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통화정책수단있다. 지급준비제도란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예금 등과 같은 금융기관 부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지급준비율을 변경하여 본원통화를 조절하면 승수효과를 통해 통화량에 영향을 주므로 지급준비정책은 중앙은행의 유동성조절수단이 된다. 공개시장운영은 중앙은행...
-
금융정책 金融政策, Financial Policy부문을 통한 통화공급이 크게 확대되면서 정부와 한국은행은 기존의 통화관리방식에서 전환하여 다각적인 통화조절대책을 마련하였다. 금융부문에서는 예금지급준비율을 1987년 11월 4.5%에서 7%로 인상한 데 이어 1988년 12월 10%로 다시 인상하였으며 상업어음재할인 및 무역어음 담보대출금리도 1986년 7월과 1988...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
-
한국은행 韓國銀行, The Bank of Korea관리업무: 한국은행은 정부와 협의하여 우리나라 통화의 대외가치를 나타내는 환율이 외환시장에서 적정수준으로 유지되도록 노력하는 한편 은행들의 외화예금 지급준비율을 조절하고 외화대출 조건을 정함으로써 외화자금이 필요한 부분에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최종적인 대외결제자금인...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50년 6월
- 성격 :
- 은행
- 유형 :
- 단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신용창조 / 신용경색 Credit Creation / Credit Crunch형태로 다시 은행에 예치되는 과정이 거듭되면 일정의 본원적 예금에 대한 신용창조의 한도액(X)은, X=C(1-R)/R로 정의된다. 여기서 C는 본원적 예금, R은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의미한다.-신용경색은 금융기관들이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시장에 돈을 제대로 공급하지 않아 가계나 기업이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