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위법 無爲法어떤 조건[인연]에 의해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생겨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고[不生不滅] 항상 그대로 변함이 없는[常住不變] 법을 뜻하는 불교용어. 개설 범어로는 asaṃskṛta-dharma라 하며, 인연법을 벗어나 있는 것 또는 인연법에 의해서 조작되지 않는 법으로 유위법(有爲法, saṃskṛta-dharma)과 구별되는 개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불교 용어 목록 (무)상(想)이다.sfnsfn 무루무위(無漏無爲)에서 무위(無爲)는 진리의 다른 말이며, 무루무위는 유루법과 잡염법을 멀리 떠나 있는 것을 가리킨다. 달리 말하면, 무위법 즉 진리 즉 '무루의 깨달음'의 본래 모습은 유루법와 잡염법의 소란스러움[擾亂]을 멀리 떠나 있는 무루일 뿐만 아니라 적정(寂靜)하고 담연(湛然)하고...도서 위키백과
-
오위칠십오법 五位七十五法수(受), 상(想)을 포함하는 심소법으로, 후자는 따로 독립시켜 심불상응행법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인과의 법칙을 벗어나 생성과 소멸의 작용이 없는 것을 무위법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분류된 색법・심법・심소법・심불상응행법・무위법을 오위라 한다. 나아가 색법을 11가지, 심법을 1가지, 심소법을 46가지, 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비택멸 비택멸무위(非擇滅無爲), 非擇滅사성제에 대한 변별이 아닌 생기 조건의 결여로 얻어지는 불생기(不生起)의 상태를 의미한다. 비택멸은 생기가 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택멸과 마찬가지로 무위법(無爲法)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구사론』 제6권에서는 청정한 지혜, 즉 무루지(無漏智)의 힘으로 번뇌가 생기지 않는 것이 택멸이고, 번뇌가 발생...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도의 道義하고 칭찬하였다. 37년 동안 당나라에 머무르다 821년(헌덕왕 13) 귀국하여 선법(禪法)을 펴고자 하였으나, 당시 사람들이 교학(敎學)만을 숭상하고 무위법(無爲法)을 믿지 않아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아직 시기가 오지 않았음을 깨닫고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들어가 제자 염거에게 남종선을 전하는 등 40년 동안...
- 시대 :
- 고대/남북국시대/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법상 法相백 가지 법으로 자세히 분별해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일체의 현상을 심법(心法) · 심소법(心所法) · 색법(色法) ·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 무위법(無爲法)의 종류로 구분하고, 각각에 일체 현상을 나누어서 백 가지 법으로 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그러나 법상종의 오위백법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