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달 月등의 기록을 보여주고 있거니와 이들은 일식(日食)과 마찬가지로 이른바 천괴(天怪) 혹은 성괴(星怪)에 속하는 것으로, 각각 왕국을 위하여 매우 상서롭지 못한 조짐으로 해석된 것들이다. 특히, 마지막에 보인 월범필을 뺀 나머지 사례들은 하나같이 별들이 달을 침범한 것으로 표현되어 있는 만큼, 그 천괴들은 모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어린이학원 · 무용학원 · 주산학원 · 태권도학원 등이 있으며, 특수아동을 위한 소수의 치료 · 교육시설도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이와 같이 학교교육이 양적 · 질적으로 증대하여 가정교육은 상대적으로 많이 위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자녀에 대한 가정의 교육기능은 대부분 학교에 위탁되어 있고, 가정에서는 교육...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
탈 가면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이 나례의 신앙가면에서 뒷날 예능가면으로 진전하였다. 조선왕조에는 산대잡희(山臺雜戱)에서 파생된 산대가면극(山臺假面劇)을 비롯하여 최근까지 우리 민간에 연중행사의 하나로 각 지방에서 연희되어 오던 해서가면극(海西假面劇) · 야류(野遊) · 오광대가면극(五廣大假面劇...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가야금 가야고, 伽倻琴있었다는 기록이 나오는 것 등으로 미루어, 가야금은 삼한시대부터 사용된 민족 고유의 현악기가 가실왕 때 중국의 쟁(箏)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발전했다는 것이 오늘날 국악학계의 통설이다. 진흥왕 이후 가야금은 신라에 널리 퍼져 그 곡수가 185곡에 이르렀다고 하며,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궁정과 민간에서 크게 애호...
- 시대 :
- 고대/삼국
- 성격 :
- 악기, 현악기
- 유형 :
- 물품
- 재질 :
- 오동나무, 명주실
- 용도 :
- 아악 연주, 민속악 연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아쟁 牙箏역사 기록이나 『고려사』 및 기타 시문 등에 아쟁을 언급한 것이 거의 없어, 아쟁류의 악기가 언제 들어와 어떻게 전승되었는 지 명확히 알기 어렵다. 중국에서는 당 이후 알쟁의 전승이 단절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 「악지」의 당 악기 편에 7현 아쟁이 포함되어 있고, 조선 전기의 『세종실록』 「오례」 및...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작법 범무(汎舞), 作法의식무용으로서의 작법의 존재를 짐작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 불교가 억제되었지만, 불교계는 대중에게 기반을 내리기 위해 의식을 통한 전교(傳敎)를 모색...전통을 수용하면서 범패와 작법을 중흥시키고자 하였다. 작법에 대한 기록으로, 1496년(연산군 2)에 간행된 『진언권공(眞言勸供)』에 불교무용인 명발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세찰 풍암(楓巖), 世察가풍을 떨어뜨리지 않았다. 1759년(영조 35) 순천 모후산(母後山)대광사(大光寺)영천암(靈泉庵)에서 묵암 최눌(默庵最訥)에게 법을 전한 뒤 은거, 수도하였다. 행장이 없어 입적한 때와 장소는 알 수 없으나, 같은 해 최눌이 그를 위하여 송광사에서 대법회를 열었다는 기록이 『묵암집(默庵集)』 말미의 최눌화상 행장...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88년
- 사망 :
- 1767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본관 :
- 밀양(密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