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위덕왕 창(昌), 威德王발굴조사된 이 절터는 목탑·금당·강당이 남북 일직선상에 배치된 일탑일금당식(一塔一金堂式)의 가람배치를 하고 있다. 이 절의 제3건물터에서는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盧)를 비롯한 유리구슬·토기류·연꽃무늬수막새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리고 1995년에는 목탑지의 심초석(心礎石) 위에서 창왕명석...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525년(성왕 3)
- 사망 :
- 598년(혜왕 1)
- 경력 :
- 백제 제27대 국왕(재위: 554∼598년)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관산성전투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부여 능산리 사지 부여능사, 扶餘 陵山里 寺址무덤이 능산리사지 곁에 조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능사는 그들의 명복을 빌었던 기원사찰[願刹]로 이해된다. 1993년에 진행한 2차 발굴조사에서 백제금동대향로(국보, 1996년 지정)가 출토되었으며, 1995년 4차 발굴조사에서는 목탑지 심초석 하부에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국보, 1996년 지정)이 발견되었다...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백제역사문화관 百濟歷史文化館망했으며, 다시 나라를 세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제2전시실은 백제의 문화를 테마로 백제의 성곽, 생활, 사비도성 등 백제의 삶과 문화를 보여준다. 금동대향로 극장에서는 영상과 음향을 통해 금동대향로의 사상과 조형미를 감상 할 수 있다. 제3전시실은 백제의 정신을 테마로 묘제 형식을...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국립부여박물관 부여고적보존회, 國立扶餘博物館백제문화를 엿볼 수 있는 주거, 음식, 잡용과 토기, 복식과 장신구 등이 진열되어 있다. 또한 위덕왕대의 정치와 문화를 짐작케하는 1996년 국보로 지정된 백제 금동대향로와 1996년 국보로 지정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무왕대의 익산 왕궁리 기와와 공방유물, 의자왕대의 사택지적비 등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紋), 삼엽문(三葉紋) 등의 다양한 문양을 시문(施紋)하였다. 연판문과 권초문, 삼엽문은 윤곽선을 따라 짧은 빗금을 새겼는데, 이는 능산리사지 출토 백제 금동대향로[국보], 무령왕릉 출토 은제동탁, 부소산성 출토 금동광배의 문양 등에서 보이는 백제 특유의 표현 방식이다. 또한 시문된 문양들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작품/조각·공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목화씨는 문익점이 들여온 것일까주장은 2007년에 문익점의 목화씨 재배보다 800년이나 앞선 백제 시대의 면직물이 출토되면서 더 힘이 실리게 되었다. 국립부여박물관이 국보 제287호 백제 금동대향로가 출토된 부여 능산리 절터 유물을 정리하다가 백제 시대의 면직물을 발견한 것이다. 함께 출토된 창왕명석조사리감이 567년에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
-
-
심청은 세상에 다시 올 때 왜 연꽃을 탔을까타고 극락정토로 가서 다시 태어난다고 하는데 이를 ‘연화화생(蓮華化生)’이라고 합니다. 연화화생에 대한 믿음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발견할 수 있고 백제금동대향로에 새겨진 문양에서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오래됐는데요. 고대인들이 생을 다한 후에 연꽃을 타고 좋은 세상에 가기를 소망했다는 사실을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