자들을 다스렸다. 1732년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1735년 영의정이...
    출생 :
    1669(현종 10)
    사망 :
    1745(영조 21)
    국적 :
    조선, 한국
  • 김유경 덕유, 金有慶
    등을 두루 지냈다. 1722년(경종 2)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숙천(肅川)으로 유배되었다. 1725년(영조 1) 노론이 집권하자 호조참의로 다시 등용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 때 〈숙종실록〉의 보수(補修)에 반대한다는 소론의 탄핵으로 대정에 안치되었다가, 1729년 소론이 물러나자 풀려났다. 이듬해 형조참판이 되어 앞서...
    출생 :
    1669(현종 10)
    사망 :
    1748(영조 24)
    국적 :
    조선, 한국
  • 유척기 兪拓基
    1725년(영조 1) 노론이 재집권하자 등용되어 대사간·동부승지 등을 거쳐 승지 겸 참찬관을 지냈다. 이어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다시 대사간이 되었으나 정미환국으로 파직당했다. 그뒤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재등용되어 원자보양관·세자시강원빈객을 거쳐 평양도관찰사·호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1739년 우의정에...
    출생 :
    1691(숙종 17)
    사망 :
    1767(영조 43)
    국적 :
    조선, 한국
  • 박문수 조선 후기의 문신
    뒤 설서·대교를 거쳐 병조정랑에 이르렀으나, 1724년(영조 즉위) 노론이 집권하면서 삭탈관직을 당했다. 1727년 영조가 당쟁을 조정하고자 소론을 등용한 정미환국(丁未換局) 때 사서로 다시 기용되었고, 같은 해 9월 영남암행어사로 나갔다. 1728년 부교리를 겸하던 중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사로도순문사...
    출생 :
    1691(숙종 17)
    사망 :
    1756(영조 32)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고령(高靈)
    자 :
    성보(成甫)
    호 :
    기은(耆隱)
  • 김흥경 자유, 金興慶
    중 1721년(경종 1) 신임사화로 파직당했다가,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도승지가 되었다. 이듬해 우참찬으로 동지사가 되어 청에 다녀왔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소론 이광좌 등이 집권하자 한성부판윤에서 밀려났다. 이듬해 우참찬으로 복직되었으나, 탕평책을 반대하다 다시 파직되었다. 1730년 좌참찬으로...
    출생 :
    1677(숙종 3)
    사망 :
    1750(영조 26)
    국적 :
    조선, 한국
  • 민진원 閔鎭遠
    유배시켰고, 송시열의 증직(贈職)을 상소했다. 그뒤 좌의정·중추부영사 등을 지냈으나, 1727년 영조가 당쟁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조정의 인사를 개편한 정미환국이 일어나자 파직되어 순안(順安)에 안치되었다. 이듬해 풀려난 뒤에도 소론을 배격하는 데 앞장섰다. 1730년 기로소에 들어갔고 1733년 봉조하가 되었다...
    출생 :
    1664(현종 5)
    사망 :
    1736(영조 12)
    국적 :
    조선, 한국
  • 신만 申晩
    본관은 평산. 자는 여성·성백. 아버지는 영중추부사 사철이다. 1726년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정자가 되고, 1727년 실록청도청낭청이 되었다. 이해 정미환국으로 노론계 인물이 파면되고 조태억·이광좌 등 소론이 기용되자 파직당했다. 1729년 이후 검열·정언·이조참의·대사성·도승지·이조참판·경기도관찰사·예조...
    출생 :
    1703(숙종 29)
    사망 :
    1765(영조 41)
    국적 :
    조선, 한국
  • 오명항 吳命恒
    기회를 준다면 변방의 방어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 건의했다. 신임사화와 관련하여 1725년 소론대신들이 물러난 후, 그도 이듬해 자리에서 물러났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다시 권력을 장악하자 이조판서로 임명되어 숙종 때와 같이 경재부터 삼사의 관원이 수령으로 적합한 자를 추천하자는 수령간택방법을 건의...
    출생 :
    1673(현종 14)
    사망 :
    1728(영조 4)
    국적 :
    조선, 한국
  • 이광좌 李光佐
    영조 1)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신임사화의 잘못을 논하는 노론 계열의 잇달은 상소로 파직되었다. 1728년 영조가 당쟁의 조정을 꾀하여 소론을 재등용한 정미환국 때 다시 영의정이 되었으며, 실록청총재관으로 〈경종실록〉·〈숙종실록〉 보유편을 편찬했다. 영의정으로 있으면서 신임사화를 재론해, 노론 4대신을 다시...
    출생 :
    1674(현종 15)
    사망 :
    1740(영조 16)
    국적 :
    조선, 한국
  • 김흥경 자유(子有), 金興慶
    신임사화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1724년 영조의 즉위로 도승지가 되었고, 이듬해 우참찬으로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한성부판윤에서 쫓겨났다가 이듬해 우참찬으로 복직되었으나,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에 반대하여 다시 파직되었다. 1730년 좌참찬에 복직되고...
    시대 :
    조선
    출생 :
    1677년(숙종 3)
    사망 :
    1750년(영조 26)
    경력 :
    영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경주(慶州)
  • 정호 鄭澔
    영조 1) 노론의 재집권으로 풀려나 우의정에 특진, 신임사화로 처형된 노론 4대신의 신원을 여러 차례 상소했으며,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1729년 기로소에 들었고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일생을 노론의 선봉으로 활약했고, 시문과 글씨에 모두 능했다. 저서로 〈장암...
    출생 :
    1648(인조 26)
    사망 :
    1736(영조 12)
    국적 :
    조선, 한국
  • 사충서원 四忠書院
    왕세제가 영조로 즉위한 뒤 노론정권이 수립되면서 신원(伸寃)되고 서원이 건립된 것이다. 건립과 동시에 국가로부터 사액을 받았다. 그러나 1727년의 정미환국(丁未還局)으로 소론정권이 들어서서 신임옥사를 역(逆)으로 번복하고 4대신을 다시 죄인으로 만들자 이 서원도 따라서 철폐되었다. 그 뒤 1740년의 경신처분...
    시대 :
    조선 후기
    건립시기 :
    1725년(영조 1)
    성격 :
    서원, 교육시설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분야 :
    교육/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