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악기 國樂器
    슬·대쟁·현금·향비파·당비파·공후 등이 있다. 공기울림악기는 대금·소금·피리·태평소·단소·생황·퉁소·나각·나발·훈·지·적··당적·약 등이다. 몸울림악기는 편종·편경·특종·특경·방향·운라·박·징·꽹과리·자바라·축·어·부 등이다. 막울림악기는 장구·좌고·용고·소리북·소고·무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발굽 의 뿔은 활과 같은 무기, 우산 · 칼 등의 공산품, 인재(印材)와 담배물부리 같은 세공품의 재료로 쓰이고, 발굽은 단추 · 제유(蹄油) · 비료 · 사료 등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2) 우피 우피는 다른 동물의 가죽보다 질기고, 특히 한우의 가죽은 질이 좋아서 그 용도가 대단히 넓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동물
  • 편경 編磬
    또 봉두와 치미유소로 장식했다. 맑고 청아한 소리가 난다. 중국 고대 악기로 1116년(예종 11)에 유입되었다. 1425년(세종 7) 경기도 남양에서 경돌이 발견되고...박연(朴堧)에 의해 율관이 제정되어 아악기의 제작이 본격화되자 주종를 설치하여 편경을 직접 제작했다. 이전에는 중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했고 부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아악 雅樂
    포(匏) · 토(土) · 혁(革) · 목(木) 등 각각의 재료로 만든 악기들이 있으며, 이 악기들은 일정한 원칙에 따라 단수, 혹은 복수로 편성된다. 조선 전기 아악...鐸), 석부에 특경(特磬) · 편경(編磬), 사부에 금(琴) · 슬(瑟), 죽부에 (簫) · 약(籥) · 관(管) · 적(篴) · 지(篪) · 독(牘), 포부에 생(笙...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하회별신굿탈놀이 河回別神굿탈놀이
    가면과 악기 등 모든 도구를 점검한다. 이어 스무아흐렛날 동민대표들이 동사(洞舍)에 모여서 부정이 없는 사람들 중 배역에 맞추어 광대 12명과 산주 외에 서무를 맡는 유사(有司) 2명, 가면관리를 하는 청광대와 무동꾼들을 선정하고 섣달그믐날부터 정월대보름날까지 합숙에 들어간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대내림...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연극
  • 대취타 大吹打
    수영에도 두었고, 각 고을에는 <취타>를 두었다고 한다. <대취타>는 임금의 노부(鹵簿:임금이 거둥할 때의 의장, 또는 의장을 갖춘 행렬) · 행행(幸行...통신사의 행렬 때, <검기무 劒器舞> · <선유락 船遊樂> · <항장무 項莊舞> 등의 정재(呈才)에 쓰였다. 취타라는 의미는 부는 악기[吹樂器]와 치는...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문묘제례악 석전악, 文廟祭禮樂
    더 고형으로 주(周)의 제도에 더 가까운 음악이다. 아악곡인 문묘제례악에는 당악기나 향악기는 쓰이지 않으며 8음(八音)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악기를 팔음에 의해 나누면 금부에는 편종·특종, 석부(石部)에는 편경·특경, 죽부(竹部)에는 지·적·약·, 사부(絲部)에는 금·슬, 토부(土部)에는 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한국 전통 악기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
    악기로, 향피리·세피리·당피리·태평소 등이 있다. 횡취악기(橫吹樂器)는 가로 부는 악기로, 대금·중금·당적·지 등이 있다. 종취악기(縱吹樂器)는 세로 부는 악기로, 단소·통소··약·적·생황 등이 있다. 생황은 황엽 또는 금엽이라 불리는 금속 떨판을 가지고 있는데, 혀라고도 한다. 따라서 생황은 홑서악기...
    도서 위키백과
  • 메소포타미아의 실용품
    진 하프, 여러 악기를 연주하는 이국풍의 복장을 한 악사들 등이 그려져 있다. 램프 '7개의 입구가 있는 항아리' 등 점토·금속·조개껍질 등을 이용해 만들어진...시대), 노와 차양까지 갖춘 유형(우르 왕조) 등이 있었고, 배와 항해선이 구별되어 사용되었음도 볼 수 있다. 또다른 교통수단이었던 전차는 가 끄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미술
  • 양주 놀이굿 楊州 소놀이굿
    전복을 입고 홍띠를 띠며 오른손에 삼신부채를 들고 왼손에 의 고삐를 잡는다. 곁마부는 원마부와 같은 복색으로, 보통은 약식으로 복색을 갖추지 않다가 원...흰 제석부채를 든다. 조무(助巫)와 악사는 보통 무의의 복색과 같다. 반주 악기로는 장고 · 피리 · 해금을 사용한다. 1980년 중요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태국 전통 악기 Traditional Thai musical instrume..
    민족들이 음악 연주에 사용하고 있다. 태국의 전통적인 악기 분류 체계에 따르면, 태국 전통 악기는 연주 방식에 따라 크게 다음 네 종류로 나뉜다. 크르앙딧...짜케(จะเข้) 핀(พิณ) 핀피아(พิณเพียะ) 핀하이(พิณไห) 승(ซึง) 두앙(ซอด้วง) 삼사이(ซอสามสาย) 써우(ซออู้) 소삡(ซอปีบ) 소방(ซอบั้ง) 살로(สะล้อ) 킴(ขิม) - 덜시머...
    도서 위키백과
  • 일본의 악기 Traditional Japanese musical instru..
    코쓰즈미(小鼓) 음악 종류에 따른 분류 아악기: 히치리키·소오(笙)·고마부에(高麗笛) 소오(箏)는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 대표적인 발현악기(撥絃樂器)이다. 13현으로 되었으며 한국의 가야금같이 안족(雁足)을 옮겨 줄을 고른다. 일본의 오는 4종류가 있다. 아악에 사용하는 것을 가쿠소오(樂箏)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알프스 지방의 민속 악기인 알펜 호른. 소를 부르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