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족산사고 鼎足山史庫
    실록은 많은 변동은 있었다. 임진왜란 때에 유일본으로 남은 전주사고본이 묘향산사고로 피난했다가 마니산사고로 옮겨졌고, 이 마니산사고본의 실록을 옮겨서 보관, 관리해 오늘에 전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현재 정족산사고본 실록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보존, 관리하고 있다. →사고(史庫)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총재관과 도청 당상이 중초의 잘못을 재수정하는 동시에 체재와 문장을 통일하여 정초(正草)를 작성하는 것이었다. 실록이 완성되면 이를 특별히 설치한 사고(史庫)에 비장하였다. 그리고 편찬에 이용한 기본 자료인 춘추관 시정기와 사관의 사초 및 실록의 초초와 중초는 기밀 누설을 방지하고 동시에 종이를 재생하기...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묘향산사고 妙香山史庫
    내용 전주사고(全州史庫)의 실록과 서적들을 봉안하기 위하여 임진왜란이 끝난 뒤 이 보현사의 실록을 다시 영변객사로 옮겼고, 1603년(선조 36) 5월 등서(謄書)와 인쇄의 편의를 위하여 다시 강화도로 옮겼다. 1603년 7월 재인쇄에 들어가 1606년 4월 인쇄가 모두 끝났다. 이 때 재인(再印)된 실록의 소장처로 묘향산...
    시대 :
    조선
    성격 :
    창고, 사고지
    유형 :
    제도
    시행일 :
    1606년
    폐지일 :
    1628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묘향산사고 妙香山史庫
    평안도 영변군 묘향산 보현사별전(普賢寺別殿)에 설치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재난을 피해 전주사고(全州史庫)에 보관하던 실록과 서적을 이곳으로 옮겼다. 전쟁이 끝난 뒤 보현사에서 영변객사로 옮겼다가, 1603년(선조 36) 5월 인쇄와 책의 정리를 위해 강화도로 옮겼다. 그뒤 새로 인쇄한 실록을 묘향산에 다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포쇄별감 장마철 습기로부터 서적을 지켜내다, 曝曬別監
    옷가지들을 내말리느라 집 안팎은 온통 빨래로 덮여 있습니다. 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세계문화유산에 빛나는 《조선왕조실록》은 통풍이 잘 되는 사고(史庫)에 보관이 되어 안전했을 거라는 생각이 들지만 이의 관리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했습니다. 《태종실록》 23권(1412)에는 "포쇄별감(曝曬別監)으로 하여금...
  • 용산사고 蓉山私藳
    날로 해이해가고 있음을 지적하고, 관생들의 자숙과 무관한 인사들의 출입을 통제하여 기강을 바로 세울 것을 건의한 내용이다. 「경술칠월사고포쇄사연주(庚戌七月史庫曝曬事延奏)」는 1850년 7월 긴 장마 뒤 정족(鼎足)·오대(五臺)·적상(赤裳) 등 세 곳 사고에 소장된 사서(史書)가 습기로 손상될 것을 염려하여...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건조
    성격 :
    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실록자 實錄字
    내용 임진왜란 후 주자인쇄가 회복되기까지의 실록들을 찍어내기 위하여 만든 목활자들을 총칭하기도 한다. 난을 겪는 사이에 전주사고(全州史庫)를 제외한 내외사고의 조선왕조실록이 병화로 소실되어, 흩어진 옛 주자(鑄字)를 수습하고 목활자를 만들어 섞어 사용하여 우선 역대 실록을 찍어냈다. 이후 계속 나라 사정...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론·출판/출판
  • 봉화 태백산사고지 奉化 太白山史庫址
    오던 태백산 사고가 있던 자리로 조선시대 5대사고 중 하나이다. 내용 조선왕조는 오대산·마니산·적상산·춘추관·태백산에 각각 사고(史庫)를 지어 실록을 보관하였다. 사고(史庫)의 구조는 실록각(實錄閣)과 선원각(璿源閣)을 기본으로 하고, 그 밖의 부속 건물로 구성된다. 사고의 개고(開庫)는 정기적인 포쇄(曝曬...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오대산사고지 五臺山史庫址
    보관하던 전각] · 별관(別館), 그리고 수호사찰(守護寺刹)로서 영감사가 있었으나 지금은 옛 모습은 찾을 길이 없고 다만 주춧돌만이 남아 있어 이곳이 사고(史庫)가 있었던 곳임을 알려주고 있다. 현재 주춧돌이 남아 있어 사고지비석(史庫址碑石)이 건립된 곳은 옛날 선원각이 있던 자리이고, 그 앞에 실록각이 있던...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오대산사고 五臺山史庫
    月精寺) 북쪽에서 10리 떨어진 남호암(南虎巖) 기슭에 오대산사고를 설치하였다. 오대산사고의 수호 사찰(守護寺刹)인 월정사는 사고에서 너무 떨어져 있어...암자 격인 영감사(靈鑑寺)에서 수호를 하였다. 따라서 영감사를 일명 사고사(史庫寺)라 하기도 하였다. 1603년(선조 36) 7월부터 1606년 3월까지 진행된 실록...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어제권세위효제문 御製勸世爲孝悌文
    내용 1책. 목판본. 이 책은 1773년 6월에 운각(芸閣: 규장각 소속 교서관의 별칭)에서 새로 판각, 간행하고 그 판본은 사고(史庫)에 보관하였다. 영조는 『효제편(孝悌篇)』을 짓고 난 뒤 80세가 다 된 늙은 나이로 더욱 부모를 추모하는 정이 간절해서 이황(李滉)의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를 모방하여 『논어』에...
    시대 :
    조선 후기
    저작자 :
    영조
    창작/발표시기 :
    1773년 6월
    성격 :
    어제(御製), 윤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운각
    분야 :
    교육/교육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사대사총섭 四大寺摠攝
    중요한 역사기록과 전적이 불타자 병화(兵火)가 미치지 못하는 깊은 산지에 사고를 옮기고 이를 지키는 데 부근의 승려들을 동원하게 되었다. 이는 임진왜란 때 전주사고(全州史庫)의 실록을 영변 묘향산에 있는 보현사(普賢寺)에 보관하고 지키게 하였던 데서 비롯되었고, 그 뒤 사고가 있었던 태백산사고는 각화사...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관원, 칭호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 후기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