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당나라와 통일 신라 시대의 문물 교류역할을 톡톡히 했는데, 당은 물론이고 일본에서 건너온 승려까지 모여들었다고 한다. 또 성 외곽에도 신라인이 살던 신라촌이 있었는데 신라촌을 묶어서 ‘신라소(新羅所)’라는 관청이 통제했다는 기록이 있다. 신라인들은 주로 상업과 해운업에 종사하면서 점차 당과 교류하는 외국인에게 통역을 제공하는 역할도...
-
무량수경의소 無量壽經義疏장서(長西)의 『염불본원의(念佛本願義)』 · 적혜(寂慧)의 『정토술문초(淨土述聞鈔)』 · 성총(聖聰)의 『대경직담요주기(大經直談要註記)』에 인용된 신라 승려 법위(法位)의 글을 모은 것이다. 현행 복원본인 『무량수경의소』는 최초로 집성된 법위의 주석서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그렇지만 누락된 부분이...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금광명경소 金光明經疏둔륜(遁倫) · 태현 등도 주석서를 찬술했다는 기록은 전하지만 역시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집일본의 형태로라도 복원된 『금광명경소』는 신라시대 『금광명경』 연구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원효의 중요성을을 고려할 때 그의 불신관 혹은 삼신설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문 실정에서...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무구칭경소 無垢稱經疏재가신앙에 심취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것이 배경이 되어 『유마경』을 주석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경흥은 대승불교의 재가주의(在家主義)를 천명하고 있는 『유마경』 주석서인 『무구칭경소』 보급을 통해, 불교에 의한 신라의 통합과 민중불교로서의 면모를 더욱 발전시키고자 한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저작자 :
- 경흥(憬興)
- 성격 :
- 주석서,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 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불가사의(不可思議)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신라 밀교의 사상적 경향과 특징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는 신라시대 밀교 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이후 일본으로 전래되어 일본 승려들에 의해 주석서가 편찬되었다는 점에서 밀교 사상사적으로도 중요한...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신라촌락문서 신라민정문서, 新羅村落文書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이용한 가공품이 국가의 수취대상이었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들 촌에서 마포(麻布)와 견(絹)이 정조(正調)로 수취되고, 잣·호도·소·말 등이 잡조(雜調)로 수취되었을 것이다. 이 문서는 신라통일기 촌락의 구체적인 면모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로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국가...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창작/발표시기 :
- 815년
- 성격 :
- 문서, 유출문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고대사
- 소장/전승 :
- 일본 도오다이지[東大寺] 쇼소인[正倉院] 중창(中倉)
-
통일신라 시대의 정치 전개와 쇠퇴것이다. 신라 하대 왕위계승을 둘러싼 갈등 원성왕은 4년(788) 경전의 이해 정도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어 관리를 선발하는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제정하였다. 시험 과목으로는 춘추좌씨전·예기·문선·논어·효경·곡례 등이 있었다. 원성왕 6년(790)에는 벽골제를 증축하여 백성들의 농업에 힘쓰기도 하였다. 한...
-
원효 元曉불경이오. 신라 왕비의 병으로 인하여 좋은 인연을 삼아, 이 불경을 당신들의 나라로 보내어 널리 알리고자 사신들을 부른 것이오.”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원효가 이 ≪금강삼매경≫에 대한 주석서 3권을 지어 황룡사에서 설법하게 되었다. 왕을 비롯하여 왕비와 왕자·공주, 그리고 여러 대신들과 전국의 절에서 온...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음악 音樂이상에서 알 수 있는 신라에서의 당악이 방향과 공후를 함께 편성하고 있었는지 확인하여 볼 수는 없지만, 계유명 아미타불삼존 사면석상(癸酉銘阿彌陀三尊佛四...통일신라의 당악은 일본의 당악같이 방향 · 비파 · 쟁 · 공후 · 생 · 소 · 척팔(尺八) · 피리 · 당적 · 고(鼓)를 사용하였을 것 같다. 향악 향악...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관련시켜 길흉을 예측하는 습속이 있었다. 『삼국사기』에는 84년 고타군주가 신라 파사(婆娑) 이사금(尼師今)에게 청우를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청우는 털색이...관한 일화 · 전설] 우리는 소를 한 집안의 가족처럼 여겼기에 소를 인격화한 일화가 많다. 인의 사상에 따라 소를 인격화한 이야기로는 황희(黃喜)에...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