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성 용주사 남무대성인로왕보살번 華城 龍珠寺 南無大聖引路王菩薩幡
    개설 번(幡)은 불 · 보살의 위덕과 무량공덕을 나타내는 깃발로서, 불전을 장엄하기 위하여 불전 내의 기둥에 매달거나 당간(幢竿) 혹은 천개(天蓋), 탑의 상륜부(相輪部)에 매달아 도량을 장엄하는 의장물(儀仗物) 가운데 하나이다. 번의 형태는 상하가 긴 직사각형의 번신(幡身) 위에 삼각형의 번두(幡頭)가 달려...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노사나불 盧舍那佛
    변조(光明遍照:모든 곳에 두루 비침)라고 한역되기도 한다. 노사나불은 ≪범망경 梵網經≫과 ≪화엄경 華嚴經≫의 교주이다. 경전에 의하면 이 부처님은 무량공덕을 완성하고 무변(無邊:끝없음) 중생을 교화하여 정각을 이루었다. 온 몸의 털구멍에서 화신(化身:때와 장소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는...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한불교진각종 진각종, 大韓佛敎眞覺宗
    전해주고 있다. 『대승장엄보왕경』은 육자진언의 위신력을 성취하기 위한 행법을 설한 경전으로 육자진언을 활용한 의식의 집행을 통해서 육자진언의 무량공덕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경전적 전거를 제공하고 있다. 『보리심론』은 인도 중기 밀교의 대표적 경전인 『대일경』과 『금강정경』의 내용을...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묘법연화경 권4~7 법화경(法華經), 妙法蓮華經 卷四∼七
    몸을 불사르는 소신공양(燒身供養)이 최고임을 설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권7은 부처를 공양하여 얻은 삼매와 신통력으로 중생을 제도하는 묘음보살의 공덕과 중생을 무량한 방편으로 제도하는 관세음보살의 자비심을 찬탄하며, 이 경전을 설하는 법사를 보호하는 다라니의 힘을 노래하고, 이 경전을 수지, 독송하는 공덕...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승만경 勝鬘經
    왕녀로서 야요쟈국에 출가한 여인이다. 이 경의 제1장에 의하면 승만부인의 부모는 불법에 귀의한 그들의 기쁨을 딸에게도 알려주기 위하여 부처님의 무량공덕을 찬탄하는 내용을 서신으로 딸에게 전달하게 한다. 이 경은 승만부인이 서신을 받고 기뻐하며 그 글을 독송하는 가운데 부처의 찬란한 모습을 접하고 부처...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5장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수국사감로왕도 守國寺甘露王圖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돼지 머리의 뇌신(雷神)이 아미타삼존불입상 옆에 등장하고 있다. 중단의 반승(飯僧)은 부처님과 승려들에게 공양을 올려 무량공덕을 짓는다는 보시, 즉 자비를 의미한다. 화려하게 치장된 제단 좌측은 구름을 타고 모여드는 천중(天衆), 우측은 의식(儀式)을 행하는 비구중(比丘衆)이...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1832년(순조 32)
    성격 :
    불교 회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192㎝, 가로 194.2㎝
    재질 :
    비단 바탕에 채색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프랑스 파리 국립 기메(Guimet) 동양박물관
  • 국청사감로왕도 國淸寺甘露王圖
    내려 인간을 재앙으로부터 구제, 예방하는 보호신으로서의 역할이 하단의 재난 장면들에서 증명된다. 많은 장면 중에서 부처님과 승려들에게 공양을 올려 무량공덕을 짓는다는 반승(飯僧) 행사와 우란분재 의식은 생략되기도 한다. 이러한 예로서 제단과 재(齋) 의식 장면이 사라진 이 감로왕도는 아귀를 중심으로...
    시대 :
    조선
    저작자 :
    재임, 두할, 성총
    창작/발표시기 :
    1755년(영조 31)
    성격 :
    불교 회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154㎝, 가로 194㎝
    재질 :
    비단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프랑스 파리 기메(Guimet) 국립동양박물관
  • 회향 廻向
    보리의 과덕(果德)을 얻는 데 돌리는 것이며, 실제회향은 자기가 닦은 선근공덕으로 무위적정(無爲寂靜)한 열반을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 모든 불교의식은 이상...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의 사홍서원...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묘법연화경 권4~7 법화경(法華經), 妙法蓮華經 卷四∼七
    공양 중 자기의 몸을 불사르는 소신공양(燒身供養)이 최고임을 설하고 있다. 권7은 부처를 공양하여 얻은 삼매와 신통력으로 중생을 제도하는 묘음보살의 공덕을 설하고(제24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 역시 중생을 무량한 방편으로 제도하는 관세음보살의 자비심을 찬탄하며(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금강반야바라밀경 Diamond Sutra, 金剛般若経
    주법 이행보시 여인유목 일광명조 견종종색 수보리 당래지세 약유 선남자 선여인 능어차경 수지독송 즉위여래 이불지혜 실지시인 실견시인 개득성취 무량무변 공덕 지경공덕분 제십오 수보리 약유 선남자 선여인 초일분 이항하사 등신보시 중일분 부이항하사 등신보시 후일분 역이항하사 등신보시 여시무량 백천만억겁...
    도서 위키백과
  • 해인삼매론 海印三昧論
    무량한 법일세. 하나의 불국토(佛國土)가 시방의 나라들을 가득 채우니, 한 나라의 본형(本形)은 또한 크지도 않네. 한 불국토에 시방세계 다 들어 있으나 모든 세계들이 겹치는 일이 없고, 한 티끌 속에 시방의 나라들이 들어 있고, 모든 티끌 속에 또한 그와 같으나, 한 티끌이 늘거나 커지는 것이 아니니, 모든...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십회향 十廻向
    지일체처회향(至一切處廻向)은 선근 공덕을 모든 곳에 이르도록 회향하는 것이다. ⑤무진공덕장회향(無盡功德藏廻向)은 무한한 공덕장을 얻어 불국토를 장엄하는...탈회향(無縛無著解脫廻向)은 속박도 집착도 없는 초월적인 회향이다. ⑩법계무량회향(法界無量廻向)은 진리의 세계를 한없이 회향함이다. 이 가운데 첫...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다음페이지 없음