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히데요시의 마지막 충신, 이시다 미쓰나리 石田三成
    다이묘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이에야스에게 투신하면서 다른 다이묘들이 이에야스 휘하로 속속 집결한 것이다. 드디어 10월 21일 세키가하라 전투가 시작되었다. 미쓰나리 군은 전투 초기에는 분투했으나 이에야스의 이간책과 회유책으로 아군들이 배반하고 전세를 관망만 하자 점점 형세가 불리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출생 :
    1560년
    사망 :
    1600년
    국적 :
    일본
  •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다케치요, 德川家康
    승리를 거두었다. 천하통일 세키가하라 전투의 승리로 명실상부한 패자(覇者)가 된 이에야스는 그 패권을 영속시키기 위한 조치를 신속히 취했다.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는 행정적 조치를 단행함으로써 군사적 이득을 굳건히 다졌던 이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에야스는 세키가하라 전투 후 다이묘들에 대한 대폭적...
    출생 :
    1543. 1. 31, 일본 오카자키[岡崎]
    사망 :
    1616. 6. 1, 슨푸[駿府]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일본
  • 에도 막부 250년의 체제를 세우다, 도쿠가와 히데타다 德川秀忠
    밀어내고 실질적으로 적장자의 대우를 받으며 자랐다. 1584년에는 인질이 되어 히데요시의 성으로 들어갔다. 1609년 아버지 이에야스의 운명을 가른 세키가하라 전투가 일어났다. 당시 스물두 살이던 히데타다는 3만 8천 명에 이르는 대군을 이끌고 세키가하라로 향했다. 그러나 진군 도중 공명심을 앞세워 아버지가...
    출생 :
    1579년
    사망 :
    1632년
    국적 :
    일본
  • 빗추 다카마쓰성 전투 Siege of Takamatsu, 備中高松城の戦い
    고다이로가 되었다. 이 전투 뒤에 빗추 다카마쓰 성에는 우키타 가문(宇喜多氏)의 가로 하나부사 가문(花房氏)가 입성하였다. 후에 하나부사 가문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의 부대장이 된 주군 우키타 히데이에를 배신하고 동군에 붙었기 때문에 에도 시대에는 하타모토까지 출세하였다. 몇 년 후 하나부사 가문이...
    도서 위키백과
  • 우에다 전투 Siege of Ueda, 上田合戦
    도쿠가와 군을 격퇴하는데 성공하여, 사나다 가문의 이름을 도요토미 가문을 비롯한 유력 다이묘들에게 알릴 수 있었다. 그러나 제2차 전투는 서군과 동군의 군사적 충돌(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을 피할 수 없게 된 상황 하에서 마사유키와 마사유키의 차남 노부시게(信繁)가 서군에 가세한 것이 원인이었다...
    도서 위키백과
  • 이시다 미쓰나리 石田三成, Ishida Mitsunari
    그가 유명한 세키가하라[關ケ原] 전투에서 패함으로써 도쿠가와[德川] 가문은 일본의 명백한 통치자가 될 수 있었다. 1세기 이상 지속된 내란을 종식시키고 일본을 재통일한 무사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편에 서서 큰 공을 세움으로써 소규모 영지의 수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얼마 안 가 히데요시의 신정부에서...
    출생 :
    1563, 일본 오미 구니[近江國]
    사망 :
    ~1600. 11. 6, 교토[京都]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에도 막부에서 다이묘의 서열
    라고 부른다. 고산케의 번주는 쇼군 가문의 대가 끊기는 경우 후계자를 세울 수 있는 자격을 지니고 있었다. 후다이 다이묘(譜代大名)는 대개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부터 이에야스의 가신이었던 이들이며, 도자마 다이묘(外樣大名)는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전하며 복속된 다이묘들이다. 후다이 다이묘는 막부 조정...
  • 돗토리성 Tottori Castle, 鳥取城
    이나바, 다지마 국내 5만석을 영지로 받아 정식으로 돗토리 성주에 오른다. 1596년 미야베 나가후사가 대를 이어 성주로 부임하지만, 곧이어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속했기 때문에 영지가 몰수 되었다. 대신 오미 국 미나쿠치에서 이케다 나가요시가 돗토리 번 6만석에 입봉되어 입성한다. 그리고, 돗토리...
    도서 위키백과
  • 강우성 康遇聖
    당시 12살이었던 그도 포로 속에 섞여 일본으로 끌려간 듯하다. 주로 대판(大阪) 또는 경도(京都) 부근에서 10년 동안의 억류생활을 보냈다. 1600년 9월 세키가하라전투(關ケ原戰鬪)가 일어났을 때에는 도쿠가와(德川家康) 쪽에서 전투광경을 직접 목격하기도 하였으며, 1601년 6월에는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갔던...
    시대 :
    조선 후기
    출생 :
    1581년(선조 14)
    사망 :
    미상
    경력 :
    부산훈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임진왜란
    직업 :
    역관
    대표작 :
    첩해신어
    성별 :
    분야 :
    언어/언어·문자
    본관 :
    진주(晉州)
  • 오타니 요시쓰구 Ōtani Yoshitsugu, 大谷吉継
    했다. 젊은 시절 그는 굉장한 미남으로 보는 사람들마다 놀라게 할 정도였으나 나병에 걸려 결국 몸이 점점 망가지게 되었다. 이시다 미쓰나리가 세키가하라 전투를 계획하려 하자 요시쓰구는 이미 눈도 안보이고 다리 역시 절룩거리는 상태인 불구의 몸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쓰나리를 직접 찾아가서 반대했으나...
    도서 위키백과
  • 간다 마쓰리 도쿄 축제, 神田祭り
    3대 마쓰리이자 오사카의 텐진 마쓰리(天神祭り), 교토의 기온 마쓰리(祇園祭り)와 함께 일본의 3대 마쓰리로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1603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벌인 축제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 화려한 장식의 가마 수십 대가 지나가는 이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 지역...
    위치 :
    간다 신사-JR 오차노미즈(御茶ノ水)역 히지리바시(聖橋) 출구에서 도보 5분
    소재지 :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2-16-2
    행사시기 :
    5월 15일에 가까운 토요일
  • 근대 일본의 정체성 확립을 도운 시마바라의 난
    합쳐졌기 때문이다. 봉기군의 주력은 천주교도였다. 임진왜란 때 왜군의 선봉이며 천주교 신자였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일본의 패권을 둘러싼 싸움(세키가하라전투)에서 패해 참수되었다는 점이 복수심을 낳고 잡다한 성분의 봉기군을 한데 묶었다. 옛 성곽에 여자와 어린아이를 포함해 3만 7,000여 명이 농성...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세키가하라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