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방식당
    [중소벤처기업부 2019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이방식당은 1977년 이방시장의 전통 먹거리인 수구레를 국밥과 국수로 팔았던 것을 시작으로, 국물 맛을 더욱 진하게 개선하여 더욱 맛있는 수구레 국밥을 대표 메뉴로 이어가고 있다. 수구레는 소의 껍질과 쇠고기 사이의 아교질을 일컫는 부위를 말하며, 쫄깃하게 씹히는...
    위치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옥야길 1
  • 이방시장
    1956년부터 이어져온 이방시장은 창녕군 이방면에 위치한 5일장으로 보통 이방장으로 불린다. 평상시에는 주차장으로 사용되다가 장날이면 이방시장으로 변한다. 시장 규모는 크지 않지만, 다양한 채소와 과일, 의류와 먹거리들이 있고 해산물을 판매하는 어물전도 있다. 또, 수구레 원조 국밥집이 있어 수구레 국밥을...
    위치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옥야길 2-7
  • 이방참판지인 吏房叅判之印
    찍는 낙인(烙印)이 있다. 각 관청의 인장은 정3품 이상의 당상관이 있는 기관은 당상관이, 그 이하의 관청은 그 기관의 장이 사용하였다. 이조참판의 관인이다. 이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뒤이은 관직 명칭이 육조 체제의 직급명을 따르고 있어 육조의 관인을 만들기 위해 제작한 나무 본으로 짐작된다.이조는...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8.2cm, 가로: 8.1cm, 높이: 8.3cm
    재질 :
  • 이방참의지인 吏房叅議之印
    찍는 낙인(烙印)이 있다. 각 관청의 인장은 정3품 이상의 당상관이 있는 기관은 당상관이, 그 이하의 관청은 그 기관의 장이 사용하였다. 이조참의의 관인이다. 이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뒤이은 관직 명칭이 육조 체제의 직급명을 따르고 있어 육조의 관인을 만들기 위해 제작한 나무 본으로 짐작된다.이조는...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8.2cm, 가로: 8.0cm, 높이: 8.3cm
    재질 :
  • 이방정랑지인 吏房正郞之印
    찍는 낙인(烙印)이 있다. 각 관청의 인장은 정3품 이상의 당상관이 있는 기관은 당상관이, 그 이하의 관청은 그 기관의 장이 사용하였다. 이조정랑의 관인이다. 이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뒤이은 관직 명칭이 육조 체제의 직급명을 따르고 있어 육조의 관인을 만들기 위해 제작한 나무 본으로 짐작된다.이조는...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8.2cm, 가로: 8.2cm, 높이: 8.2cm
    재질 :
  • 이방좌랑지인 吏房佐郞之印
    찍는 낙인(烙印)이 있다. 각 관청의 인장은 정3품 이상의 당상관이 있는 기관은 당상관이, 그 이하의 관청은 그 기관의 장이 사용하였다. 이조좌랑의 관인이다. 이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뒤이은 관직 명칭이 육조 체제의 직급명을 따르고 있어 육조의 관인을 만들기 위해 제작한 나무 본으로 짐작된다.이조는...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8.2cm, 가로: 8.3cm, 높이: 8.4cm
    재질 :
  • 광물 鑛物, mineral
    다르기 때문에 각기 다른 광학적 성질을 보이며, 이는 광물 감정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편광 현미경을 이용하면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알 수 있다. 광학적 이방체와 등방체 광물 내에서 빛의 속도가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한 광물을 광학적 등방체라 하고, 방향에 따라 굴절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 광물을 광학적 이방...
  • 익안대군 益安大君
    개설 이름은 방의(芳毅). 태조의 셋째아들이고,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 韓氏)의 소생으로, 이방과(李芳果: 뒤의 정종)의 아우이며, 이방원(李芳遠: 뒤의 태종)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92년 태조가 즉위하자 익안군(益安君)에 봉해지고, 1398년(태조 7) 12월에 이방원·이방간(李芳幹)과 더불어 개국공신 1...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04년(태종 4)
    경력 :
    중군절제사(中軍節制使)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정도전의 난, 방간의 난
    직업 :
    왕자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익안대군 益安大君
    이름은 방의(芳毅). 형은 정종이며 동생은 태종이다.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이다. 1392년 이성계가 즉위하자 익안군에 봉해졌다.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방원(뒤의 태종)을 도와 정도전 세력을 제거함으로써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고, 익안공으로서 중군절제사가 되었다. 방원이 실권을 장악한 뒤...
    출생 :
    미상
    사망 :
    1404(태종 4)
    국적 :
    조선, 한국
  • 익안대군 益安大君
    익안대군은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의 셋째 아들 이방의이다. 조선 제2대 임금 정종의 동생이자 제3대 왕 태종의 형이기도 하다. 이성계 아들 중 야심이 작다고 알려졌으나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이방원을 도와 정도전 세력을 제거했고, 이방원이 실권을 장악한 뒤에는 동생 이방간과 함께 개국공신...
    출생 :
    1360년
    사망 :
    1404년
  • 두더지 이방
    [개설] 두더지 이방[豫防]은 음력 1월 15일을 전후하여 강서구 가덕도동[가덕도]의 주민들이 한 해 동안 밭에 피해를 주는 두더지를 퇴치하기 위하여 절굿공이를 들고 집 안팎이나 밭을 돌면서 “두더지 잡자!” 하고 반복해서 외치고 다니며 땅을 찧는 풍속이다. 두더지 이방은 전국적으로 행해지는데, 이를 지역에...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 과일나무 해거리 이방
    [개설] 과일나무 해거리 이방은 해를 거르지 않고 매년 풍성한 과일을 수확할 수 있게 하는 예방책을 일컫는다. 이방[豫防]은 민간에서 질병이나 재액 따위를 미리 막기 위하여 하는 행위로, 과일나무의 해거리 이방은 과일나무 시집보내기와 마찬가지로 과실이 많이 열리기를 기원하는 풍속이다. 다만 해거리를 하지...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수영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출처1건

멀티미디어26건

이방의
이방좌랑지인
이방좌랑지인
이방참의지인
이방정랑지인
이방정랑지인
이방좌랑지인
이방참판지인
이방정랑지인
이방참의지인
이방좌랑지인
이방참판지인
이방참의지인
이방참판지인
이방좌랑지인
이방좌랑지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