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소발굽 소의 뿔은 활과 같은 무기, 우산 · 칼 등의 공산품, 인재(印材)와 담배물부리 같은 세공품의 재료로 쓰이고, 발굽은 단추 · 제유(蹄油) · 비료 · 사료 등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2) 우피 우피는 다른 동물의 가죽보다 질기고, 특히 한우의 가죽은 질이 좋아서 그 용도가 대단히 넓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동물
-
-
아악 雅樂포(匏) · 토(土) · 혁(革) · 목(木) 등 각각의 재료로 만든 악기들이 있으며, 이 악기들은 일정한 원칙에 따라 단수, 혹은 복수로 편성된다. 조선 전기 아악...鐸), 석부에 특경(特磬) · 편경(編磬), 사부에 금(琴) · 슬(瑟), 죽부에 소(簫) · 약(籥) · 관(管) · 적(篴) · 지(篪) · 독(牘), 포부에 생(笙...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하회별신굿탈놀이 河回別神굿탈놀이가면과 악기 등 모든 도구를 점검한다. 이어 스무아흐렛날 동민대표들이 동사(洞舍)에 모여서 부정이 없는 사람들 중 배역에 맞추어 광대 12명과 산주 외에 서무를 맡는 유사(有司) 2명, 가면관리를 하는 청광대와 무동꾼들을 선정하고 섣달그믐날부터 정월대보름날까지 합숙에 들어간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대내림...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대취타 大吹打수영에도 두었고, 각 고을에는 <소취타>를 두었다고 한다. <대취타>는 임금의 노부(鹵簿:임금이 거둥할 때의 의장, 또는 의장을 갖춘 행렬) · 행행(幸行...통신사의 행렬 때, <검기무 劒器舞> · <선유락 船遊樂> · <항장무 項莊舞> 등의 정재(呈才)에 쓰였다. 취타라는 의미는 부는 악기[吹樂器]와 치는...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메소포타미아의 실용품진 하프, 여러 악기를 연주하는 이국풍의 복장을 한 악사들 등이 그려져 있다. 램프 '7개의 입구가 있는 항아리' 등 점토·금속·조개껍질 등을 이용해 만들어진...시대), 노와 차양까지 갖춘 유형(우르 왕조) 등이 있었고, 배와 항해선이 구별되어 사용되었음도 볼 수 있다. 또다른 교통수단이었던 전차는 소가 끄는...
-
양주 소놀이굿 楊州 소놀이굿전복을 입고 홍띠를 띠며 오른손에 삼신부채를 들고 왼손에 소의 고삐를 잡는다. 곁마부는 원마부와 같은 복색으로, 보통은 약식으로 복색을 갖추지 않다가 원...흰 제석부채를 든다. 조무(助巫)와 악사는 보통 무의의 복색과 같다. 반주 악기로는 장고 · 피리 · 해금을 사용한다. 1980년 중요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