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초연결 사회 Hyper-connected Society
    그런데 날로 진화하는 사이버 공격을 기술적 ‘창과 방패’, 즉 ‘해커해커’의 대전(對戰)으로 얼마나 해결할 수 있을지 전망이 서질 않는다. 기술의 가치...것은 아닌지, 디스토피아(dystopia)를 면할 수 있는 기술 사회의 윤리는 무엇인지, 당장 SNS에서의 유해정보 확산은 어쩔 것인지······.사이버 세상...
  • DIY 생물학 DIY 생물학, Do-it-yourself biology
    출처 다른 용어들도 DIY 생물 군집과 관련이 있다. 바이오해킹과 웨트웨어 해킹이라는 용어는 해커 문화와 해커 윤리의 연관성을 강조한다. 해커라는 용어는 새롭고 현명한 작업 방법을 찾는 본래의 의미로 사용된다. 바이오해킹이라는 용어는 그라인더 바디 개조 커뮤니티에서도 사용되며, 이는 생물학적으로 관련이...
    도서 위키백과
  • 에릭 레이먼드 Eric S. Raymond, エリック・レイモンド
    외에도 그는 해커들이 쓰는 용어를 설명한 자곤 파일("신 해커사전")을 편집했으며, 넷스케이프의 소스 코드 공개, 모질라의 설립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그는 현재 태권도 검은 띠의 소유자이다. 《성당과 시장》 《The New Hacker's Dictionary》 《The Art of Unix Programming》 해커 윤리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케빈 폴슨 Kevin Poulsen, ケビン・ポールセン
    능력을 윤리적이고 유익한 방향으로 활용하고자 결심했다. 감옥에서의 경험을 통해 폴슨은 보안 전문가로의 전환을 이루었다. 그는 자신의 해킹 기술과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기업과 정부 기관에 보안 컨설팅을 제공하고 시스템의 취약점을 분석하는 일에 착수했다. 이로써 그는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사회에...
    도서 위키백과
  • CEH CEH
    CEH는 아래 항목을 함의한다. 윤리적 공인 해커(Certified Ethical Hacker) 체코의 UNDP 국가 코드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카오스 컴퓨터 클럽 Chaos Computer Club, カオス・コンピュータ・クラブ
    정보 보호와 감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쾰른이나 하이델베르크 등지에는 과거 대형 그룹 구성원이 사라진 곳에 작은 클럽이 설립되었다. 해커 윤리에는 탈중앙화가 명시되어 있었기 때문에 탈중앙화 과정은 어렵지 않게 진행되었다. 1986년에도 CCC 헌장에서도 독립적인 경험 공유 서클...
    도서 위키백과
  • 바이오펑크 Biopunk, バイオパンク
    바이오 해커, 생명공학 거대 기업, 인간 DNA를 조작하는 억압적인 정부 기관 등이 등장하는 사이버펑크에서 파생된다. 사이버펑크의 어두운 분위기에 가장 잘 어울리는 바이오펑크는 일반적으로 유전공학의 어두운 면을 조사하고 생명공학기술의 낮은 면을 나타낸다. 바이오펑크(Biopunk)는 재조합 DNA의 발명에 따른...
    도서 위키백과
  • 유닉스 철학 Unix philosophy, UNIX哲学
    수 주 내로. 어설픈 부분을 버리고 다시 만드는 것을 주저하지 말 것. 프로그래밍 작업을 가볍게 하기 위해, 심지어 우회하는 방법으로 도구를 만들고 바로 버릴지라도 어설픈 도움 보다는 도구 사용을 선호할 것. 인지공학 소프트웨어 공학 KISS 원칙 해커 윤리 언어링크 - by The Linux Information Project 언어링크
    도서 위키백과
  • 공각기동대 (영화) Ghost in the Shell (1995 film), GHOST ..
    투명 광학복. 가격이 비싸 9과와 '인형사'를 만들어낸 2과에서만 사용함)를 이용해 경찰의 시선에서 유유히 사라진다. 이 시기엔 얼마 전부터 정체 불명의 해커 '인형사'가 주로 EC권에 출몰하여 네트에 개입, 주가 조작, 정보 수집, 정치 공작, 테러, 전뇌 윤리 침해 등 각종 범죄를 일으켰다. 그는 불특정 다수 인간의...
    도서 위키백과
  • 경남도민일보 慶南道民日報
    기자 윤리강령이 엄격한 언론사로 알려져 있다. 설, 추석 선물은 모두 기부하고 있으며, 기부한 내역은 온라인에 공개한다. '개혁적 정론지'를 표방하면서 진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창간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이 주주로 참여한 일간신문이라는 점도 특징이다. 대주주가 없으므로 비교적 외압에서 자유롭다. 월~금요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