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양일 사이 요이치, 崔洋一
    2세 영화감독으로서 일본사회 안의 아웃사이더들을 주로 그려왔지만 일본영화계 안에서 감독으로서의 그의 위치는 주류에 가깝다. 재일 한국인 청년의 삶을 블랙유머로 다룬 그의 출세작 <달은 어디에 떠있는가>에 대해서 영화학자 요모타 이누히코(四方田 犬彦)는 "1990년대 일본의 다원적 다민족적 상황에 대응"하여...
    출생 :
    1949년 7월 6일 일본 나가노
    본명 :
    최양일(崔洋一)
    수상 :
    로카르노영화제 돈키호테상(<돼지의 응보>(豚の報い, 1999), 일본아카데미 감독상, 각본상(<피와 뼈>(血と骨, 2004)
    데뷔 :
    <10층의 모기>(十階のモスキ ト, 1983)
  • 오카모토 기하치 岡本喜八, Okamoto Kihachi
    들어가 있는 <전국 야로>, <킬>, <붉은 머리>조차도 냉소적인 관점을 고수한다는 점에서 일관된 그의 세계관을 반영한 것으로 논평되었다. 오카모토식의 블랙유머는 <에부리만 씨의 우아한 생활>(江分利満氏の優雅な生活, 1963)과 <아, 폭탄>(ああ爆弾, 1964)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되었다. 전자는 '에부리만'이라는...
    출생 :
    1924년 2월 17일 일본 돗토리
    사망 :
    2005년 2월 19일 일본 가나가와
    본명 :
    오카모토 기하치(岡本喜八)
    수상 :
    마이니치영화콩쿨 감독상(<육탄>(肉弾, 1968)), 일본 아카데미 최우수감독상(<대유괴>(大誘拐, 1991)), 2001년 도쿄필름엑스 관객상(<피와 모래>(血と砂, 1965))
    데뷔 :
    <결혼의 모든 것>(結婚のすべて, 1958)
  • 파라 Nicanor Parra
    그결과 칠레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명성을 얻었다. 이 시들은 기괴하고 때로는 부조리한 세계의 일상적이고 평범한 문제를 명쾌하고 솔직한 언어로, 그리고 블랙 유머와 냉소적인 통찰력으로 예리하게 다루고 있다. 〈긴 충 La cueca larga〉(1958)에서 칠레 하층민이 쓰는 사투리와 유머를 실험했고 그후 이전 작품의...
    출생 :
    1914. 9. 5, 칠레 산파비안
    국적 :
    칠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Back In Black 1980년대 명작 음반
    약동하는 헤비메탈의 진수를 맛볼 수 있었다. 이 외에 앵거스 영의 솔로 연주와 브라이언 존슨의 보컬 대결이 화끈하게 펼쳐지는 「Shake A Leg」, 특유의 블랙 유머를 구사한 「Have A Drink On Me」와 「Givin’ The Dog A Bone」 등도 메탈 마니아라면 반드시 암기해야 할 골든 레퍼토리들이었다. 평단도 찬사일색...
    제작시기 :
    1980년
    가수/연주자 :
    AC/DC(에이씨디씨)
    제조/수입사 :
    SonyMusic
  • 실뱅 쇼메 Sylvain Chomet
    Film Festival)에서 ‘특별언급’ 되고 아카데미시상식 최우수 장편애니메이션에 노미네이트되며 크게 주목을 받았다. 우스꽝스러운 마임과 독특한 캐릭터, 블랙유머가 담긴 코미디 <벨빌의 세 쌍둥이>는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다. <벨빌의 세 쌍둥이>와 더불어 두 번째 장편 애니메이션 <일루셔니스트>(L’illusionniste...
    출생 :
    1963년 11월 10일 프랑스 메종-라피떼(Maisons-Laffitte)
    수상 :
    1997년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단편 대상(<노부인과 비둘기>), 2011년 세자르영화상 최고 애니메이션상(<일루셔니스트>)
    데뷔 :
    2003년 <벨빌의 세 쌍둥이>(Les Triplettes De Belleville, The Triplets Of Belleville, 프랑스/벨기에/캐나다/영국/라트비아)
  • 다니스 타노비치 Danis Tanovic
    도합 42개의 상을 수상하며, 장편데뷔작 사상 가장 많은 상을 수상한 영화가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극장에 배급된 이 영화는 전쟁의 부조리에 관한 촌철살인의 블랙 유머, 관객을 사로잡는 탁월한 스토리텔링으로 인해 비평적, 대중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타노비치의 두 번째 영화인 <랑페르>(L'Enfer)는 2005...
