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폰수 4세 포르투갈 제7대 왕, Afonso IV
    분쟁은 그의 이복형제를 숨겨준 카스티야와의 싸움으로까지 번졌다. 그러나 1340년 모로코의 술탄 마리니드가 스페인을 침략하자 그는 카스티야의 알폰소 11세와 연합해 군대를 이끌고 마리니드에 맞서 타리파 근처의 살라도 강 전투에서 승리했다(1340. 10. 30). 그는 1355년 자신의 후계자인 미래의 페드루 1세의...
    출생 :
    1291. 2. 8, 리스본
    사망 :
    1357. 5. 28, 리스본
    국적 :
    포르투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페드로 Pedro
    당대 그의 적들에게는 몹시 잔인하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후대의 작가들은 그를 정의를 굳건히 지킨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15세에 아버지 알폰소 11세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며 잉글랜드에 맞서려는 프랑스 왕 장 2세의 강요로 프랑스와 군사동맹을 맺었다. 이 동맹은 1352년에 확정되었고 페드로는 매우 사랑하던 여자...
    출생 :
    1334. 8. 30, 카스티야 부르고스
    사망 :
    1369. 3. 23, 프랑스 몽티엘
    국적 :
    카스티야-레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리오살라도 전투 Battle of Río Salado
    무어족 침략자들을 내쫓기 위한 마지막 동맹을 맺었다. 마린인들은 엄청난 규모의 군대를 모아 지브롤터 해협에서 카스티야 함대를 격파한 뒤 내륙으로 진격해, 세비야 부근 살라도 강에 이르렀다. 이곳에서 그들은 카스티야 왕 알폰소 11세와 포르투갈 왕 아폰수 4세가 이끄는 연합군에게 대패해 아프리카로 쫓겨났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보카네그라가 Boccanegra family
    전해진다.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시몬 보카네그라 Simon Boccanegra〉는 그의 이야기를 기초로 한 작품이다. 시모네의 동생 에지디오는 카스티야 왕 알폰소 11세의 휘하에서 대제독으로 복무했으며 1344년 알헤시라스에서 모로코 함대를 격파해 큰 승리를 거두었다. 그의 뒤를 이은 아들 암브로조는 1371년 타호 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폰수 4세 (포르투갈) Afonso IV of Portugal, アフォンソ4世 (ポルト..
    산초 4세와 마리 데 몰리나의 딸 카스티야의 베아트리체와 혼인했다. 이 사이에서 태어난 장자가 바로 포르투갈의 마리아이었다. 1325년에 카스티야의 알폰소 11세는 그의 섭정 중 한 명의 딸이던 카스티야의 콘스탄사 마누엘과 아동 결혼을 맺었다. 2년 뒤에 그는 이 결혼을 취소하였고 이에 따라 그는 아폰수의 딸인...
    도서 위키백과
  • 레온 국왕 List of Leonese monarchs, レオン君主一覧
    왕은 또한 카스티야의 국왕이다. 5 페르난도 3세 1230년 1252년 6 알폰소 10세 1252년 1284년 7 산초 4세 1284년 1295년 8 페르난도 4세 1295년 1312년 9 알폰소 11세 1312년 1350년 10 페드로 1350년 1369년 대수 초상 이름 재위 시작 재위 종료 비고 1 엔리케 2세 1369년 1379년 2 후안 1세 1379년 1390년 3 엔리케...
    도서 위키백과
  • 르네 1세 Rene I
    나폴리에서 알폰소에게 포위당해 1442년 6월에 나폴리를 포기했으며 10월 프로방스로 돌아왔다. 1420년대부터 잉글랜드의 지배를 받아온 멘을 동생 샤를에게 되찾아주기 위해 르네는 1444년 4월 투르에서 개최된 잉글랜드와 프랑스 간의 협상에 참여했다. 이 협상의 결과로 그의 작은 딸 마르그리트가 1445년 잉글랜드...
    출생 :
    1409. 1. 16, 프랑스 앙제
    사망 :
    1480. 7. 10, 엑상프로방스
    국적 :
    앙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이사벨 1세 (카스티야) Isabella I of Castile, イサベル1世 (カスティ..
    1세의 아버지 카스티야의 후안 2세까지 14대를 아들로 이어졌다. 이사벨의 고조부 카스티야의 엔리케 2세는 원래 트라스타마라 백작으로, 카스티야의 알폰소 11세의 정부 레오노르 데 구스만이 낳은 14번째 서자였다. 그러나 알폰소 11세의 적자이자 이복 형 페드로를 쿠데타로 축출하고 카스티야 연합왕국의 왕이...
    도서 위키백과
  • 카스티야 연합왕국 Crown of Castile, 卡斯蒂利亞聯合王國
    이때부터 공문서를 카스티야어로 작성하면서, 카스티야어가 레온어, 바스크어, 갈리시아포르투갈어 등을 제치고 점차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알폰소 11세의 사후 두 왕자 페드로와 엔리케 간에 카스티야의 왕좌를 둘러싼 내전이 벌어졌다. 처음에는 페드로가 알폰소 11세의 적자로서 왕위를 이었으나, 사생아...
    도서 위키백과
  • 카스티야의 군주 목록 List of Castilian monarchs, カスティーリャ君主一覧
    1세 1214년 1217년 5 페르난도 3세 1217년 1252년 6 알폰소 10세 현명왕 1252년 1284년 7 산초 4세 용감왕 1284년 1295년 8 페르난도 4세 1295년 1312년 9 알폰소 11세 공정왕 1312년 1350년 10 페드로 잔인왕 또는 정의왕 1350년1367년 1366년1369년 동생 엔리케와의 내전에서 패하여 퇴위당하지만 흑태자의 도움으로...
    도서 위키백과
  • 엔리케 2세 Henry II of Castile, エンリケ2世 (カスティーリャ王)
    2세 데 카스티야는 카스티야 연합왕국의 국왕이다. 트라스타마라가 시조. 은총왕, 서자왕(el Fratricida)으로도 불린다. 카스티야 연합왕국의 국왕 알폰소 11세의 서장자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카스티야의 귀족 레오노르 데 구스만이다. 모친 레오노르는 부친 알폰소의 정부라는 이유로 엔리케는 적통의 자격이 없었고...
    도서 위키백과
  • 개연론 蓋然論, probabilism
    신부들의 너그러움은 도덕의 해이를 가져올 뿐이라고 비난했다. 교황 알렉산데르 7세도 개연론이 지나치다고 비난을 했고(1666, 1667), 교황 인노켄티우스 11세는 더 강력하게 개연론을 비판했다(1679). 교회박사이자 윤리신학자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가 등개연론(等蓋然論:서로 대립하는 두 견해가 똑 같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