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행동유전학의 연구방법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연구의 문제점으로는, 인간은 성장기간이 길고 일란성쌍생아를 찾아 오랫동안 관찰해야 한다는 것 등이 있다. 관리가 보다 수월한 동물연구는 유전연구에 중요한 성과를 가져왔다. 근친 동물(예를 들어 형제)을 약 20세대가량 내부 교배시키면 거의 순수한 혈통을 얻게 되며 이들의 후손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존 홀데인이 유전학에 기여한 업적은?
    영국의 생리학자 존 스콧 홀데인(John Scott Haldane)은 로널드 에일러 피셔(1890~1962), 현대 집단유전학의 창시자인 시월 그린 라이트(Sewall Green Wright, 1889~1988)와 함께 개체군 유전학을 고안하였다. 또 기타 연구업적으로 《진화의 원인(The Causes of Evolution)》이라는 유명한 책을 펴냈는데, 이 책은...
  • 유전학과 암
    성인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의 주원인(90%)은 발암물질 등의 환경요인에 있기도 하지만 유전적 요인도 있다. 다운증후군 환자는 백혈병의 발병 확률이 높으며,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는 골수세포에 이상이 있는 필라델피아(Ph)염색체를 갖는다. 암이 유전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체세포분열을 조절하는 유전물질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집단유전학 集團遺傳學, population genetics
    진화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한다. 1908년 영국의 수학자 G.H.하디와 독일의 의사 W.바인베르크는 생물집단에서 유전자들이 어떻게 분포하는가를 연구하여 서로 독립적인 법칙을 발견했는데 이를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이라고 하며 집단에서 유전자분포를 나타내는 기본 원칙이다. 1930년대에는 통계학의 발전에 따라 선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유전적 다양성 遺傳的 多樣性, genetic diversity
    생물 종내 및 종간에 존재하는 다양성 중 유전자에 의해 후세대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체군, 개체군 사이 내에서의 변이를 둘 다 포함하는 개념이다. 유전적이 다양함이 높을수록 질병이나 변하는 환경에 대한 내성은 강해진다. 생물의 외형만 봐서는 유전자의 작용 때문인지 환경적 영향인지 알 수가 없으나...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약리유전학 pharmacogenetics
    한 개인의 유전자가 약물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는 학문. 가장 최선의 치료제 및 그 용량을 미리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암 환자에서 맞춤형 치료는 약제의 효과를 증진시키며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약물유전체학(pharmacogenomics)이라고도 한다.
    도서 암용어사전 | 태그 건강
  • 미생물유전학 微生物遺傳學, microbial genetics
    균류, 미세조류(微細藻類), 세균, 바이러스 등 미생물을 사용하는 유전학의 한 분야. 붉은빵곰팡이로 생화학적 돌연변이체를 계통적으로 해석한 G.W.Beadle와 E.L.Tatum의 「1유전자 1효소 가설」을 시작으로 F.Jacob과 J.L.Monod(1960)의 오페론설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 및 성과가 있다. 미생물은 구조가 단순하고...
  • 동물학의 영역
    점이다. 둘째는 유전되는 변이의 본질이나 자연선택설을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한 시도가 일어나고, 그 결과 멘델의 유전법칙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유전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탄생했다는 점이다. 멘델의 유전법칙과 더불어 생겨난 집단유전학의 발달로 종의 개념은 '같은 유전자군을 가지며 서로 교배가 가능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유전학의 역사 History of genetics
    유전학의 역사 또는 유전학사(遺傳學史)는 히포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및 에피쿠로스에 의한 공헌과 함께 고전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인간은 경험적으로 선사시대부터 생물의 특징이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유전되는 것을 이용한 품종개량을 해왔다.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한 현대 유전학은 오스트리아의 아우구스티노...
    도서 위키백과
  • 포렌식 과학수사, Forensic
    포렌식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분야 법의학 독성학, 영상의학, 분자생물학 등을 이용, 정확한 사인 진단과 손상 해석, 사체 신원의 확인 등을 관장한다. 법유전학 DNA 분석을 통해 신원확인을 비롯한 각종 사건·사고 해결에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일을 관장한다. 법독성학 각종 독성물질, 남용물질 및 식품류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과학 일반
  • 분자유전학 分子遺傳學, molecular genetics
    유전현상의 기본적 메커니즘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는 학문. 세균이나 박테리오파아지의 유전학적 연구로부터 유전자의 실체가 DNA인 것이 증명되었고, DNA와 RNA의 분자구조가 밝혀짐에 따라 유전정보의 실체, 유전암호, 유전자의 복제, 재조합, 형질발현과 그 유전적 조절메커니즘 등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게...
  • 양적 유전학 量的遺傳學, quantitative genetics
    여러 가지 미소효과(微少効果)가 있는 유전자나 환경이 양적인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집단유전학의 한 분야. 유전자 하나하나를 직접 취급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통계적 분석을 기초로 한다. 양적 형질은 연속분포를 나타내지만 적당한 변환(變換)을 이용하면 정규분포에 귀착시킬 수도 있다.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유전학
광유전학(Optogenetics)
의학유전학과
러시아 세포학및유전학 연구소에서 길들인 은여우
연부 조직 종양에서의 특징적 세포 유전학적 변이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세포유전학적 형태에 따른 예후분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