    출생 :
    1969년 2월 20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제니카
    수상 :
    2001년 칸영화제 황금카메라상(<노 맨스 랜드>), 2013년 베를린국제영화제 은곰상(<어느 남편의 부인 살리기>), 2016년 베를린국제영화제 은곰상(<사라예보에서의 죽음>)
    데뷔 :
    2001년 <노 맨스 랜드>(No Man’s Land,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프랑스/슬로베니아/이탈리아/영국/벨기에)
  • 배리 소넨펠드 Barry Sonnenfeld
    맡았는데, 이 작품으로 그는 2008년 에미상(Primetime Emmy Awards)에서 최우수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소넨필드는 2012년에 자신의 대표작인 <맨 인 블랙>의 3편을 연출했다.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감독 특유의 재기 발랄함과 유머감각은 유지되었는데, 2억2천5백만 달러라는 막대한 예산을 들인...
    출생 :
    1953년 4월 1일
    본명 :
    배리 소넨펠드(Barry Sonnenfeld)
    수상 :
    2008년 에미상(Primetime Emmy Awards) 최우수감독상(<푸싱 데이지>)
    데뷔 :
    <아담스 패밀리>(The Addams Family, 미국, 1991)
  • 코이케의 이상한 생활 小池さんの奇妙な生活
    만화 코이케의 이상한 생활은 후지코 후지오 Ⓐ가 만든 일본의 단편 만화 작품이다. 블랙 유머 단편의 제1작. 1968년 「COM」3 월호 (무시 프로 상사)에 게재. 25세의 만화가인 코이케 신이치. 하루 3끼를 모두 인스턴트 라멘으로 먹는다. 그러나 만화는 전혀 팔리지 않고 따라서 생활은 괴로워진다. 일념발기한 코이케...
    도서 위키백과
  • 크노 Raymond Queneau
    백과전서 Encyclopédie de la Pléiade〉의 교정원으로 일하다가 1955년 그 책임자가 되었다. 1920년대에 초현실주의에 참여하면서부터 언어유희의 취미, 블랙 유머 경향, 권위에 대해 조롱적인 태도 등을 지니게 되었다. 동음이의어의 유희, 냉소, 기발한 철자법 및 기타 괴상하게 비틀린 언어의 이면에는 죽음에 대한...
    출생 :
    1903. 2. 21, 프랑스 르아브르
    사망 :
    1976. 10. 25,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카바레 나이트 클럽, cabaret
    폰 볼초겐이 베를린에 독일 최초의 카바레를 개업했다. 이곳에서는 프랑스식 카바레와 비슷한 분위기와 공연무대를 갖추고 있었지만 독일인 특유의 블랙 유머(black humor)가 발달했다. 1920년대 후반이 되면서 독일의 카바레에서는 점차 중산층 성인을 위한 외설 뮤지컬 쇼를 공연하면서 또한 정치·사회 풍자를 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잭슨 Peter Jackson
    1989), 〈데드 얼라이브 Braindead〉(1992)로 명성을 얻었다. 그 영화들은 이후 컬트 영화의 발전을 가져왔고 유혈과 기인으로 가득한 정도가 지나친 블랙 유머로 잘 알려졌다. 독창적이고 혹평을 받았던 영화 〈천상의 피조물 Heavenly Creatures〉(1994)은 잭슨 자신이 이전의 작품들에서 보여졌던 것보다 더 정교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아메리칸 사이코 뽕재킷과 멜빵바지의 추억, American Psycho
    시체를 담은 가방을 발견한 주인공의 친구들이 정작 신경 쓰는 것은 가방의 상표라는 에피소드는 당시의 물질만능주의와 남성우월주의가 갖는 공허함을 블랙 유머적으로 비판하려는 감독의 의도를 잘 드러내 주고 있다. 레이건 시대였던 198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에서는 당시의 유행 스타일과 브랜드에...
    창작/발표시기 :
    2000년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블랙 유머(black humou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