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찬우물 서대문구
    서대문구 냉천동 74번지 부근에 있던 우물이다. 물이 차고 맛이 좋았던 데서 유래된 이름으로, 냉정이라고도 하였다. 1930년 무렵 이 우물을 더 깊이 파고 철관을 묻어, 8m 쯤 길가로 끌어내어 위와 아래에 회통을 묻어서 위 우물은 먹는 물로 쓰고, 아래 우물은 빨래하는데 쓰게 하였으므로, 쌍우물이라고 하였다.
    유형 :
    자연물
  • 한림동 서대문구, 翰林洞
    서대문구 합동에 있던 마을로서, ≪동국여지비고≫ 권2 제택조에 보면 서소문 밖의 李廷輔의 집이 만리현에 있었는데, 한양에 도읍을 정할 때에 무학대사의 말에 따라 터를 잡고 집을 지었는데, 뒤에 6세손 李廷馣의 3형제가 모두 한림 벼슬에 나아간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한림골이라고도 하였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근동 서대문구, 芹洞
    서대문구 미근동・합동・의주로1가동・충정로2가동・충정로3가동에 있던 마을로서, 미나리밭이 유명하여 미나릿골이라 불렀던 것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미나리 밭은 굉장히 넓게 퍼져 있어서, 지금 충정로 2・3가에서부터 미근동은 물론 합동・의주로까지 근동이라 불렀다고 한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합동 서대문구, 蛤洞
    서대문구 합동에 있던 마을로서, 마포강으로부터 들어오는 어물이 서소문 밖 장시로 집결해 여기서 소비되었고, 특히 서소문 밖의 외어물전에서는 각종 건어와 조개가 항상 끊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곳을 조개전이라고 했던 것이 한자명으로 표기되어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거북골 서대문구
    서대문구 북가좌동에 있던 마을로서, 가재울 북쪽 고개 너머에 있던 마을 이름이다. 선조의 일곱째 아들인 仁城君의 손자 花山君 李滾의 묘소가 있으므로 능안말이라 하였고, 화산군 묘 앞에 큰 거북 받침의 신도비가 있으므로 거북골 또는 거북굴이라고도 하였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복주물 서대문구
    서대문구 북아현동에 있는 약수로서, 복수물,복수천이라고도 한다. 복주산(금화산) 남쪽 밑에 있는 약물인데, 피부병과 소화병에 특효가 있어서 오복의 하나인 수를 더 한다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복수물,복수천이라 하였는데, 변하여 복주물이 되었다.
    유형 :
    자연물
  • 신촌동 서대문구, 新村洞
    서대문구 신촌동에 있던 마을로서, 새로 형성된 마을인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새터말이라고도 하였다. ≪육전조례≫에 한성부 서부 용산방 신촌리계가 처음 나타난다. 갑오경장 때 제정된 동명에는 신촌동이라고 하였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능안 서대문구
    서대문구 북아현동의 북쪽에 있던 마을로서, 懿寧園(사도세자의 아들인 懿昭世孫의 묘역)의 안쪽에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조선시대 북부 연희방(성외) 아현1계에 속하였으며, 한자명으로 능동이라고 하였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서대문구 (1973년 선거구)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서대문구는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였다. 당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지역을 관할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구를 앞두고 서대문구 갑, 서대문구 을, 서대문구 병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1975년 10월, 일부 지역이 종로구(평창동·구기동·부암동·홍지동·신영동·행촌동·송월동...
    도서 위키백과
  • 가좌리 서대문구, 加佐里
    서대문구 북가좌동에 있던 마을로서, 가재가 있고 산이 둘러쌌으므로 가재울, 한자명으로 가좌리라고 하였다. 또한 한 고을에서 먼 곳 가장자리에 있는 마을이라는 설도 있다. 이계말이라고도 한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봉우재 서대문구
    서대문구 현저동에서 홍제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무악 두 봉우리에 동봉과 서봉 두 봉수대가 있어 봉수대가 있는 고개라는 뜻으로 봉화재가 되었고 음이 변하여 봉우재라고 하였다.
    유형 :
    자연물
  • 밤고개 서대문구
    서대문구 연희동 서연중학교에서 연희시범아파트를 거쳐 모래내 쪽으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옛날 고개 주위에 밤나무가 많았던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음이 변하여 방고개라고도 하였다.
    유형 :
    자연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법정구역도
서대문구청
북자호랑하늘소 수컷(2007. 6. 13. 서울 서대문구 신촌)
독립문. 사적 제32호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