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헌덕왕 언승(彦昇), 憲德王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41대(재위:809~826) 왕. 개설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언승(彦昇)이다. 소성왕(昭聖王)의 동생으로, 아버지는 원성왕(元聖王)의 큰아들인 혜충태자(惠忠太子)인겸(仁謙)이며, 어머니는 성목태후(聖穆太后) 김씨이다. 할머니는 각간(角干) 신술(神述)의 딸 숙정부인(淑貞夫人) 김씨이며, 비는...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826년(헌덕왕 18)
- 경력 :
- 신라 제41대 국왕(재위: 809∼826년)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제공(悌恭)의 난, 김헌창(金憲昌) 난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본관 :
- 경주
-
신라 41대 왕, 헌덕왕 김언승, 憲德王신라 제41대 왕이자 애장왕의 숙부로, 이름은 언승. 섭정할 때부터 권력 장악을 위한 왕권 강화에 힘을 기울여 즉위 후에는 제방을 수리해 농사를 장려했으며 당나라와의 외교에도 집중했다. 재위 기간 중 여러 차례 기근이 발생했으며 815, 819년에는 초적이 봉기하는 등 사회적 혼란이 가속화되었다. 이를 틈타 김헌창...
- 출생 :
- 미상
- 사망 :
- 826(헌덕왕 18)
- 국적 :
- 신라, 한국
- 재위 :
- 809년∼826년
- 능묘 :
- 경주 헌덕왕릉(慶州 憲德王陵)
-
-
신라 41대 헌덕왕 즉위반란을 일으켜 애장왕을 죽이고 스스로 왕이 됐다. 김언승은 조카인 애장왕이 즉위한 뒤로 줄곧 어린 조카를 대신해 정사를 돌보아 왔으며, 801년에는 최고 관직인 상대등에 오른 바 있다. 조카를 죽이고 왕위에 오른 김언승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신라왕으로 책봉받았다. 그가 헌덕왕(재위 809년~826년)이다. 참조
- 시대 :
- 809년
- 재위 :
- 809년~826년
- 국가/대륙 :
- 한국
-
Heondeok of Silla 헌덕왕, 憲徳王Heondeok of Silla (died 826) (r. 809–826) was the 41st to rule the Korean kingdom of Silla. He was the younger brother of King Soseong, and served as regent during the reign of Aejang.In 790, Heondeok traveled to Tang China where he distinguished himself and received a high position. He returned...출처 영어 위키백과
-
김헌창의 난 왕위 계승 다툼으로 혼란에 빠진 통일신라즉위하고 이후 원성왕계가 왕위를 잇기 시작하다. 788년 원성왕 4년 국학 내에 독서삼품과를 설치하여 정치에 유교 사상을 반영하다. 설명 신라 41대 헌덕왕(憲德王, 재위 809~826) 14년인 822년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계인 웅천주(熊川州, 충남 공주) 도독 김헌창(金憲昌)이 반란을 일으킨다. 그는 국호와 연호를...
- 시대 :
- 822년
-
신라 42대 왕, 흥덕왕 김수종, 興德王개요 신라 제42대 왕(재위 826∼836년).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수종(秀宗), 경휘(景暉), 수승(秀升)이다. 헌덕왕(憲德王)의 동생으로, 아버지는 원성왕(元聖王)의 큰 아들인 혜충태자(惠忠太子) 인겸(仁謙)이며, 어머니는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金氏)이다. 비(妃)는 소성왕(昭聖王)의 딸인 장화부인 김씨(章和夫人...
- 출생 :
- 미상
- 사망 :
- 836(흥덕왕 11)
- 국적 :
- 통일신라, 한국
- 재위 :
- 826년∼836년
- 능묘 :
- 경주 흥덕왕릉(慶州 興德王陵)
-
김사신 金士信활동사항 당(唐)으로 갔던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며, 당에서는 볼모로 있었다. 812년(헌덕왕 4)에 헌덕왕은 이찬(伊湌) 김창남(金昌南) 등을 당에 사신으로 파견하였다. 이에 대한 답사로 당 헌종은 직방원외랑(職方員外郞) 섭어사중승(攝御史中丞) 최정(崔廷)을 신라에 파견하였는데, 이때 김사신이 최정을 보필하였다...
- 경력 :
- 견당사(遣唐使)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자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흥덕왕 수종(秀宗), 興德王개설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수종(秀宗) 또는 경휘(景暉) · 수승(秀升)이다. 헌덕왕(憲德王)의 동생으로, 아버지는 원성왕(元聖王)의 큰 아들인 혜충태자(惠忠太子)인겸(仁謙)이며, 어머니는 성목태후 김씨(聖穆太后 金氏)이다. 할머니는 각간(角干) 신술(神述)의 딸인 숙정부인(淑貞夫人金氏)이다. 비(妃)는 소성왕...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김충공 선강갈문왕, 金忠恭원성왕의 손자이며, 민애왕의 아버지이고, 흥덕왕의 아우이며, 혜충대왕(惠忠大王)으로 추봉된 인겸태자(仁謙太子)의 넷째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817년(헌덕왕 9)부터 821년까지 약 4년간 집사부시중(執事部侍中)을, 822년부터 835년까지 약 13년간 상대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므로 헌덕왕 13년에 죽었다는...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835년(흥덕왕 10)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족, 재상, 태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녹진 祿眞내용 일길찬(一吉飡) 수봉(秀奉)의 아들이다. 23세에 벼슬하여 내외의 관직을 역임하다가 818년(헌덕왕 10)에 집사부(執事部)의 시랑(侍郞)이 되었다. 이때 인사문제로 고심하던 나머지 병을 얻은 상대등(上大等) 충공(忠恭)에게 인사정책의 요점을 제시, 인사는 마치 목수가 집짓는 것에 비유하며 적재적소에 기용해야...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집사부시랑(執事部侍郞)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