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증득
    새로 생겨난다는 뜻의 불교 용어로는 역시 심불상응행법 가운데 하나이자 유위4상(有爲四相) 가운데 하나인 생(生)이 있다. 증득 또는 증오는 득이 진리 즉 위법에 대해 적용된 특수한 경우이다. 이에 비해, 생(生)은 인연화합에 의해 유위법이 생겨나는 것을 말하며, 따라서 열반과 같은 위법에 대해서는 적용되는...
    도서 위키백과
  • 재량행위의 한계
    외적 한계와 내적 한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법이 행정관청에 재량권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범위, 즉 외적 한계를 넘은 재량은 결국 권한의 재량인 것이며, 위법한 행위가 된다. 재량권의 외적 한계를 넘는 행위를 가리켜 재량권의 유월 또는 일탈이라고 한다. 둘째, 법이 행정관청에 재량권을 인정하고 있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삼과 (불교) 三科, 三科
    cw이식계(耳識界).cw비식계(鼻識界).cw설식계(舌識界).cw신식계(身識界).cw의식계(意識界)를 말한다. 3과 중 12처의 법처와 18계의 법계에는 열반을 비롯한 위법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12처와 18계는 유위법과 위법 전체의 법(法, 존재)을 포괄하는 일체법에 대한 분류체계이다. 반면, 5온에는 위법이 포함되어...
    도서 위키백과
  • 상수멸무위
    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6무위의 각각은 별도의 실체가 아니며 진여(眞如).cw법성(法性).cw실상(實相).cw열반(涅槃).cw법계(法界) 등으로 불리는 1가지 위법의 중요한 6가지 측면을 말한다.sfnsfnsfn 상수멸무위는 줄임말로 상수멸(想受滅)이라고도 한다. 상수멸(想受滅)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상(想)과 수(受)의...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정)
    18계를 설하였다.sfn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이러한 5온 11가지), 심법(心法, 1가지), 심소법(心所法, 46가지),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가지), 위법(無爲法, 3가지)의 5그룹의 75가지 법(法)으로 분류하였는데, 이를 5위 75법(五位七十五法)이라 한다. 마찬가지로 5온 모든 존재를 심법(心法, 8가지) 51가지...
    도서 위키백과
  • 부동멸무위
    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6무위의 각각은 별도의 실체가 아니며 진여(眞如).cw법성(法性).cw실상(實相).cw열반(涅槃).cw법계(法界) 등으로 불리는 1가지 위법의 중요한 6가지 측면을 말한다.sfnsfnsfn 부동멸무위는 부동무위(不動無爲)라고도 하고 또는 줄임말로 부동멸(不動滅) 또는 부동(不動)이라고도 한다...
    도서 위키백과
  • 삼성 (불교)
    安隱)하며 모든 괴로움이 영원히 적멸해 있기 때문에 승의선이라고 한다.sfnsfn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五位七十五法)의 법체계에서, 승의선은 위법 위(位)의 3가지 위법들, 즉 허공(虛空) 즉 택멸무위에 해당하며, 택멸 또는 택멸무위는 곧 열반을 말한다.sfn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五位百法)의...
    도서 위키백과
  • 오위칠십오법 五位, 五位七十五法
    dravya)이다.sfn 이러한 입장에서 설일체유부는 일체법을 색법(色法) 11가지, 심법(心法) 1가지, 심소법(心所法) 46가지,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가지, 위법(無爲法) 3가지의 5위 75법으로 분류하였다. 즉 색법(色法)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위의 75가지 법은 모두 개별적 실체인데...
    도서 위키백과
  • 심불상응행법
    位]에 속한다.sfn 여기서 실재에 근거하여 가립(假立)한 것으로 실유(實有)가 아닌 가법(假法)이라고 본다.sfnsfn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5위 중 위법 힘 또는 작용임에 비해 불상응행법에 속한 법들은 추상적인 힘 또는 법칙이라 할 수 있다.sfnsfnsfn 예를 들어, 세계가 존재하는 토대로서의 초월적...
    도서 위키백과
  • 삼고
    무상(無常)하고 괴로운[苦] 것이므로 변하고 바뀌는 법[變易法], 즉 유위법(有爲法)이라고 느끼는[受] 것을 말한다. 즉, 그 유위법을 마치 불생불멸의 위법(無爲法)인 것처럼 전도(顚倒)되이 느끼는[受] 것이 아니라, 그 유위법을 위법이 아니라 유위법이라고 바르게 느끼는[受] 것을 말한다. 특히, 행고(行苦)에...
    도서 위키백과
  • 비택멸
    결여되면 영원히 미래에 머물게 된다. 이것은 생겨나지 않았기 때문에 소멸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불생불멸이다. 설일체유부에서는 이러한 법도 일종의 위법으로 보았다.sfn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예를 들기 전에 먼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전제를 유념하는 것이 필요하다.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삽)
    표상작용[取像] 즉 개념화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현대적인 용어로 표상(表象)을 뜻한다.sfnsfn 2. 상 상견(常見, 모든 상견(常見)은 유위법을 위법으로 여기는 잘못된 견해이다. 상사견(常邪見) 또는 상론(常論)이라고도 한다. 단견(斷見)과 함께 변집견(邊執見)을 이루며, 다시 변집견은 5가지 염오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